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국비 고찰 - 주장과 쟁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496698
수국비 관련 칼럼을 굉장히 오랫만에 쓰네요. 당연히 여러분에게 실질적인 국어 실력에 도움이 되는 이야기로 돌아왔습니다. 제가 비록 최근 기출을 다 담지는 않았지만, 여러번 구매자분들로부터 질문을 받았듯이, 수능 비문학의 본질은 전혀 바뀌지 않으며 단지 새로운 껍데기, 형태로 바뀔 뿐이지 유형은 같고 거기서 집중해야할 부분도 동일합니다.
제가 과거 '주장과 쟁점' 파트에서 무엇이 더 중요하다고 했나요? 저는 '쟁점'이 반드시 중요하다고 했으며, 쟁점을 정확하고 명확하게 확실히 이해하고 아는 것이 포인트라고 했습니다. 주장과 쟁점 지문에서 고난도 문제를 보면, 보통 쟁점을 묻는 질문이 많은데 많은 학생들이 이런 쟁점 지문에서 어려운 철학 용어에 정신이 팔려서 정확한 쟁점 파악을 못해서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주장과 쟁점에서 제가 왜 쟁점을 매우 강조했는지, 또한 더불어 실제 우리 사회에서 쟁점화된 이야기를 예시로 들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토론이나 재판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쟁점'입니다. 그야말로 이것을 두고 양 측이 치열한 공방을 벌이니까요. 쟁점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당연히 토론에서도 지고 재판에서도 집니다. 동문서답하는 사람한테 좋은 점수를 줄 리가 없습니다.
https://www.yna.co.kr/view/GYH20170103001100044
아마 과거 이과생, 현재 통합과학을 공부하는 학생 중에서 생물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유전병'이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유전병은 말 그대로 유전되는 질환 정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보통 유전물질에 박혀있어서 자손을 거쳐 계속 남거나, 유전자 전달 과정에서의 오류로 발생합니다.
사회에서는 '가족력'이라고도 하지요. 제 아버지가 비염이 조금 있으신데, 저도 약간 비염으로 인한 코맹맹이 목소리가 납니다. 저희 아버지는 또 무좀이 있으신데, 저도 과거에 잘 안씻을때는 무좀을 앓은 적이 있습니다. 무좀균이 설마 유전이 될 리가 없겠죠. 아마 발가락 모양이 무좀균에게 유리한 형태를 물려받았기에 그런 것일 껍니다.
유전병과 관련해서 매우 대표적인 예시가 '근친혼'입니다. 유전적으로 굉장히 가까운 사람들끼리 결혼할 경우 유전병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하죠. 과거에는 왕족들이나 귀족들이 권력을 유지하고, 재산이 새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서로 결혼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신라에서 4촌간의 결혼이 존재했었죠.
이 때문에 근친혼으로 가문이 몰락한 경우도 있습니다. 과거 합스부르크가는 오랫동안 근친혼을 이어오면서 권력을 유지했는데, 심각한 유전병이 계속 발병하여 결국 권력이 약해지는 일이 있었습니다.
합스부르크 왕가가 앓았던 유전병인 주걱턱이 잘 드러나는 사진입니다.
합스부르크 왕가가 가까운 친척, 심지어 형제자매와도 결혼을 하는 근친혼이 다수 발생했었습니다. 덕분에 권력이 다른 왕가에게 흡수당하는 일은 없었지만, 합스부르크 특유의 유전병이 점점 세대를 걸칠 수록 나타나면서 커다란 생물학적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심각한 주걱턱은 물론 언어를 제대로 발음하고 구사하기 어려웠고, 매우 비극적이게도 음식도 잘 못씹고 지능과 정신에 문제가 있었을 정도입니다. 근친혼이 지나치게 이어지다보니 유전병 관련 인자가 계속 계승되고 좁아지면서 후손들에게 악영향을 미친 것이죠.
그래서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근친혼을 금지한 이유 중에 하나가 이러한 유전병의 위험 발생 때문입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얼마전 이러한 법조항에 대해서 헌법소원이 있었습니다. 한국 법에서는 8촌 이내의 사람들끼리의 결혼을 금지(근친혼 금지)를 해놨는데, 시대가 바뀌면서 사촌만 넘어가도 서로 알기가 힘들고 뒤늦게 8촌 이내 친척이라는 것이 밝혀져서 결혼을 못하는 부작용이 발생했었습니다.
일단 8촌 이내의 결혼을 금지한 법 자체가 굉장히 낡았기 때문에 예전 기준이라서 현대와는 맞지 않다고 봅니다. 과거에는 한국에서 대가족이 보편적이었으나 지금은 핵가족이 보편적이죠. 설날이나 추석 아니라면 친척을 보기도 힘들고, 이웃사촌이라는 말도 있듯이 친척보다도 당장 이웃이 더 중요하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근친혼에 대한 헌법소원에서 이러한 생물학적 문제는 전혀 쟁점이 되지 않았습니다. 헌법소원에서 근친혼에 대해서 쟁점화한 것은 '개인의 행복추구권' 이었습니다. 아시겠지만 한국의 헌법에서는 행복추구권이 명시되어 있죠. 그런데 서로 행복해서 결혼하려고 보니까 8촌 이내라서 결혼을 못하는 경우가 생겼다는 말입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046408
실제로 현실에서 8촌은 굉장히 먼 사이이기도 하면서 해당하는 사람이 꽤 많습니다. 그러니까 인간은 서로 이성과 결혼해서 행복할 권리가 있는데, 8촌이라는 굉장히 넓은 허들 때문에 피해를 보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죠.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유전적인 요소는 전혀 쟁점이 되지 않았고, 오로지 '행복추구권'이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무부에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8촌 이내의 근친혼은 다소 부정적이다면서 근친혼 제한을 옹호했지만, 외국의 경우 자유로운 나라에서는 4촌간의 결혼도 허용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제가 왜 갑자기 앞에서는 유전병 이야기, 근친혼의 부정적인 이야기를 하면서 뒤에서는 헌법소원 사례를 들었느냐? 면 이렇듯 한가지 문제에 대해서 쟁점을 다양할 수 있으며, 해당 쟁점에서 이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겁니다. 만약 생물을 배운 학생이 비문학 지문에 근친혼 금지에 대한 단어만 보고, 편견에 빠져서 유전병과 관련된 것이리라 짐작하고 바로 문제를 풀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다 틀리는 겁니다.
만약 지문에서 '근친혼 반대에 대한 토론'이 나왔는데 핵심 쟁점이 '행복추구권'이라면, 선지에서 이런 행복이나 개인의 자유와 관련된 것들이 정답이 될 확률이 극도로 높아집니다. 여태 비문학 지문을 보면 쟁점을 제대로 이해해야 고난도 문제를 풀 수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만약 헌법소원에서 주요 쟁점은 행복추구권인데, 반박하는 입장에서 생물학적 요소를 근거로 가져온다? 바로 패소하는 겁니다. 주요 쟁점을 정확하고 확실히 이해하여 그에 해당하는 근거와 주장을 펼쳐야지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뜬끔없이 생물학적 요소가 중요하겠거니 판단하고 해당 근거를 가져오면 씨알도 먹히지 않을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근친혼은 보통 유전병 때문에 금지된 것으로 알려져 있긴 하지만, 실사례의 헌법 소원에서는 개인의 행복추구권이 주요 쟁점으로 나왔습니다. 이 쟁점에서 이기냐 지느냐에 따라서 근친혼이 8촌에서 축소되거나, 강화될 수 있는 것입니다. 쟁점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지 토론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비문학 지문에서 이런 주장과 쟁점에 대한 내용이 나왔으면, 쓸데없이 개인의 배경지식과 선입견을 가지고 절대 접근하지 말고, 지문에서 나온 주요 쟁점을 정확히 체크하고 그와 관련해서 읽어나가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아마 여러분이 쟁점만 제대로 파악하면 다 찍어도 70점 이상은 나올 것입니다.
--------------------------------------------------------------------------------------------------------------
그리고 <수국비> 광고를 좀 하겠습니다.
최근 댓글을 보게 되었는데요, 얼마나 감사하던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저는 제가 쓴 전자책이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확신합니다. 절대 실망하지 않으시리라 믿습니다.
판매 링크를 살포시...
https://docs.orbi.kr/docs/7325/
--------------------------------------------------------------------------------------------------------------
수국비 토막연습
1편 - 13년 수능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14년 수능 A형 분광분석법 https://orbi.kr/00028261636
2편 - 16년 9월 A형 산패, 15년 B형 맹자의 의 사상 https://orbi.kr/00028277832
3편 - 16년 9평 B형 사색적 삶, 08년 9평 총체적 인식 https://orbi.kr/00028310551
4편 - 18년 9평 양자 컴퓨터 https://orbi.kr/00028619406
5편 - 15년 수능 B형 신채호 https://orbi.kr/00028709465
6편 - 19년 6평 최한기의 인체관 https://orbi.kr/00028726097
7편 - 13년 9평 B형 각운동량 보존 https://orbi.kr/00028727920
8편 - 17년 6평 인공신경망 https://orbi.kr/00028754733
9편 - 19 6평 사법 우선적용 https://orbi.kr/00028840897
수국비 서론
수국과학 0편 - https://orbi.kr/00024902587
수국과학 1편 - 17년 수능 보험지문 https://orbi.kr/00024908611
수국과학 2편 - 16년 9평 A형 소비자 정책 https://orbi.kr/00024918345
수국과학 3편 - 17년 9평 콘크리트 발전사 https://orbi.kr/00024926865
수국과학 4편 - 16년 9월 A형 해시 함수와 보안 https://orbi.kr/00024974585
수국과학 5편 - 11년 수능 부활절 지키기 https://orbi.kr/00025028419
실전특집) 6편 - 19년 수능 질량문제 https://orbi.kr/00025167180
실전특집) 7편 - 17수능 반추동물 생존 https://orbi.kr/00025178360
실전특집) 8편 - 17년 9평 칼로릭 논쟁 https://orbi.kr/00025194849
실적특집) 9편 - 17년 수능 콰인과 포퍼 https://orbi.kr/00025229117
실전특집) 10편 - 18년 수능 디지털 부호화 https://orbi.kr/00025277899
11편 - 2017 6평 음악의 아름다움 https://orbi.kr/00027301533
12편 - 2007 수능 대중매체 비판 https://orbi.kr/00027388414
13편 - 2011 9형 한계비용 https://orbi.kr/00027569221
14편 - 2017 6평 유비추론 https://orbi.kr/00027801923
15편 - 2013 6평 민주주의 https://orbi.kr/00028092044
수국비 비문학 총론
(초장문)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1편 - 여러분의 슬픈 자화상 https://orbi.kr/00028054862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2편 - 수능 국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8078691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3편 - 우리가 앞으로 할 일 https://orbi.kr/00028124116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4편 - 의미구조와 형식구조 설명(상) https://orbi.kr/00028949557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5편 - 의미구조와 형식구조 설명(하) https://orbi.kr/00028951616
수국비 본론
1) 주장과 쟁점
1편 2017 6평 유비추리 동물실험 https://orbi.kr/00028683142
2편 2014 6평 A형 냉전의 기원 https://orbi.kr/00028727301
3편 2016 수능 B형 https://orbi.kr/00028792523
4편 2011 수능 예술의 소명 https://orbi.kr/00028793561
5편 2017 9평 칼로릭 논쟁 https://orbi.kr/00028833989
6편 2008 수능 하비의 피순환이론 https://orbi.kr/00028836028
7편 2014 6평 B형 반본질주의 https://orbi.kr/00028887440
8편 2015 6평 B형 시민사회 https://orbi.kr/00028892999
2) 목적과 방식
1편 2017 수능 반추동물생존 https://orbi.kr/00028793227
2편 2011 수능 부활절 지키기 https://orbi.kr/00028795674
3편 2007 수능 대중매체 비판 https://orbi.kr/00028843807
4편 2016 9평 A형 소비자 권익 정책 https://orbi.kr/00028845090
5편 2014 6평 B형 저작권 https://orbi.kr/00028859822
6편 2009 수능 음악의 아름다움 https://orbi.kr/00028882888
3) 문제와 해결
1편 2011 수능 자산의 개혁 https://orbi.kr/00028748253
2편 2013 수능 A형 분광분석 https://orbi.kr/00028765766
3편 2015 6평 B형 광고규제 https://orbi.kr/00028773354
4편 2014 9평 A형 공동소송 https://orbi.kr/00028865901
5편 2010 수능 기업결합 심사 https://orbi.kr/00028904958
6편 2016 수능 A형 광통신 https://orbi.kr/00029048528
7편 2017 9평 법인격 부인론 https://orbi.kr/00036384446
4) 현상과 원리
1편 2016 9평 A형 산패 https://orbi.kr/00028779668
2편 13 수능 이상기체상태방정식 https://orbi.kr/00028835529
수국비 팁, 고찰
쉬는편 - 문제풀이의 가성비 https://orbi.kr/00024961979
쉬는편 - 필자 친구썰 https://orbi.kr/00025107702
쉬는편 - 학생 쪽지썰 https://orbi.kr/00025178021
쉬는편 - 붕어빵과 수학 https://orbi.kr/00025267871
고찰 - 왜 주제를 중심으로 읽어야할까? https://orbi.kr/00025295151
고찰 -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5947282
쉬는편 -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 https://orbi.kr/00028653853
팁 - 수능 국어 정답률의 비밀 https://orbi.kr/00028797151
팁 - 반복적인 읽기를 통한 수능 국어 대비 https://orbi.kr/00028921423
팁 - 수능 국어를 '요약하기'로 공부하는 것에 대한 고찰 https://orbi.kr/00033352487
팁 - 교양으로 재밌게 생각해보는 국어 법 지문 '14 6평 A형 입증책임 https://orbi.kr/00033902463
고찰 - 마시멜로 테스트는 틀렸다?? https://orbi.kr/00037014875
고찰 - 주장과 쟁점
수국비 특강
법학 지문 특강 - 1편 15년 9평 A형 자연법과 실정법 https://orbi.kr/00028362387
법학 지문 특강 - 2편 14년 6평 A형 입증책임 https://orbi.kr/00028496296
법학 지문 특강 - 3편 15 9평 B형 설명이란 https://orbi.kr/00028599110
(최종보스) 법학 지문 특강 - 4편 19 6평 사법 우선적용 https://orbi.kr/00028601079
통시성 특강 - 2017 9평 콘크리트 발전사 https://orbi.kr/00028861172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https://orbi.kr/00029456034 - 2편
https://orbi.kr/00029456032 - 3편
https://orbi.kr/00029456035 - 4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각된적은 없는데 불안함 내가 모르고있는게 있을까봐 Hmm…
-
쎈발점중인데 1회독은 예제 + 쎈b 2회독을 스텝업 + 워크북으로 하려는데 쎈b를...
-
한의학에서 암환자, 자가면역질환, 녹내장, 교원병 한약으로 치료한다고 하는 XX들이 있네요 19
한의산줄 알았는데 일본 대학병원 전문의였네.
-
걍 걸어다니면 그게 플러팅임
-
알바하는게 있어서 고민이네요.. 심지어 ot(미리배움터)는 18일인데 다른 하나가...
-
투표ㄱㄱ
-
일본인만 구매 가능한가? 판권 문제 덜심할듯싶은데 물론 일본어 유창하게 사용 가능해야 의미 있겠지만
-
20살 먹고도 무서운건 내 멘탈문제인가… 사소한문제로 소리지르고 욕하고...
-
24살 3떨했습니다 19
걸어놓은 대학도 없고 군수를 마지막으로 끝내려고 했는데 3떨이네요 진짜 이제는...
-
마니따는 자격증,보는시험 뭔가용!
-
건국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건국대 25][자취 길라잡이]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건국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건국대학생들을 돕기...
-
현재 에메3 23포.
-
尹, 공소장에 군경 동원 지시..."국회·선관위에 투입하라" 5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 기소된 윤석열 대통령의 공소장에 국회와...
-
95마넌,,,,,,,,
-
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
설사범 생물교육과 생1생2로는 아예 지원 못하는거죠? 4
무조건 물화12중에 하나는 필수인거 맞나요?
-
죽을거같네
-
그냥 자기들끼리의 트러블을 공개저격한거임..? 좀 알려주면서 해..
-
미소녀로 다시 태어나 있을 테니까!!!
-
대수기하학? 미분기하학? 위상수학? 양자역학? 입자물리학? 우주론? 카오스 이론? 일반 상대론?
-
네웹만 봄별이삼샵백투더찬비닥터, 조선 가다전지적 독자 시점작두백XX청춘...
-
몇일안에 등록해야하는거 있나요? 부모님한테는 아직 이야기도 안꺼냈고 시대기숙...
-
ㅈㄱㄴ
-
전형태 김승리 유대종 셋 중 정시 언매 인강 ㅊㅊ 좀 3
메가 대성은 있어요 김승리 풀커리 탈거라 그냥 언매도 같이 들을 지… 전형태T...
-
뭔가 야동사이트같아 파랑새시절이 좋았는데
-
시발점 뒤에 있는 빠른정답 찍어서 보내주시면 감사하게겟습니다 ㅠㅜ
-
아니면 안쉬는 사람이 보통인가요
-
"한국을 포함한 동양은 서양이나 다른곳에 비해 옛날부터 집단주의적이다"
-
70명 너무 적은데
-
와플 먹을까 0
와플대학 뿌셔
-
갈수있나요 3.8 3.5 3.6 3.5 예비고3입니다
-
재밌는 그 시절 판타지 웹툰
-
흠...
-
내 인생 시 2
시대 서바 국어에 나왔었는데 폰 배경으로 해두는 중 힘들지만 무언가를 이루어내야 할...
-
. 3
-
러셀 기숙 1
수업 최상위랑 여학생 관 섞어서 듣나요?
-
“지난해 캐나다서 넘어온 펜타닐, 950만명 죽일 양” 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
집에만있어야지
-
기억상으로 19시 15분?쯤 했던거 같은데 입학처 퇴근이 17시인거 보면 어떻게 설명되는걸까요?
-
내가 직설적으로 야한말쓴거맞고 기분나빠하는사람 있을수있는데 니도 은은하게...
-
사실 윤석열과 이준석의 충돌은 대선 전에도 어느 정도 예측은 되었습니다. 2
다만 결말이 그 정도로 파국이었을지는 몰랐지만요.일단 둘 다 캐릭터가 강한...
-
실전 학습 2번은 너무 어려움.. 30분 시간 재고 푸니까 너무 모자람요
-
간단한 문장 읽어도 뭔소린지 모르겠고 수학문제도 잘 안 풀리네 바보가 된 기분임
-
곧 잘 시간이당 4
얼른 집 들가야지
-
난 본 웹툰이 1
연애혁명이 끝
-
대성패스 환불 4
26 대성패스 반수용으로 구매했다가 쓸 일이 없어서 환불하려고 해요 19만원에...
-
연고 특) 10
마데카솔
-
하......맥이는건가
-
이거 다 포카임 ㅋㅋ
-
갑자기 급 궁금해짐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