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이야기 번외편 - MHRD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559260
어째서 번외편이 이렇게 많이 나오는거지? 소재가 고갈되었기 때문이지
전쟁은 단순히 우리가 영화에서 보듯이 기관총과 대포만으로 구성된 것이 아닙니다. 옛날 병농일치 시대에는 농민을 그대로 군대로 끌고갔는데, 그럼 당연히 농사 못짓겠죠? 그런 문제가 생겼기에 농번기에는 군대가 다 집으로 돌아가야 하는 등 여러가지 비용이 발생했었습니다.
미국의 남북전쟁 이후 현대적인 기준의 전쟁이 출현하기 시작했고 기존과는 다른 수준의 정밀하고 효율적인 체계가 요구되었습니다. 이전의 전쟁들은 단순히 거대한 군대가 한번의 결정적인 싸움으로 국가존망이 결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철도와 수송의 발달, 인구의 증가, 병기 화력의 발전으로 단순히 한번의 싸움으로 모든 것이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본격적으로 국가가 자국의 국민과 자원을 쏟아붓고, 치열한 소모전을 바탕으로 오랫동안 충돌하고 난 후에야 승패가 결정되는 총력전의 시대가 옵니다.
그런 와중에 세계 1, 2차 대전은 인간과 산업에 대한 새로운 학문을 파생시킵니다. 바로 HRD라 불리는, '인적자원개발'이라는 분야의 등장입니다.
(인적자원개발론이라는 학문은 현재 교육학이나 산업공학에서 다루는 학문으로, 인간의 능력에 대한 이해와 교육을 통한 발전에 대해 연구합니다. 또 인간이 모인 조직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관리하는 것도 공부합니다
https://www.shutterstock.com/ko/search/hrd )
1차 세계대전이 터지면서 필요한 군인의 숫자가 무지막지하게 늘어났습니다. 세계 1차대전이 끝난 시점에서, 각 가정마다 어떻게든 연관된 친척 남자들은 전쟁에 참전하거나 전사한 경험이 있을 정도로 수없이 많은 인명이 소모되었습니다.
젊고 건강한 남자는 모두 입영 대상이 되었으며, 이 대량의 민간인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군대에 투입시켜야 했습니다. 그런데 국가 기관은 이들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지 못합니다. 원래 관심사가 뭐였는지, 지능 수준이 어느정도인지, 체력이나 건강은 얼마나 좋은지 등등.
그래서 일관된 규칙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지적 수준을 과학적으로 측정할 도구가 요구되었고, 그 결과 IQ검사가 등장합니다. 이전까지 간간이 IQ검사가 개발되어 왔는데 이것이 획기적으로 정리되고 사용된 것은 제 1차 세계대전입니다. 복무에 적합한 수준의 최소한의 지능을 가진 사람들을 빠르게 선별하기 위함이었죠.
또한 과거에 비해 현대의 무기 체계는 복잡해졌고 사용법이나 수리 방법, 전술의 복잡성이 더 어려워졌습니다. 같은 무기를 다루는 방법을 가르치는 과정에서도 누구는 더 쉽고 빠르게 배웠습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더 적은 시간 안에 다양한 것을 가르칠 고민을 하게 됩니다.
한국 근대사에도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있는데, 에서는 임시정부의 광복군을 본 외국인 심리학자가 광복군 군인들의 IQ가 뛰어난 편이라고 평가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실제로도 세계 기준으로 한중일 국민의 IQ가 높은 편인데 아마도 맞는 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와 달리 이제 전쟁에는 다양한 직무의 군인이 필요하고, 또 각 분야에 대한 숙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 방법과 과정이 정해져야 했습니다. 공학적으로 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지금의 산업공학, 인간공학 HRD까지 이어집니다
https://brunch.co.kr/@masturno1/4 )
특히 세계 2차 대전은 1차 대전보다도 더 많은 인명과 병기를 소모하는 전쟁이었습니다. 태평양과 유럽을 두고 거대한 두 세력이 맞붙었고, 해군 항공대, 해병대, 육군, 공수부대, 공병부대, 보급병 등 다양한 분과의 군인들이 필요했죠. 또한 보급에 필요한 물자의 가짓수도 늘어나서 한정된 자원 내에서 최적의 조합과 경우로 물자를 맞춰 보급하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산업공학과 시스템 체계의 중요성도 대두됩니다.
제가 작년에 이런 HRD에 관한 학술대회에 참석해서 MHRD라는 주제로 발표를 들었습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한국의 경우 젊은 남성의 90% 이상이 군 복무를 하게 되는데 이 사람들이 복무 중에 유용한 기술이나 지식을 배워서 조금이라도 군대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학문이 있더군요.
개인의 입장에서는 평소 하던 학업이나 직업을 포기하고 군복무를 해야하기에 경력단절 문제가 심각합니다. 또 군대를 가서 오랫동안 사회에서 격리된다는 것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희생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손실입니다. 젊고 혈기왕성한 인구가 소비와 생산활동을 해야 경제가 계속 굴러갈텐데, 이들이 사회의 기준에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일을 하고 있기에 아깝다고 생각이 들 수 있겠죠.
이렇게 여러가지 비용이 드는데, 그렇다고 한국이 징병제를 쉽게 포기할 수도 없는 상황이기에 군복무를 하면서도 최대한 비용과 손실을 줄여볼 고민을 하는 연구에 대한 발표를 들어보니 참 흥미로웠습니다. 요새는 군복무 중에서도 학점을 딸 수 있거나 직업에 관한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배려를 한다고 들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시간과 돈이 드는 일을 어떻게 하면 최대한 절약하면서도 긍정적인 부분을 극대화할까를 고민합니다
군 인적자원개발의 필요성과 효과 분석, 김성훈(국방대학교), 권영성(합동군사대학교))
과거의 전쟁은 주먹구구 식으로 어떻게든 잘 굴러갔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정확히 몇시간당 얼마에 몇개의 무기를 찍어낼 수 있느냐부터, 한 사람이 어느정도의 전투력을 가질때까지 얼마의 교육 시간이 소요되느냐, 더 적은 자원으로도 어떻게 조직을 만족스럽게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느냐 등등 다양한 고민이 생기죠.
소재가 슬슬 고갈되는거 같아서 그나마 교육 관련된 거 생각나서 전쟁사랑 좀 엮어보았습니다.
전쟁사 시리즈
https://orbi.kr/00020060720 - 1편 압박과 효율
https://orbi.kr/00020306143 - 2편 유추와 추론
https://orbi.kr/00020849914 - 번외편 훈련과 숙련도
https://orbi.kr/00021308888 - 3편 새로움과 적응
https://orbi.kr/00021468232 - 4편 선택과 집중
https://orbi.kr/00021679447 - 번외편 외교전
https://orbi.kr/00021846957 - 5편 공감과 상상
https://orbi.kr/00022929626 - 6편 정보전
https://orbi.kr/00023174255 - 7편 실수와 인지오류
https://orbi.kr/00023283922 - 번외편 발상의 전환
https://orbi.kr/00023553493 - 8편 준비와 위기대응
https://orbi.kr/00023840910 - 번외편 비전투병과
https://orbi.kr/00024082234 - 9편 예상과 예측
https://orbi.kr/00024160983 - 10편 신뢰성
https://orbi.kr/00024418374 - 번외편 보안
https://orbi.kr/00024715925 - 11편 기출분석
https://orbi.kr/00025035755 - 12편 파일럿 교육 양성
https://orbi.kr/00025121266 - 13편 인적자원과 교육
https://orbi.kr/00025579054- 14편 설계사상
https://orbi.kr/00026239605 - 15편 독소전쟁
https://orbi.kr/00026862509 - 16편 목적과 효율
https://orbi.kr/00027274206 - 17편 현대전의 발전 양상
https://orbi.kr/00027336409 - 번외편 항공모함 시대의 도래
https://orbi.kr/00027382337 - 18편 러일전쟁
https://orbi.kr/00027503697 - 번외편 기만과 속임수
알고리즘 학습법(4편예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삼국지 이야기
https://orbi.kr/00024250945 - 1편 일관성과 신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텅빈 내 잔고도 0
야망으로 채워
-
ㅇ
-
월례 ㅈ망 0
수학이 드디어 사람취급 받을만한 성적이 나왔는데 I'm not korean anymore
-
러셀 단과 1개들어도 가격이 비슷하네
-
2506 화1 5
17분컷 50점. 아니 왜 더프만 보면 못해지는거지 내가 이상한건가
-
안녕하세요 박재휘T입니다:) 오늘은 영어 단어 암기법에 대해서 간단히 팁을 드릴려고...
-
어떤걸 거쳐야 얻을수잇는정보는 그냥 외우는게맞음? 예를들면 지구 z값에서 관측파장이...
-
.. 1
-
더프 대비 난도는 어떠려나 갤 들어가보니까 어려웠던거같기도 하고 따로 구해서 풀어볼...
-
그렇다 0
라고 믿었던게
-
저메추 5
ㄹㅇㅋㅋ
-
유리천장 문제 하나를 20분동안 푸네 여성권익운동가인 줄 알았음 여자수강생도 많아서...
-
2026 정석민 비독원 베이스,이기상 한지 이것이 개념이다 싸게 팔아요 0
정석민 비독원베이스 본교재는 총 128쪽중에서 맨앞 7쪽만 풀었고 피드백 교재는...
-
공부계획땜시
-
경한에서도 소수 빼면… 의대 버리고 난 한의사가 너무 되고 싶었어 이러시면서...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5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ㄹㅇ
-
메가 채점 이력 0
24수능 채점 결과 못보나요??
-
안보임... 폐강되었나
-
더프 확통 후기 2
공통은 저보다 잘하시는 분들 많으니 패스 확통 난이도는 무난한듯합니다 작년9평정도?...
-
ㅇㅇㅇ8
-
이번 5월 더프 2
원래 더프가 평가원보다 훨씬 어렵고 등급도 받기 힘든가요?
-
맨유진짜.. 0
어휴.
-
수능공부해야겟다
-
영어 유기 0
작수 이후로 영어 손안댔는데 조졋네 6모 이후부터 시작해도 되려나
-
ㅇㅇㅇ
-
앞으로 10년정도는 계속 수능현장응시 할듯 그 날만의 그 느낌과 도파민이 너무 좋아
-
ㅅㅂ 어쩐지 안 보이더라 건물만 보이길래 시장 어딨노 했는데 이러니까 못 찾지
-
네이버 기사 댓글이나 쓰라고 ㅋㅋ
-
고대 가려면 4
뭐 잘 봐야하는 과목과 조금이나마 못 봐도 되는 과목은 뭔가요? 반영비보고왔는데 감이 안 잡히네요
-
개다굴쳐놓고 현규 다굴할 땐 이건 아니잖아 ㅇㅈㄹㅋㅋ
-
독해가 튕기지
-
국어 화작 77 수학 확통 65 영어 71(3) 생윤 33 ㅠㅠ 보정으로 보고싶어요
-
ㄱㄱ
-
1교시 있는 날은 종종 애용해야지 아직 아아는 무리
-
뭔가 기분이 ㅈ같네
-
ㅇㄷㄴㅂㅌ 6모 목표 국수22 나머지444
-
왓 더 fuck 0
생윤 5덮 28점 나왔는데 무보 몇 뜰까요..?
-
수학 > 국어 > 생명 > 화학 > 언매 > 영어
-
궁금
-
5덮 정법 9
어떠셨나요 제가 만든 문제도 4개정도 있네요
-
99.77 0
사실 5모 개망쳤는데 경제로 표점 개달달함ㅋㅋ
-
뉴런 확통 끝났는데 이번 5모 확통 29 30 틀렸습니다 어떤 교재를 풀어야될까요...
-
문학 간만에 30분 오버 (보기문제들이 뭔가 답내면서 확신못함) 가나형 개씹이었는데
-
탐잘싶 1
물잘싶 화잘싶 생잘싶 지잘싶
-
ㅠㅠ
-
그거 아심? 0
작년에 생2 5,6,7,9,10,수능 만점 받은 사람 잇음
냉전과 현대전으로 간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