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이야기 번외편 - 비전투병과(분량조절실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840910
보통 전쟁이라고 하면 서로 간에 포격을 주고받고 병사들이 목숨을 걸고 물리적으로 전투를 벌이는 장면을 상상하실 것입니다. 그러나 제가 여러 편의 전쟁사나 직업 칼럼을 통해, 이런 주류이미지 외의 비주류 이야기를 많이 했었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단순히 전투병과들을 무식하게 몸만 쓰는 사람들이라고 절대 비하하지 않습니다. 각자 자신의 장기와 특성을 이용해서 군대에 기여할 뿐이지, 주류나 비주류로 나눌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앞서 언급한 비주류는 단순히 비율차이로 쉽게 구분한 것일 뿐입니다.
사람들이 소방관 하면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나요? 거대한 화마에 맞서는 소방관들을 떠올릴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소방관의 업무 중 직접 화재를 진압하는 것은 전체에서 적은 비율입니다.
그러나 업무횟수가 적다고 해서 불필요한게 아니죠, 화재는 매우 큰 사건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소방관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이러한 문제를 최대한 빠르게 해치워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매년 소방관 순직 사례가 발생하는데, 당연하게도 대부분의 순직은 이런 극단적인 화재진압 발생 중에서 발생합니다. 전체 업무 중에서는 발생 비중이 낮으나 그만큼 위험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매년 위험한 업무 중에서 순직하는 소방관이 발생하며, 이들의 희생은 주변 동료들에게 강한 PTSD를 유발한다고 합니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8/03/206435/)
실제로 경찰관이 직접 물리적으로 출동해서 용의자를 검거하거나 중재하는 행위는 전체 업무의 30%라고 합니다. 그 외의 시간에는 다른 행정적인 일이나 상담, 용의자 감시 등을 하겠죠.
그러나 경찰관의 이미지는 범인을 쫓아가서 제압하는 장면이 쉽게 떠오릅니다. 왜 그렇습니까? 그게 가장 중요한 일이며, 그 일을 잘 해야지 또 다른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찰이 제대로 범인을 쫓아가지 못하거나, 시민을 보호하지 못한다면 이는 더 큰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찰 또한 소방관과 마찬가지로 여러 상해를 입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 이런 업무에서 발생합니다.
스타크래프트 여러분 아마 다들 아실 것입니다. 테란 유닛에는 마린(해병)만 있습니까? 직접 총을 들고 싸우는 유닛만 존재합니까? 아닙니다. 사이언스 배슬은 갖가지 과학전을 통해서 아군을 보호하거나 적군을 저지합니다.
메딕은 여러 유닛을 치료하여 다시 싸울 수 있게 도와줍니다. SCV는 기초 공병으로서 건물을 짓고 자원을 채취하는 테란의 버팀목입니다. 굳이 직접 싸우지 않아도 충분히 군대라는 집단에서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테란의 SCV는 재료공학, 기계공학, 건축공학을 전부 마스터한 든든한 일꾼이자 버팀목입니다. 유사시에는 저렇게 직접 싸울 수도 있죠)
오히려 저는 이렇게 직접 뭔가 부딪히는, 누구나 당연히 떠올리는 주류 이미지 외에 알게 모르게 기여하는 직종이나 사람들의 역할을 높이 평가합니다.
로마가 한때 지중해와 유럽을 재패한 제국이었던 것을 아실 것입니다. 그때 로마군은 특히 뭐가 특출 났길레 그렇게 동네에서 깡패노릇을 할 수 있었을까요?
활을 잘 쏴서? 군인이 많아서? 기병이 많아서? 갑옷이 튼튼해서? 무기를 가공하는 제련 기술이 발달해서? 방패가 튼튼해서?
물론 제가 평소 입버릇처럼 말하는 것에서, 대단히 복합적인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할 때 군대는 잘 싸우면 강군이라고 생각하는데, 단순히 잘 싸우는 것만으로는 그렇게 어마어마한 정복자가 되기 힘듭니다. 아무리 잘싸워도 혼자서는 언젠가는 힘이 빠지기 때문이죠(역시 다구리 앞에 장사가 없다)
로마군이 그때 온 나라는 뚜들겨 패고 다닐 수 있었던 이유는, 로마군이 잘 싸우고 전략적으로 머리가 좋아서 작전을 잘 짰다기 보다는, 요약하자면
‘도로를 잘 깔아서 이겻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단히 뜬끔없이 들리겠지만 차차 설명하겠습니다.
(로마군은 잘 싸워서 승리했다기 보다는, 도로를 잘 깔아서 승리했다는 말이 좀 더 사실에 가깝습니다)
로마군이 도로를 엄청나게 잘 깔았습니다. 도로를 잘 깔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보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매우 쉬워집니다.
로마군이 도로를 매우 잘 닦아놓으니 그곳을 통해 보급품이 쉽게 조달되었고, 로마군은 먼거리 원정에서도 보급이 끊기지 않고 전투력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 먼거리를 원정해서 침공을 가하는 군대는 보급선이 매우 길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불리해집니다. 반대로 방어하는 입장은 보통 자기 집 앞마당에서 전쟁을 하기 때문에 보급조달에 유리합니다. 문제는 로마군은 먼거리에 와서도 전혀 지치질 않았다는 것입니다.
로마군과 오래 대치하고 싸울수록 거꾸로 방어자는 보급문제에 시달렸고, 로마군은 든든하게 챙겨먹을꺼 다 챙겨먹으며 우수한 무기를 바탕으로 상대방을 끊임없이 괴롭힙니다. 이러한 이유로 로마군은 ‘창과 방패가 아닌, 삽과 곡괭이로 이겼다’라고 평가받습니다.
이 외에도 로마군은 비전투 분야에서 뛰어난 요소가 많았습니다. 야전병원과 군의관 제도가 매우 선진적이어서, 비전투로 인한 병력손실(전염병, 부상자의 감염, 사고로 인한 상해)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아도 뛰어난 대응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화살촉을 뽑는 군의관의 모습. 당시 시대에서는 사소한 상처로도 파상풍과 세균감염으로 목숨이 달아나는게 일상이었지만, 로마군은 매우 뛰어난 의학기술로 이를 해결한다)
실제로 전쟁이 벌어지면, 직접 나가서 싸우는 사람보다 뒤에서 받쳐주고 보급을 조달하는 인원이 훨씬 더 많이 필요합니다. 한국사의 고수전쟁이나 고당전쟁에서 보면 100만 대군으로 침략했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전투병과 보급병을 모두 포함한 숫자입니다. 오히려 이 인원 중에서 절반 이상이 보급병일 정도로 보급은 매우 핵심적이며 어려운 일입니다.
현대에서도 보급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이게 잘되냐 안되냐로 승패가 갈리는 사례가 무척 많았습니다.
미국의 시빌워, 남북전쟁에서도 사실 싸움 자체는 남군이 더 잘 했습니다. 로버트 리같은 뛰어나다고 명성이 자자한 장군도 남군이었으며, 실제 종전 후 전사자도 북군이 더 많았습니다. 그런데 결국에는 남군이 패배합니다. 왜? 북부는 남부에 비해 압도적인 공업력과 생산력을 바탕으로 군대에 보급을 끊임없이 수송했기 때문입니다.
남부는 북부에 비해 보급상황이 대단히 열악하여, 심지어 자국 수도(리치먼드) 근처에서 북부군과 싸울때도 추위와 배고픔을 참아가며 싸워야 했습니다. 반면 북부군은 전신선과 철도 수송을 통해 탄약, 군수물자, 식량을 지속적으로 보급받으며 끈질기게 싸웁니다. 잘 싸웠지만 결국 보급에 지친 남부군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항복하게 됩니다.
(전략적으로는 뛰어났으나 산업적, 공업적 역량이 부족한 남부가 몰락한 남북전쟁은 현대전의 시작으로 평가받습니다. 이후의 전쟁은 결국 보급역량의 문제로 직결됩니다)
보급에 대한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이 외에도 군대에는 다양한 직군이 존재하며 이들은 각자 자신의 역할에서 중요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고위도에 자리잡아 겨울과 눈이 흔한 핀란드는 2차 세계대전 직전 소련과의 전쟁에서 스키와 썰매를 활용해서 큰 이득을 보았습니다. 눈이 쌓이면 걸어다니기는 매우 힘들어지나, 스키나 썰매를 활용하면 보급과 전투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핀란드의 스키부대는 게릴라 작전으로 열세에도 불구하고 소련군의 혼을 빼줍니다. 현재 러시아에서도 스키나 썰매를 활용하는 특수부대가 있습니다.
미군 특수부대에서 특수작전 기상팀(SOWT)은 아주 독특한 부대입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 전투를 하기보다는, 다양한 관측장비를 가지고 적군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합니다. 현대에서는 헬기와 비행기 등 첨단장비를 활용함에 있어서 풍향과 풍속, 기상 정보는 대단히 민감한 부분입니다.
(기상관측 장비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미 특수부대. 해당 지역에 안전히 착륙하고 수송기나 비행기를 띠울 수 있는지 판단을 하기 위한 필수 정보를 알아낸다)
미군의 강함은 압도적인 보급, 수송 능력과 강력한 화력을 동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옵니다. 세계 항공모함의 절반은 미국의 것이며, 이 외에도 해상, 공중 전력에서 압도적인 화력을 통해 아군을 지원하고 적군을 무력화합니다.
이런 부분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아군에 대한 오폭위험을 줄이고 상대방의 위치와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지원을 요청해야합니다. 이것을 위해 존재하는 특수부대가 있습니다. 미 해병대의 항공함포 연락중대(ANGLICO)는 무전기로 적군 위치에 아군의 화력 투사를 요청합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모르겠지만 아군에 대한 오폭은 매우 심각한 문제이며, 사방에 포탄이 빗발치는 정신없는 곳에서 적군을 정확히 구별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문제입니다. 이 상황에서 정확히 관측하고 화력을 유도하는 이들은 이 분야만 전문적으로 훈련받습니다.
(무전을 치는 미군의 모습. 이들의 호출로 곧 인간이 개발한 가장 강력한 병기가 적군 머리 위에 떨어집니다
http://photolog.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c341&logNo=70102486624&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이번 칼럼을 통해, 싸우는 집단인 군대에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조직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싶었습니다.
전쟁사 시리즈(약 11편 예정)
https://orbi.kr/00020060720 - 1편 압박과 효율
https://orbi.kr/00020306143 - 2편 유추와 추론
https://orbi.kr/00020849914 - 번외편 훈련과 숙련도
https://orbi.kr/00021308888 - 3편 새로움과 적응
https://orbi.kr/00021468232 - 4편 선택과 집중
https://orbi.kr/00021679447 - 번외편 외교전
https://orbi.kr/00021846957 - 5편 공감과 상상
https://orbi.kr/00022929626 - 6편 정보전
https://orbi.kr/00023174255 - 7편 실수와 인지오류
https://orbi.kr/00023283922 - 번외편 발상의 전환
https://orbi.kr/00023553493 - 8편 준비와 위기대응
알고리즘 학습법(4편예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걍 일본어나 1년반동안 겁나 공부할까..
-
과탐 선택가이드 2
물1 50점 받을 자신 있으면 ㄱㄱ 화1 하지마 씨발 하지마 없는과목이라고 생각해...
-
당신은 존예 18세 미소녀가 됩니다
-
저녁여캐투척 2
음역시귀엽군
-
못들어본 일본 노래 멜로디가 이상하게 익숙해서 찾아봤는데 1
눈의꽃 일본어버전이구나
-
다군은 전추도 주면 안되나..
-
국어 수학 영어 경제 사문 134(98) 127(93) 2 68(95) 68(99) 고대 ㄱㄴ한가
-
채택시 덕코
-
남자도 여목 가능하면 되요 우우 여붕아
-
경일 추합으로 문닫고 4개월 독재해서 전남 최초합 햇는데 아쉬움이 남아서요 한 번...
-
애들을 갱생 시키기 위해 인스타,유튜브 다압수하고 매일9시 2명 모닝콜 하는중 ㅋㅋ...
-
인하대 반수 1
인하대에서 반수할 예정인데 나이는 26수능 기준 4수입니다 대충 어느정도까지...
-
솔직히 수능 또 보는거는 중독 같기도 한데..
-
롤하는 사람들 1
나뺴고 하고 잇으셈 ㅇㅁㅇ..
-
옷 핏이 정상화되는게 좋네 거의 항상 정상체중이였다가 고3때 미친듯이쳐먹어서...
-
스블 수2 문제 너무 어려운데 계속 들어도될까요... 2
10문제 있으면 푸는건 6문제 남짓인데 드랍하고 딴 거 하는게 좋을까요?
-
과연 여기서 더 충격적인 결과가 나올수 있을지
-
내가0교시와 2교시에 실수를하지않았다면
-
후후
-
붙으면좋은거고 떨어지면아쉬운거고 어차피 원래할려던건 대학 합불하고는 1도...
-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우리나라 대기업 임금수준을 일본, 유럽연합(EU)...
-
옵붕이 먹었어
-
맞으니까 시발아
-
a학부모가 자식 결석한다고 원장한테 문자 보냄 원장이 나한테 말 안 해줌 난 a가...
-
크로녹스 지1 1
크로녹스 베이직으로 하는게 낫나 어느정도 개념은 되어있긴한데.. 상중하 다 보기는...
-
9개월뒤 공개
-
생윤 질문! 0
2단원 삶과 죽음의 원리 중 죽음을 통해 도덕성을 실현해야 한다고 보지 않는 학자가...
-
맨날 반박이랍시고 너네가 ~햇으면 안 그랬을 거잖아 라는 지 혼자 망상으로 내는...
-
알빠노 내가왜 그정돈가
-
짜증나 짜증나 44>55 수탐퍼거 대학 이 기회 잡아야 한다고
-
일은 해도 해도 끝이 없어서 이걸 완벽하게 해도 저걸 왜 안했냐며 꼽 ㅈㄴ 먹고...
-
카레를 먹는다 1
맛잇구나
-
남친?이랑 싸웠는데 남자 입장에서 남친 심리 분석 좀 8
내가 2년전부터 좋아한 남자가 있는데 저번에 첫데이트함 계속 좋아했다고 사귀고...
-
님들 이성적 어디감 17
-
이거 좋음뇨?? 너무 비싼데 좋다길레 약간 솔깃함 팔랑팔랑
-
몇등급 나올것같음? 고1 3모는 중학수학이잖아
-
언제쯤떠요? 입학처에
-
이게 인기글 1위임
-
내일부터 학원알바야 12
으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하기싫어 그치만 돈 벌어야지…
-
기브 앤 테이크 8
이미지 써주세요
-
현재 본인 상황 10
집 - 세상 누구와도 연락할 수 없음 밖 - 와이파이존에서만 메신저 가능 전화랑...
-
남에게 물어본다고 알수잇지 당연히 남들이 보는 이미지니까
-
영어 진찌 개노잼 과목
-
추합 0
서성한 라인 나군 월요일부터 이전만큼 추합 잘 돌까요??
-
귀찮다... 보통 3월부터 시작하려나요 편입학원 아니다 생각난 김에 찾아봐야지 파이팅
-
툭하면 유심빠졌다고 계속 껐다켰다하던때가 생각나네 cms다니다 엘레베이터 틈새로...
-
화미생지 백분위 88 88 88 88 받으면 공대기준 어디까지 가능하다고...
-
이미지 ㄱㄱ 26
오랜만에 또 써줄게요! 곧 여기말고 옯스타 위주로 활동 예정이라..
-
정규 가면 나아지는건 맞냐..? 중간중간 하이라이트만 골라보는데 기인 빼고 다...
-
중앙대 전과 2
중대 전과 진짜 쉽나요? 어디서는 진짜 쉽다고 실패하기 쉽지 않다고 하는데 또...
좋아요! 다읽었어요ㅎㅎ
군의관이 화살을 뽑아준 저 병사는 무릎에 맞은 화살때문에 경비병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