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이야기 10편 - 신뢰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4160983
우리 수험생들도 샤프라던지 노트라던지 이것저것 잔고장이 발생하는 물건이 많습니다. 컴퓨터용 싸인펜에서 갑자기 잉크가 흘러나온다면 아주아주 짜증나겠죠?
마찬가지로 군인들이 쓰는 병기, 무기, 화기들도 고장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수능을 치르는 중에 발생하는 고장과 사고처럼, 전쟁이나 전투 중에서 발생하는 고장은 매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갑자기 탄이 걸려서 적군과 교전 중에 총이 작동을 멈추면 그냥 죽는 겁니다.
심지어 무기들은 아주 위험한 물건입니다. 각종 화약과 폭발성 물질을 다량으로 쓰기 때문에, 탄이 걸려서 작동을 안하는 수준의 사고와 고장에서부터 아예 자기 혼자 폭발해버리고 아군을 휩쓸어버리는 대형사고가 터질 때도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훈련 중 K-9 자주포가 폭발하는 사고로 안타까운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 일이 있었습니다.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아서 터졌다는 주장은 말이 안됩니다.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쓸 물건이 단순히 관리 못해서 터진거라고 하면 어느 병기가 전쟁에서 쓰일 수 있겠습니까?)
따라서 병기의 '신뢰성'은 병기의 질을 결정하는 매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아무리 성능이 좋아도 신뢰성이 떨어진다면 절대로 군인들이 쓰지 않겠죠. 전쟁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 유일하게 군인들의 목숨을 맡길만한 물건인데 혼자 폭발사고로 터져나가면 누가 의지하려고 하겠습니까.
병기의 신뢰성은 대단히 중요해서, 정말 적절하지 못한 운용과 교리로 사고가 난 사례도 다수 존재합니다. 아군이 패배하고 도망가는 와중에서 쓸데없이 비용의 문제로 비싼 무기를 들고 도망가다가는, 상대방의 공격에 자폭이 나서 오히려 더 큰 피해를 낸 경우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아마도 들어보셨을 일본 최대의 전함 '야마토'는 비록 전투로 거의 목숨이 끊어질 상황이긴 했으나, 최후가 더 안습이었습니다. 함체가 기울어지면서 탄약들이 쏠리고 폭발에 휘말려 자기 자신의 포탄에 목숨이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합니다
(저기 사진에 보이는 배들이 수백미터 짜리 초거대 군함들입니다. 유폭으로 최후를 맞이한 야마토가 얼마나 요란한 최후였는지 아시겠죠? 일본해군은 보통 상대방이 때린 것보다 더 심하게 처맞는 일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병기를 생산하고 설계할 때도 이 신뢰성 때문에, 되도록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지향합니다. 부품이 많아지고 복잡해질 수록 고장이 날 확률도 높아지며 수리비용도 커집니다. 또한 부품을 조달하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되도록 적은 종류의 부품으로 쉽게 구성된 물건이 가치가 높습니다.
심지어 우리 민간인들이 살게되는 집도 처음 입주하면 잔고장 잔수리를 많이 하고 나서야 비로소 완전한 집이 됩니다. 무기 또한 마찬가지로 잔고장이 쉽게 발생하기도 하며 항상 충격과 극한의 상황에서 쓰기 때문에 내구도와 신뢰성이 강조됩니다.
(세계 2차대전 중 개발된 영국의 '스텐기관총'은 단가가 싸고 매우 쉽게 만들 수 있었으나 극단적인 설계로 인해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고 지멋대로 발사되어 악명이 높았습니다)
현대의 화약은 이러한 점 때문에 적절하게 정해진 신관에 의한 자극에만 반응하여 터지게 설계됩니다. 총을 쏘거나 불로 지져도 지정된 조건에 맞지 않으면 폭발하지 않습니다. 그만큼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아진 것이지요. 과거 단순한 형태의 화약을 쓸때는 적군의 공격에 유폭이 나서 아군이 몰살당하기도 하는 수난을 겪다가 결국 이 부분도 극복되었습니다.
자기 손에 쥐어진 무기가 제대로 작동도 안하고 시도때도없이 스스로 터져서 내 손모가지를 날려버리면 누가 그 무기를 쓸까요. 아마 군인 대부분은 그런 무기는 다 전투 초반에 버려버리고 도망칠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도 병기 공학자들은 더 높은 신뢰성, 안전성을 가진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머리를 싸메고 설계하고 있습니다. 공학자들이 더 좋은 설계를 열심히 만들어 낼수록, 생산단가는 더 효율적으로 지출되며 안전성은 더 올라갈 것입니다.
(이런 병기의 구조는 대단히 중요해서, 현대에 살아남은 총 중에선 간단한 구조와 적은 부품 덕에 가성비가 높게 평가되는 무기들도 있습니다.
http://bemil.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1/2018041101772.html )
무기에서도 부품이 적게 들어가고 덜 복잡한 구조를 가질수록 고장날 확률은 낮아집니다. 마찬가지로 여러분이 쓰는 풀이도 간단하면서도 반드시 중요한 핵심만 짚은 풀이는 실수가 발생할 확률이 낮습니다. 쓸데없이 길게 나열해서 풀어쓴 풀이를 달달달 외운다면 분명 어디선가 삐끗할 것입니다.
병기에서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이 적게 요구될 수록 안전성이 높아지듯, 여러분의 풀이와 생각의 구조도 단순명료하고 효율적일 수록 잔실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제가 글을 쓸때도 말을 엄청 길게 하면 어디선가 오타가 발생할 확률이 있겠지만, 짧게 이야기 하면 그만큼 실수할 확률도 줄어들겠죠.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여러분이 더 효율적이고 짧게 목적지로 도달하는, 부품과 과정이 덜 들어가는 좋은 풀이를 개발해야 합니다. 평소 공부할 때는 항상 쓸데없이 길고 실수가 발생하는 방법으로 풀었다면 분명 시험에서도 비슷한 짓을 하다가 실수가 나서 점수를 깍아먹을 것입니다.
병기에서 고장이 나고 폭발 사고가 발생할 여지를 줄여야 하듯이, 여러분도 풀이의 시간을 줄이고 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답을 도출할 수 있는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은 풀이를 항상 고민해야 합니다.
전쟁사 시리즈(약 11편 예정)
https://orbi.kr/00020060720 - 1편 압박과 효율
https://orbi.kr/00020306143 - 2편 유추와 추론
https://orbi.kr/00020849914 - 번외편 훈련과 숙련도
https://orbi.kr/00021308888 - 3편 새로움과 적응
https://orbi.kr/00021468232 - 4편 선택과 집중
https://orbi.kr/00021679447 - 번외편 외교전
https://orbi.kr/00021846957 - 5편 공감과 상상
https://orbi.kr/00022929626 - 6편 정보전
https://orbi.kr/00023174255 - 7편 실수와 인지오류
https://orbi.kr/00023283922 - 번외편 발상의 전환
https://orbi.kr/00023553493 - 8편 준비와 위기대응
https://orbi.kr/00023840910 - 번외편 비전투병과
https://orbi.kr/00024082234 - 9편 예상과 예측
알고리즘 학습법(4편예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패션쇼의 계절이다
-
추가 합격하게 되어 기숙사를 19일날 신청하게 됩니다. 지방에서 짐을 택배로...
-
탐구선택 질문 0
연대 자연계열 학과 과1사1로 넣으면 많이 불리할까요? 현재 물리1, 지구1로...
-
Ai피셜 0
“건동홍숙외”
-
어케함? 진짜모름...
-
금발 d컵 태닝 미소녀를 만날 수 있나요...
-
얘네들이 인식 나락보냄 ㅋㅋ 21 화1 역대급 물 시험이라 보는데 47나왔다고...
-
[이데일리 정윤지 기자] 배우 김새론(25)이 사망했다. (사진=김새론 인스타그램...
-
흠
-
파인애플 쥬시쿨
-
빡대가리가 있대요
-
미등록 전추도 뱃지 주게 합니다
-
거기도 수련해야하나요?
-
어떻게 엄청 까끗하게만듦
-
왜클릭? 근데 저거 원래 일본거였구나
-
또 복화술로 인터뷰하는거 보고 싶어요
-
주는거아니였나?
-
이해원 0
이해원 엔제 2025 수2 진짜 대가리 깨지는데 푸는 게 맞나? 7개에서 4개 틀리는데
-
2월중순부터 하는 재수 6월부터 하는 반수 성공률 차이 클까요...
-
남들이 못듣는 작은 소리를 듣는건 아닌데 똑같은 소리를 들엇을때 스트레스를 더받음...
-
과탐선택가이드 2
그럼 죽어
-
누가누가 잘찍나 13
그림 (가)와 (나)는 어떤 사람의 신장에서 물질 X와 Y의 혈중 농도에 따른 단위...
-
헬프.. 0
https://orbi.kr/00072040249/%EA%B5%B0%EB%8C%80%...
-
걍 일본어나 1년반동안 겁나 공부할까..
-
과탐 선택가이드 14
물1 50점 받을 자신 있으면 ㄱㄱ 화1 하지마 씨발 하지마 없는과목이라고 생각해...
-
당신은 존예 18세 미소녀가 됩니다
-
저녁여캐투척 5
음역시귀엽군
-
못들어본 일본 노래 멜로디가 이상하게 익숙해서 찾아봤는데 2
눈의꽃 일본어버전이구나
-
다군은 전추도 주면 안되나..
-
국어 수학 영어 경제 사문 134(98) 127(93) 2 68(95) 68(99) 고대 ㄱㄴ한가
-
채택시 덕코
-
애들을 갱생 시키기 위해 인스타,유튜브 다압수하고 매일9시 2명 모닝콜 하는중 ㅋㅋ...
-
인하대 반수 2
인하대에서 반수할 예정인데 나이는 26수능 기준 4수입니다 대충 어느정도까지...
-
솔직히 수능 또 보는거는 중독 같기도 한데..
-
롤하는 사람들 1
나뺴고 하고 잇으셈 ㅇㅁㅇ..
-
스블 수2 문제 너무 어려운데 계속 들어도될까요... 4
10문제 있으면 푸는건 6문제 남짓인데 드랍하고 딴 거 하는게 좋을까요?
-
과연 여기서 더 충격적인 결과가 나올수 있을지
-
내가0교시와 2교시에 실수를하지않았다면
-
후후
-
붙으면좋은거고 떨어지면아쉬운거고 어차피 원래할려던건 대학 합불하고는 1도...
-
세계 최상위권 한국 대기업 연봉…대체 얼마 받길래 11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우리나라 대기업 임금수준을 일본, 유럽연합(EU)...
-
맞으니까 시발아
-
a학부모가 자식 결석한다고 원장한테 문자 보냄 원장이 나한테 말 안 해줌 난 a가...
-
크로녹스 지1 1
크로녹스 베이직으로 하는게 낫나 어느정도 개념은 되어있긴한데.. 상중하 다 보기는...
-
9개월뒤 공개
-
생윤 질문! 0
2단원 삶과 죽음의 원리 중 죽음을 통해 도덕성을 실현해야 한다고 보지 않는 학자가...
-
맨날 반박이랍시고 너네가 ~햇으면 안 그랬을 거잖아 라는 지 혼자 망상으로 내는...
항상 재밌게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