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한계는 세계의 한계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653853
수국과학 토막연습
1편 - 13년 수능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14년 수능 A형 분광분석법 https://orbi.kr/00028261636
2편 - 16년 9월 A형 산패, 15년 B형 맹자의 의 사상 https://orbi.kr/00028277832
3편 - 16년 9평 B형 사색적 삶, 08년 9평 총체적 인식 https://orbi.kr/00028310551
4편 - 18년 9평 양자 컴퓨터 https://orbi.kr/00028619406
수국과학 서론
수국과학 0편 - https://orbi.kr/00024902587
수국과학 1편 - 17년 수능 보험지문 https://orbi.kr/00024908611
수국과학 2편 - 16년 9평 A형 소비자 정책 https://orbi.kr/00024918345
수국과학 3편 - 17년 9평 콘크리트 발전사 https://orbi.kr/00024926865
수국과학 4편 - 16년 9월 A형 해시 함수와 보안 https://orbi.kr/00024974585
수국과학 5편 - 11년 수능 부활절 지키기 https://orbi.kr/00025028419
실전특집) 6편 - 19년 수능 질량문제 https://orbi.kr/00025167180
실전특집) 7편 - 17수능 반추동물 생존 https://orbi.kr/00025178360
실전특집) 8편 - 17년 9평 칼로릭 논쟁 https://orbi.kr/00025194849
실적특집) 9편 - 17년 수능 콰인과 포퍼 https://orbi.kr/00025229117
실전특집) 10편 - 18년 수능 디지털 부호화 https://orbi.kr/00025277899
11편 - 2017 6평 음악의 아름다움 https://orbi.kr/00027301533
12편 - 2007 수능 대중매체 비판 https://orbi.kr/00027388414
13편 - 2011 9형 한계비용 https://orbi.kr/00027569221
14편 - 2017 6평 유비추론 https://orbi.kr/00027801923
15편 - 2013 6평 민주주의 https://orbi.kr/00028092044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초장문)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1편 - 여러분의 슬픈 자화상 https://orbi.kr/00028054862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2편 - 수능 국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8078691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3편 - 우리가 앞으로 할 일 https://orbi.kr/00028124116
수국과학 팁, 고찰
쉬는편 - 문제풀이의 가성비 https://orbi.kr/00024961979
쉬는편 - 필자 친구썰 https://orbi.kr/00025107702
쉬는편 - 학생 쪽지썰 https://orbi.kr/00025178021
쉬는편 - 붕어빵과 수학 https://orbi.kr/00025267871
고찰 - 왜 주제를 중심으로 읽어야할까? https://orbi.kr/00025295151
고찰 -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5947282
쉬는편 -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다
수국과학 특강
법학 지문 특강 - 1편 15년 9평 A형 자연법과 실정법 https://orbi.kr/00028362387
법학 지문 특강 - 2편 14년 6평 A형 입증책임 https://orbi.kr/00028496296
법학 지문 특강 - 3편 15 9평 B형 설명이란 https://orbi.kr/00028599110
(최종보스) 법학 지문 특강 - 4편 19 6평 사법 우선적용 https://orbi.kr/00028601079
우리 수험생들에게 끔찍한 공포를 안겨준 논리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언어의 한계는 세계의 한계다'라는 말이죠.
이 언어와 관련된 유명한 전설이 성경에도 있습니다. 인간들이 바벨탑을 지어 맞먹으려고 들자, 바벨탑을 박살내고 사람들의 언어를 서로 다르게 찢어놓아서 의사소통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는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이처럼 언어는 인간에게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우리가 당장 누군가와 이야기 할때 도구적으로 쓰이는데 필요한 수준에서, 우리의 사고방식에게까지 영향을 줍니다.
한국인들은 숫자를 표현하는 다양한 단어를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각기 다른 상황에서 표현이 가능합니다. 근데 어느 원주민 부족은 숫자를 표현하는 어휘가 딱 3가지랍니다. 1, 2, 많다. 그래서 이 사람들은 3개 이상의 경우에는 무조건 '많다'라고 밖에 표현을 못하죠.
우리는 3을 비롯하여 100, 1000, 10000 등의 숫자를 표현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각 숫자를 의미하는 순우리말이나 한자어도 존재합니다. 그러기에 앞서 원주민들과 달리 우리는 이러한 숫자들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남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곧 우리의 문화이자 정신 근간입니다. 이런 언어가 한계를 가지는 만큼, 우리의 사고력이나 인지능력도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57515960 )
여태 여러 칼럼을 통해 말했듯이, 수학도 언어이고 프로그래밍 언어도 언어입니다. 이렇게 각기 다른 언어들을 알고 있는 사람들끼리는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수학이라는 언어를 능숙하게 다루는 사람은, 굳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학적으로 자신이 뜻하는 바를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만약 영어를 잘 못하고 공부하지 않았으면 원문을 읽지 못하듯이, 해당 언어를 도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려면 알아야 합니다. 저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운 적이 없기에, 컴퓨터와 소통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컴퓨터에게 제가 의미하는 바를 가리킬 수 없죠.
언어를 알더라도, 아까 말했듯이 언어의 한계에 부딪힐때도 있습니다. 제가 만약 '오늘은 기분이 좋다'라고 말했다고 상상해봅시다. 그럼 대체 얼마나 기분이 좋은지 남들은 이해하기가 힘들 것입니다. 우리가 평상시에 사용하는 언어는 수치와 엄밀성, 과학에 초점을 두지 않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제가 얼마나 기분이 좋은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보완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수치로 100만큼 기분이 좋다고 한다던가, 아니면 다른 일상의 경험을 예로 들어서 뽑기에서 이겼을 때의 기분만큼 좋다고 빗댄다던지.
그렇지만 여전히 한계가 보이긴 합니다. 이처럼 언어가 가지는 한계 때문에, 저는 여러분에게 제가 정확히 얼마만큼 기분이 좋은지 전달하고 표현하기가 어렵습니다. 이걸 보는 다른 사람들도 제가 의미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는 어렵겠죠.
(언어는 이 세상을 이해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다만 각 언어마다 효용성과 성능은 다 천차만별이겠죠. 또 같은 도구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효과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http://m.kmib.co.kr/view.asp?arcid=0923684191#RedyAi )
당장 선생님이나 교수님들을 보면 설명을 잘 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이 보입니다. 잘 하는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남에게 전달할 수 있고, 그 과정에 드는 비용이 얼마 안되죠. 그러나 전달력이 부족한 사람은 단순히 말 뿐만 아니라 다른 도구를 동원해야 할 것입니다.
제가 수능 국어를 계속 깊이 연구하면서, 이런 언어에 대한 이해가 더 깊어지더군요. 공학과 이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한편으로는 왜 과거에는 철학자들이 수학도 하고 공학도 하고 천체도 했는지 이해가 갑니다. 결국에는 다 비슷비슷한 출발, 본질적으로는 다 공통점이 있거든요.
수능 국어라는 언어를 배우면서 얻은게 많습니다. 사고력도 자극되고, 더 나아가 다른 언어, 예컨데 수학같은거, 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수능 국어라는 언어는 제 사고력의 바탕이 되었고, 이 언어를 바탕으로 저는 세상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 언어가 가진 한계만큼 저는 세상을 이해할 수 있을 껍니다.
한편으로 그래서 바라는게, 분명 제 책을 보고 수능 국어 점수를 올릴 수 있다면 분명 삶에 유용할 것입니다. 수능 점수라는 것도 하나의 도구니까요.
그런데 본질적으로 국어라는 하나의 언어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른다면, 앞으로 그 힘은 여러분의 일부가 되어서 평생 따라다닐 것입니다. 저는 그런 의미에서 수능 국어를 공부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ㄱㄴ
-
뮤지컬이나 피지컬같은거임?
-
ㅈㄱㄴ
-
걍 흔한 재릅가지고 왜들그래
-
나~~~!!!
-
하꼬새끼라다행이다팔로워많으면저런것도신경써야하나
-
독어독문학과 같은 경우에는 1학년 수업이 어느 정도 난이도까지 가나요? 0
A2까지 하고 들어가야 할까요? 아니면 B1까지는 필요할까요?
-
어떤 분은 cc여도 감점폭 그렇게 큰 거 아니라 하시는데 아무리 봐도 큰 거 같고....
-
스카 독재생인데 3모 신청해서 보고 싶습니다 학원 아시는 분은 추천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중앙대 약학대학 신입생 카페 가입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제 41대...
-
문제가 걍 호흡이 존나기네
-
제발돌아라제발돌아라제발돌아라 30->24->19->15->10까지 꾸준하게 빠졌는데...
-
난 그럴 것 같다고 추측은 했었는데
-
늦나요? 곧 내신휴강이라고도 하던데 ㄱㅊ을까요?
-
꿈에서 깨면 난 명문대 메디컬 재학중이고 잘생기고 키크고 나를 좋아하는 주변인들도...
-
새터 못가나요? 새터는 23일부터 시작이던데, 참가비는 2월 7일까지 납부하라고 했더라고요
-
최초 18번 1차 10번 2차 4번 3차 2번 전추만 두번 남았는데 될까? ㅠㅜㅜㅠ
-
태어나는 건 운빨인데 왜 사는 건 능력주의대로 삶? 내가 만약 미국 대통령이라면...
-
진학사기준 내차례까지 10명 정도밖에 차이가 안남았는데 예비번호가 안나와있음
-
디시엔 더 심한드립도 많던데 이정도면 웃고 넘어갈급 아님?? 웃고 넘길줄 알았는데...
-
중대 공공인재 0
744점대는 붙기 힘든가요? 서성한 추합 많이 돌아서 중대도 지금 엄청 빠지고...
-
원글 https://m.dcinside.com/board/hanmath/7894912 ㅋㅋㅋㅋ
-
경희 이미 붙었고 중앙 예빈데 어디가죠ㅜㅜㅜㅜ 아직도 고민입니다
-
광운대 0
자전 장학생으로 합격했는데 상향으로 쓴 대학이 예비가 안돈다... 소신은 5칸이라서...
-
현실)오늘도 전화가 안 옴 엄...
-
외화 유출하면 어케됨
-
슬슬 수능 레이스가 시작됐음을 느낍니다
-
최소학점은 6학점입니다
-
작년 1월달에 국어 5등급였다가 국일만+막판에 아수라로 3등급까지 올림 올해는...
-
진짜 고민 많이 했을듯 내가 여자였다면 과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단 사범대면 이대..가지않았을까 싶음
-
근데 실체적 진실이랑 어긋나는게 몇개 있는
-
7학점이면 보통 3
일주일에 몇 번 정도 학교 나가야함??
-
중딩대 바람핀 여자애가 자꾸 바람 정당화하려고 이유 얘기하길래 걸레말안듣는다햇다가...
-
문제를 만들다 말았나? 제작년, 작년 수특의 그 신유형/신소재들이 안보이고 뻔하거나...
-
진짜 너무 적음..
-
머리 작고 팔다리 길쭉길쭉한거... 짧은 나는 그저 부러워만 한다... (좌)...
-
재수 시작하려는 학생입니다 작수 수학 낮3이었습니다 수능끝나고는 공부안했었구요...
-
잘못태어났으면 6
잘이라도 살 수 있게 했으면 안됐던거임? 대체왜 버러지 태생에 버러지 인생을 살게 만드는건데
-
이거 원래 이렇게 어색하고 그럼? 학교가서 서로 얼굴보고 아무 말도 못할듯ㅋㅋㅋㅋ
-
인생이라는게, 가다가 천천히도 가보고, 거꾸로도 잘못 가보고, 넘어져서 바보처럼...
-
같은 급간에.. 둘다 상경이라 진짜 취향차이일거같긴 합니다만 취업으로 갈거면 서강...
-
홍대 경제 예비 0
홍대 경제 예비 이번에 많이 안 빠질까여….? ㅠㅠㅠㅠ 70번대 어캐 될 것 같나요 ㅠ
-
국어시간에 초성퀴즈 사자성어 하는데 ㅈㄱㄷㅊ 있었는데 자가당착이 정답인데 어떤 애가...
-
모집인원 17명에 예비 42->28->18->12 이제 전화추합만 남았는데 이거...
-
내가 죽었는데 좋아해주는 찐팬
-
이른 저녁 ㅇㅈ 2
-
개강하면 도서관에서 살아야지
-
내 생일이 뭐같다고? 10
이런 ㅆ…
-
전화추합에서만 1바퀴도는경우 있음??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5.gif)
저 책을 오르비에서 보네용그러게요. ㅎㅎ 저도 같은 생각!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6.gif)
이미 대학생이긴 하지만 관심 있는 분야라 정독했네요! 책 한 번 읽어봐야겠네요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수능국어....그나마 본래 수능 취지에 맞는 수험영역인 것 같습니다. 근본적인 사고력과 이해, 추론을 대학에서 원하기에 내신식 암기에 익숙한 상위권들도 국어영역에 많이 발목을 잡히기도 하기도 하지요..
그래서 근본적인 독해력을 기르는 훈련과 과정이 아주 중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