전쟁사 이야기 41편 - 한국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096327
이 글은 한국일보 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61410140005577
아마 여러분이 한국에서 국방과 관련된 뉴스를 접할 때 이런 문장을 많이 볼 것입니다.
"한국형 신무기 체계" "한국형 잠수함" "한국형 전투기 사업"
이 '한국형' 이라는 이름에는 물론 한국 국민에게 알린다는 의미도 있고 한국에서 개발했다는 의미도 포함되지만, 더 중요한 사실이 숨어있습니다. '한국 실정에 맞는' 이라는 의미가 말이죠.
(20년간의 개발 끝에 모습을 드러낸 한국형 전투기 사업 KF-21 보라매가 올해 공개되었습니다. 이 사업은 세계 최강의 전투기를 만드는 사업이 아닙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61410140005577)
올해 공개된 항국형 전투기 KF-21에 대해서 봅시다. 한국은 현재 다양한 전투기 기종을 운용하며 이미 북한 정도는 충분히 압도합니다만, 굉장히 오래된 모델을 여전히 현역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 공군의 최전방에 설 미국의 최강 전투기 F35시리즈를 수입하기로 했죠.
하지만 전쟁이 늘 그렇듯이 전장이 최신 무기로만 도배되는 것이 아닙니다. 60년 넘게 오래된 AK-47 시리즈는 여전히 사람의 몸을 관통시켜버릴 수 있으며, 박물관에 전시된 화포나 전차도 연료나 부품, 탄약만 제대로 보급한다면 당장 꺼내서 쓸 수도 있습니다.
한국 공군의 최선봉에서는 F35가 있겠지만, 이들을 받쳐줄 1.5선, 2선급 전투기들 또한 필요합니다. F35 만큼 강력하지는 않더라도, F35의 뒤를 봐주고 필요한 곳에 적당한 화력과 역할을 해줄 보조 전투기들이 필요합니다.
비슷하게 세계 최강급은 아니지만 가성비는 끝내주면서 한국에서 큰 자부심으로 삼는 K-9 자주포가 있긴 하지만, 모든 자주포가 K-9인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사람의 힘이나 차량의 힘으로 끌고 가서 수동으로 정렬하고 배치하여 쓰는 견인포나, K-9과 최대한 비슷하게 개량한 무기도 쓰이고 있습니다. 이렇듯 모든 현역 무기들이 최신예, 최고인 것은 아닙니다.
한국은 처음 이 전투기 사업을 시작하면서 여러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애초에 미국이 제일 잘 만드는데 그냥 돈 주고 사서 미국껄 가져와서 쓰면 되지, 굳이 실패를 무릎쓰고 한번도 해보지 못한 길을 가야 하는가" 당연히 맞는 말입니다. 이번 사업은 단군 이래 최대의 무기 개발 사업으로 지칭될 만큼 매우 큰 사업이었습니다.
그런데 보통 이런 말이 있습니다. 평화와 안보는 돈으로 사지 못한다고요. 한국 또한 미국의 우방국이면서 미국의 무기를 수입해 사오지만, 함부로 해체하여 기술을 복제할 경우 소송을 당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미국산 제품이기에 수리를 하려면 당연히 미국에 보내야 하고, 그 때문에 실제 기동할 수 있는 개체수가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고 합니다.
더 나아가서 운이 안좋으면 갑질을 당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 기술자들이 수리, 운반을 하러 한국에 오더니 미국산 무기를 보고서는, 안에 보안 라벨이 떨어졌다 기술을 유출한 것이 아니냐는 의심과 갑질을 당한 적도 있다고 합니다. 안보와 병기를 해외에만 의존할 경우 이런 크고작은 애로사항이 생깁니다.
그러나 한국에서 자체 개발한 전투기를 사용한다면? 비록 초기 개발 비용으로 가격이 높긴 하지만 양산(대충 전투기는 300대 정도 찍으면 손익분기점을 넘긴다고 합니다)을 하고 수출을 하여 오히려 최종적으로 더 낮은 가격에 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리나 부품 운반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당장 지구 반바퀴를 돌아가지 않고 여기 한반도에서 즉석에서 수리하고 다시 실전에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결국 뭔가 한국에서 개발한 무기가 '한국형'이라는 이름이 붙는 자격이 주어지는 것은, 그야말로 한국의 현실과 경제, 안보 상황에 최적화된, 우리 손으로 직접 만들었다는 실용성과 자부심이 같이 포함된 말입니다.
당장 한국 전쟁사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알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쓴 '판옥선'은 그야말로 한국형 무기의 끝판왕이었습니다.
한국의 서,남해안은 조류가 심하고 암초가 많으며 갯벌이 많습니다. 수심이 얕고 해류가 강하게 흐르기에 이런 궂은 환경에서 잘 항해하려면 배의 바닥이 평평한 것이 유리합니다. 실제로 판옥선은 바닥이 평평하여 왜군과 남해안에서 싸울 때 기동력에서 큰 장점을 가졌었습니다. 아무리 해류가 심해도 제자리 선회가 가능해서 한쪽 화포를 쏘고 반대편 화포로 2연타를 먹일 수 있었습니다.
당시 왜선은 빠르게 적에게 접근해 백병전을 치루고 물건이나 사람을 약탈하는 것이 목적이었기에 가볍고 빠르게 만들어졌으며, 배의 밑 부분이 뾰족해서 장거리 항해에서 판옥선보다는 유리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특징은 남해안에서 조선 수군과 싸울때 계속 약점으로 작용했습니다.
판옥선은 임진왜란 이전부터 왜구의 침공을 막기 위해 튼튼하고 높이가 크게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관료의 보고로는 '바다 위를 떠다니는 성과도 같다' 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니까 왜군이 조선 수군의 불화살 세례와 화포를 맞아가면서 접근해도, 막상 공략하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판옥선은 당시 조선에서 많던 소나무 등을 써서 왜선보다 내구도가 강력했고, 나무못을 사용했기에 선박을 파괴하지 않고 그대로 해체하여 수리한 다음 조립이 가능한 정도였습니다. 왜선은 쇠못으로 배를 만들었기에 바닷물에 부식되어서 꼼꼼한 관리가 더 필요로 했었습니다.
(판옥선이 과연 2층 구조였느냐 3층 구조였느냐는 과거 논쟁이 있었습니다만, 하여간 판옥선은 한국형 선박이 한국 지리에 최적화되어 적군을 맞이하면 얼마나 큰 활약을 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와 같이 무기 개발 또한 한국의 실정과 경제, 안보, 지리에 맞는 역할을 해야 비로소 최고의 성능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미국 무기가 무조건 비싸고 좋다고 사서 쓰는 것보다도, 직접 우리가 스스로 개발하면 가격도 더 싸면서도 적절한 성능을 뽑아낼 수도 있습니다.
미국이 워낙 방산업이 발달해서 그렇지, 미국 또한 이러한 사실을 잘 알기에 무기를 개발해도 다양한 개량형을 준비합니다. 한국군 또한 K-9을 노르웨이 같은 북유럽에 수출할 당시 동계장비로 개량한 버전을 수출하기도 했습니다.
결국에는 다시 수험생들의 이야기로 돌아갑니다. 당장 수학만 보더라도 하나의 문제에 대해서 다양한 풀이가 존재합니다. 여러분은 남들이 다 쓴다고 유행하는 풀이에만 집착하면 안됩니다. 그 방법이 정말 잘 맞고 이해가 되서 완전히 체득하면 좋겠지만, 그러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
결국 여러분은 선생님의 풀이를 1차원 적으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선생님들의 풀이와 의견을 보고 종합하여 마지막으로 자신에게 가장 알맞는 경로, 과정을 선택해야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문제 풀이라는 큰 틀이 될 수도 있고, 세세하게 미지수를 설정하는 사소한 습관이 들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KF-21처럼, '자신형' 문제풀이 체계, 수능 사업을 개발해야 하는 것입니다. 각자 성격이나 내공에 따라 최적화된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무조건 전교 1등의 풀이법을 따라갈 필요가 없습니다. 조금 느리더라도 여러분에게 알맞고 정확도가 높다면 그 풀이 또한 좋은 방법입니다.
전쟁사 시리즈
https://orbi.kr/00020060720 - 1편 압박과 효율
https://orbi.kr/00020306143 - 2편 유추와 추론
https://orbi.kr/00020849914 - 번외편 훈련과 숙련도
https://orbi.kr/00021308888 - 3편 새로움과 적응
https://orbi.kr/00021468232 - 4편 선택과 집중
https://orbi.kr/00021679447 - 번외편 외교전
https://orbi.kr/00021846957 - 5편 공감과 상상
https://orbi.kr/00022929626 - 6편 정보전
https://orbi.kr/00023174255 - 7편 실수와 인지오류
https://orbi.kr/00023283922 - 번외편 발상의 전환
https://orbi.kr/00023553493 - 8편 준비와 위기대응
https://orbi.kr/00023840910 - 번외편 비전투병과
https://orbi.kr/00024082234 - 9편 예상과 예측
https://orbi.kr/00024160983 - 10편 신뢰성
https://orbi.kr/00024418374 - 번외편 보안
https://orbi.kr/00024715925 - 11편 기출분석
https://orbi.kr/00025035755 - 12편 파일럿 교육 양성
https://orbi.kr/00025121266 - 13편 인적자원과 교육
https://orbi.kr/00025579054- 14편 설계사상
https://orbi.kr/00026239605 - 15편 독소전쟁
https://orbi.kr/00026862509 - 16편 목적과 효율
https://orbi.kr/00027274206 - 17편 현대전의 발전 양상
https://orbi.kr/00027336409 - 번외편 항공모함 시대의 도래
https://orbi.kr/00027382337 - 18편 러일전쟁
https://orbi.kr/00027503697 - 번외편 기만과 속임수
https://orbi.kr/00027559260 - 번외편 MHRD
https://orbi.kr/00027622118 - 번외편 미래의 전쟁
https://orbi.kr/00027786178 - 19편 의료전선
https://orbi.kr/00028148901 - 20편 중립과 군사력
https://orbi.kr/00028250151 - 21편 장전과 방아쇠
https://orbi.kr/00028339193 - 번외편 음식
https://orbi.kr/00028397136 - 번외편 잠수함
https://orbi.kr/00028594440 - 22편 단순함과 효율
https://orbi.kr/00028616772 - 23편 준비
https://orbi.kr/00028633462 - 번외편 기업가정신
https://orbi.kr/00028751436 - 번외편 단수와 보급
https://orbi.kr/00028918449 - 24편 자율성과 민주주의
https://orbi.kr/00028929569 - 25편 경험과 실패
https://orbi.kr/00028954207 - 26편 문화
https://orbi.kr/00029459571 - 번외편 인디아나폴리스 침몰사건
https://orbi.kr/00030326474 - 27편 낙엽이 지기 전에
https://orbi.kr/00031115960 - 28편 늑대떼와 양떼
https://orbi.kr/00031424411 - 29편 불공평하다
https://orbi.kr/00031680019 - 30편 명분과 세계관, 그리고 편견 (1)
https://orbi.kr/00031924410 - 31편 명분과 세계관, 그리고 편견 (2)
https://orbi.kr/00032009629 - 32편 명분과 세계관, 그리고 편견 (3)
https://orbi.kr/00032048830 - 번외편 미래전
https://orbi.kr/00032500068 - 33편 실험과 도전
https://orbi.kr/00032718240 - 특집 최선의 응전
https://orbi.kr/00033073626 - 21세기의 이순신, 손원일 제독과 대한해협 해전
https://orbi.kr/00033320700 - 번외편 조선의 근대사, 주미대사공사관
https://orbi.kr/00033748310 - 번외편 625 전쟁과 한국(국뽕?)
https://orbi.kr/00033819121 - 번외편 미국의 이순신, 엔터프라이즈호(1)
https://orbi.kr/00036413598 -번외편 미국의 이순신, 니미츠 제독
https://orbi.kr/00036517472 - 3.1절 특집 스티븐슨 저격사건
https://orbi.kr/00036830474 - 34편 리더의 자격, 권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36956874 - 35편 마지노선과 요새
https://orbi.kr/00037322594 - 36편 훈련할 때의 땀 한 방울은, 실전에서의 피 한 방울이다
https://orbi.kr/00037697676 - 번외편 작은 고추가 맵다
https://orbi.kr/00038019705 - 번외편 한국 국가정보원
https://orbi.kr/00038076895 - 37편 항공모함 관제 요원
https://orbi.kr/00038999160 - 38편 실전과 체험
https://orbi.kr/00039220464 - 39편 최대의 적은 자신 속에 있다
https://orbi.kr/00039859557 - 40편 현상과 본질
알고리즘 학습법(4편예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536482 - 9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794208 - 10편
https://orbi.kr/00038933518 - 11편 마지막
삼국지 이야기
https://orbi.kr/00024250945 - 1편 일관성과 신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계산 열받네, 미지수 좀 숫자로 바꿀까
-
수열보다는 당연히 낫지만 그래도 사람 턱턱 막히게 하는 그런게 있다...
-
나도 들을까
-
수능 다시도전 8
2022수능때 한양공 들어갔다가 휴학하고 2025수능때 22222받고 실패했는데...
-
합성인가?
-
n수 정시 농어촌 7글자로 웃음벨
-
대한항공 기장·부기장, 호주서 '탄핵' 대화 중 주먹다짐...중징계 처분 2
대한항공의 기장과 부기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여부를 두고 이견을 보여...
-
우에노공원에서 아사쿠사까지 산책하고 아사쿠사에서 길거리 음식 먹으면서 놀기로 했는데...
-
현장이었으면 이것도 다 못 풀고 0점임
-
으르렁 월월월 0
거지됬다...
-
이재명, 개헌 동시투표 반대 뜻…“내란 종식이 먼저” 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전날 제안한 개헌과 관련해...
-
반지름이 R인 원 O에 내접하는 예각 삼각형 ABC|ABC|=a, BC=bA를 O에...
-
친한애 군대간다고 밥사준다했는데 4명댈꼬오노;; 고기사달라고 앰병하는데 30나갈듯 허;;;
-
수학 고정1 나올정도 만들고 다음에 무슨과목 공부함? 고딩때부터 한과목 클리어 >...
-
으악..
-
저 문제는 7
뭘까 어떻게 만든 건지도 궁금함
-
방사능인가요?
-
랑카 30을 풀 수 있는 인간과 없는 인간
-
ㅇ.
-
04년생 여자입니다 사실 삼수해서 대학온건 아니고 재수인데 사정상 1년 꿇었어요...
-
아무리 좋아했어도 500화가까이 있어도 4일만에 정독하고 그 이후로 안봄 새로운...
-
Hint)https://orbi.kr/00072749601, 문제 답:...
-
피고인(25세, 남성)은 아파트 엘리베이터 내에 갑(11세,여성)과 단둘이 탄...
-
경선 없이 전광훈 단수공천으로 결정돼
-
에어팟 헤드폰 3
육군 싸지방에잇는 구데기 헤드폰쓰는중인데 진지하게 에어팟프로2보다 더 음질이좋음.....
-
사문 기출교석 교재 괜찮은거 없을까요? 후보는 사만다 기파급 정도 떠오르는데.....
-
운동 10년차(복싱 10년, 웨이트 3년) 3대 565(B 145, D 220, S...
-
지금까지 살면서 본 수학 영역 문제들 중에 가장 머리 아팠던 문제가...
-
중간기말 과제 대체가 넘무 많아.. 과제 못하면 난 성적 마이너스 4.3 받고 퇴학당할지도몰라..
-
허리조심하세요 3
크아악
-
기출 공통 선택 한완기로 싹돌렸어요 바로 n제로 들어가도 될까요? 수학 백분위 89~91 현역
-
오르비 ㄹㅇ 오랫만이다 10
8살인대데학교왓더요 후에에 8살한테너무가혹해요 ㅠㅠㅠ
-
싶다를 검색하면 그 커뮤니티의 수준을 알 수 있다는데 10
마라탕 먹고 싶다 더 자고 싶다 삼양라면 먹고 싶다 휴대폰 없는 세상에 살아보고...
-
사탐추천 2
생윤 윤사 둘다 해보신분들 (맛보기x) 장단점이랑 하나만 추천한다면 뭐할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
지금 생1 지1인데 생1은 백분위 고정 98이상이고 지1은 백분위 90~96인데다가...
-
과탐 회생방안 1
수시- 문과생들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이 내신 선택과목으로(괄호 안은 22개정 기준)...
-
주변에 인프라도 없고 그렇다고 농어촌도 안되고 애매하게 이게 뭐야
-
어색해 힝 ㅠ
-
저는 나약합니다
-
엔비디아 2주석 돌파
-
윤통께서 탄핵을 당하시니 벌써부터 물가가 오르네요 조기대선에 윤통이 재출마하셔서...
-
볼펜드리려고 했는데 아무리 그래도 서강대 각인되어있는 볼펜 드리는건 좀 아니겠죠?...
-
https://orbi.kr/00072749601 N제 풀다 나온거 조금 일반화한건데
-
뭔 별의별..
-
근데 야발 뻘글 왤케 많음;;;
-
1. 자료가 부족하지 않음 뭐풀지 고민하는 시간도 줄일 수 있음 2. 인강보다...
-
팬티 자꾸 찢어지네 26
남은게 몇장없는데 이러다 삼일에 한번 갈아입겟고만..
-
신기하당
-
화작 98 사탐 99라 했을 때 미적 어느정도 나와야함?
-
난 재밌는데 4
힝

오랜만에 뵙네요 손생님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