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국과학 서론 15편 - 2013 6평 민주주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092044
수국과학 서론
수국과학 0편 - https://orbi.kr/00024902587
수국과학 1편 - 17년 수능 보험지문 https://orbi.kr/00024908611
수국과학 2편 - 16년 9평 A형 소비자 정책 https://orbi.kr/00024918345
수국과학 3편 - 17년 9평 콘크리트 발전사 https://orbi.kr/00024926865
쉬는편 - 문제풀이의 가성비 https://orbi.kr/00024961979
수국과학 4편 - 16년 9월 A형 해시 함수와 보안 https://orbi.kr/00024974585
수국과학 5편 - 11년 수능 부활절 지키기 https://orbi.kr/00025028419
쉬는편 - 필자 친구썰 https://orbi.kr/00025107702
실전특집) 6편 - 19년 수능 질량문제 https://orbi.kr/00025167180
쉬는편 - 학생 쪽지썰 https://orbi.kr/00025178021
실전특집) 7편 - 17수능 반추동물 생존 https://orbi.kr/00025178360
실전특집) 8편 - 17년 9평 칼로릭 논쟁 https://orbi.kr/00025194849
실적특집) 9편 - 17년 수능 콰인과 포퍼 https://orbi.kr/00025229117
쉬는편 - 붕어빵과 수학 https://orbi.kr/00025267871
실전특집) 10편 - 18년 수능 디지털 부호화 https://orbi.kr/00025277899
고찰 - 왜 주제를 중심으로 읽어야할까? https://orbi.kr/00025295151
고찰 -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5947282
11편 - 2017 6평 음악의 아름다움 https://orbi.kr/00027301533
12편 - 2007 수능 대중매체 비판 https://orbi.kr/00027388414
13편 - 2011 9형 한계비용 https://orbi.kr/00027569221
14편 - 2017 6평 유비추론 https://orbi.kr/00027801923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초장문)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1편 - 여러분의 슬픈 자화상 https://orbi.kr/00028054862
수국과학 비문학 총론 2편 - 수능 국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8078691
오늘 지문은 2가지 의견이 충돌하는데, 서로 동등하지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어느 한 쪽이 더 중요한 지문입니다. 예전부터 계속 말해왔듯이 2가지 주장이 나오면 둘이 서로 같은 수준으로 중요한 경우도 있고, 한쪽이 더 설득력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선 첫번째 문단을 읽고 가장 중요한 문장 하나 골라내서 이 지문의 '쟁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생각한 가장 중요한 문장은 맨 마지막 줄입니다.
누구의 의사를 우선하는 것이 옳을까?
아직 읽지 않았으니까 여러가지 대답이 나올 수 있으리라 상상이 가능합니다. 국회의원과 주민이 싸울때 어느 쪽이 더 중요하겠는가? 라고 물었으니 이후에는 어디가 중요한지 차근차근 설명하겠는데, 우리는 좀 더 중요한 쪽에 주목해야합니다. 조금 더 중요한 쪽이 나온다면 그쪽 주장부터 일단 확실하게 머리에 넣어둡시다.
두번째 문단 읽어보겠습니다.
여기서 저는 가장 중요한 문장을 이것으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국회의원은 지역구 주민의 뜻에 따라 입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이 조항에서 근거를 ⓐ찾으면 될 것이다.
우리가 늘 강조했던 '따라서'가 보이는군요. 그래서 저는 이 문장이 가장 중요해보였습니다. 해당 문장을 중심으로 읽으면 대충 '주민의 뜻이 더 중요해요'라고 말하는거 같습니다. 이를 명령적 위임 방식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표자가 소신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표 방식을 ㉡자유 위임 방식이라고 부른다
아까 명령적 위임 방식과 달리 이번에는 다른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자유 위임 방식이라고 하는데 읽어보니 이 입장은 전자와 달리 국회의원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까지 읽어보니 두 가지 주장이 서로 싸우는 것이 명확하게 보입니다. 주민이 먼저다 vs 국회의원이 먼저다.
그리고 이 문단의 마지막 줄을 읽었을 때 우리는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기본으로 이 후자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출제자는 이 부분에서 국회의원의 결정이 보편적으로 주민의 결정보다 중요하다고 선을 그어버린 것입니다. 이제 두 가지 주장 중 경중이 확실하게 나뉘어졌습니다. 국회의원과 주민 사이에서, 국회의원이 더 중요하다고 하네요.
나머지 남아있는 마지막 문단을 읽으면서 확실히 마무리를 지어보겠습니다. 최대한 중요한 문장 위주로 좀 찾아보겠습니다.
그러나 자유 위임 방식에서는 국민이 표자를 구체인 사안에서 직으로 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민과 표자 사이의 신뢰 계가 약화되어 민주주의의 원래 의미가 퇴색될 우려가 있다
이런 문제을 보완하기 해 국가에 따라서는 국가의 의사 결정에 국민이 직 참여하거나 표자를 직 통제할 수 있는 ㉮ 직 민주주의 제도를 부분으로 도입하기도 한다.
아! 국회의원이 더 중요하다라고 잠정 결론을 내리고 마저 읽었는데, 거기에 다소 문제가 있긴 하다고 지적을 하면서 지문이 끝나고 있습니다. 그럼 이걸 읽었다고 다시 국회의원과 주민의 입장 중에서, 주민이 더 중요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국회의원 입장을 따르는 방안에도 문제는 있다고 하네요.
이제 그럼 확실히 정리가 되는게, 나름 요약을 해보자면 '국회의원과 주민 중에서 국회의원을 따르되, 문제가 있으니 뭔가 이상한 제도로 보완한다'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제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찬찬히 선지를 훑어보면서 우리가 찾은 주제가 타당했는지 확인사살을 해보세요.
선지들이 하나같이 '두 견해가'라는 주어를 달고 있습니다. 다만 마지막 선지는 한 견해를 중심으로 비판했다고 나와있군요. 그럼 우리가 읽은 바에 의하면 두 견해가 싸우는데, 어느 한쪽이 압도적으로 확실한건 아니다였으니까 이 느낌과 가장 비슷한 선지를 찾는다면
① 두 견해의 특징과 장단을 제시하고 있다.
를 고를 수 있겠습니다. 우리가 주제를 확실하게 이해하고 어느 쪽이 더 중요한지, 그리고 전체적인 분위기가 어떠했는지 알고 있으니까 이렇게 바로 풀 수 있는겁니다.
다음 문제 풀어보겠습니다. 이때 선지 1~2번은 주민, 3~5번은 국회의원 입장을 옹호하고 있습니다. 아까 우리가 찾은대로 국회의원이 더 중요하다고 했죠? 그래서 선지 3~5번부터 읽으면서 한번 판단해보세요.
누차 이야기한 것처럼 보기 문제에 보기에 너무 집착하진 마세요. 지문이 훨씬 더 중요하고, 지문을 잘 이해했으면 보기는 상대적으로 덜 집중하고도 문제를 충분히 풀 수 있습니다. 정답이 과연 3~5번 사이에 나왔을까요?
네 정답은 5번이었습니다.
다만 저도 국회의원 입장에 대해서 세세하게 전부 읽고 암기한 것이 아니기에, 상대적으로 국회의원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3~5번부터 찾아본 것입니다. 선지 내용을 이때부터 확실히 체크해보면 대충 국회의원은 자기 소신에 따라 알아서 결정해도 된답니다. 사실상 3번과 4번은 국회의원의 소신을 포기하고 주민이나 당의 입장에 수동적으로 따라야 한다는 말이죠.
그 다음 문제 풀어보겠습니다. 우리가 마지막에 읽었던 문단의 내용으로 문제가 하나 출제되었습니다. 우리가 찾았던 주제를 되새기면서 한번 선지를 훑어보세요.
쭉 선지를 훑어보면 확실하게 맞는 말을 하는 선지가 보입니다. 2번 선지는 국민이 투표로 직접 결정한다고 말하는데, 실제로 해당 문단에서는 주민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있다고 했습니다. 5번 선지도 아주 당연한 말이죠. 국회의원 말만 따르다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어서 도입된 제도라고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렇게 첫인상이 확실해보이는 2번과 5번을 제외하고 이제 남은 1,3,4번 선지를 찬찬히 찾아보면서 확실히 답을 결정하면 됩니다. 모든 선지를 하나하나 다 따지고 앉아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는 주제를 충실하게 찾고 읽었던 덕분에 남들보다 좀 더 빠르게 정답에 가까워질 수 있는 것입니다.
정답은 일단 4번인데, 구체적인 설명은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하겠습니다. 짧게 이야기하자면 연령에 관련되서는 아무런 이야기를 들은 바가 없으니까 4번은 전혀 맞지 않는 말입니다.
우리는 항상 뭔가 두 가지 입장이 나오면 둘 다 꼼꼼하게 읽어보려고 했었죠. 그러나 저는 국회의원이 더 중요하다고 보았고 이걸 문제에도 적용시킨 결과 남들보다 덜 읽고 덜 찾아보고 정답에 가까워질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걸 건성건성 읽는게 아니라 효율적으로 읽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성대 5차 0
떴어요
-
역시 어둠의 카르텔 ㄷㄷ
-
아깝다
-
사장님이 직접 백만덕코 하사했는데
-
진피 언제든 넣어줄테니까 붓기 빠지고 오라하고 주사랑 흉터 레이저 해줌 걍 연골...
-
탈릅생각도 없음 흐흐
-
적분을 원래도 못했는데 오랜만에 해서 더못하는데 드릴도 어렵다 우럿서 ㅠㅠ
-
그래서그런가 관리하는법 잘 알게되어서 지금 피부 개깨끗함
-
총기번호같음. 무슨뜻인지 이해한 군붕이들은 개추 ㅋㅋㅋㅋ
-
깊은 맛 되도록 묵혀둬야지
-
그냥 자기 적성에 관계없이 취업 잘 되는 거만 고르는 느낌...물론 아닌 경우도...
-
너무 큰 바램인가
-
많이 해봐야 7시간인데 5과목 균등하게 하기도 어려운게 제일 큰 듯 ㅋㅋ 아이 몰라!
-
물론 잘 안씻기도 하지만 그래도 나름 관리한답시고 토너 앰플 수딩크림 수분크림까지...
-
사실첫계정임 3
누구로의심할까궁금했는데 아무도안속네
-
난 노무현임 8
우흥
-
보니까 지방사립대 졸업반들도 못 푸는 문제를 1학년 2학기에 수업하고 있더라...
-
첫계정 메타? 3
저는 이게 첫계정 아니면 문제 있는 거임 ㅋㅋㅋㅋㅋㅋ
-
스텝3 풀이공간 넘 부족함.ㅠ
-
난 첫 계정임 1
-
각변환할 때 기계처럼 sin(π/2-θ)=cosθ 이렇게 외우는게 아니라 머리속으로...
-
누가 논란인지도 모르겠고.. 나쁜건 아닌듯 옯창 탈출했다는거니까! (사실 나는 보통...
-
이대 한양대 어디 감? 13
뒤에 요약 있음 진로는 로스쿨 / 공대 -> 취업 확실하게 정하진 못함 한양대는...
-
근데 1년지나서 합법적으로 온거라
-
순수 외모만 봤을때
-
어느정도? 점수 무슨 과목 고르고
-
저는 화교임 1
군대도안감 제발..
-
나도첫계정임 0
아이민보면
-
김기철T 어법특강은 들었습니다! 너무 강의 수가 적은 강의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
사문 질문 0
> 갑국의 엘리트층은 유서 깊은 사립학교에서 교육받으면서 그 학교들 특유의 억양를...
-
금융권 취업 원하면 전과하더라도 숭실 금융학부가 좋은가요?
-
이름이 김재릅임
-
기출문제도 못구하는 시험이 왤케많아 싯팔
-
ㄹㅇ
-
ㅈㄱㄴ
-
화학과 가서 다전공 할생각이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화학을 이미 학자금대출로...
-
인생 계획 5
졸업 (2028) 공익 (2028~2030) 일본 1년 워홀 (2030~2031)...
-
ㅈㄱㄴ (지나가던 모쏠)
-
테그랄
-
붙여줘라
-
지금 치킨을 시켰는데 1시간 40분째 안온다는게 제일 중요함
-
돈 쓴 내역, 마신 술, 먹은 음식 생각하니 재벌2세 수준이네ㅋㅋㅋㅋㅋㅋ공부 하기가...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또 나만 모름? 7
왜나만옯찐딴데
-
미적 싫다 4
250930 왤케 어려움
-
영어 사실상 노베임 1년 휴학할꺼 영어공부 하는김에 토익공부 할려하는데 뭐부터 시작할까
-
일단 오늘 9시 40분 쯤 스카 도착해서 지금까지 한 공뷰량이에요.. 일클래스 1강...
-
1.경희 국제학과 전공 수업 2학년 때부터라 영어 수업 안 듣고 이과 과목만 들어서...
-
2차가 오늘 홈피발표고 3차가 19일 수요일 하루 전추임.. 추합 횟수가 너무 적은거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