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많은 학습 시간은 배신을 할 수 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692514
올해 수능을 칠 여러분 공부 정말 많이 해왔고, 앞으로도 많이 하실 예정이시죠. 그런데 이제부터는, 수능이 약 한달 조금 넘게 남은 시점에서는 스스로를 돌아봐야 합니다.
지금 당장 양치기, 물량전으로 무조건 공부를 많이 한다고 성적이 오르지 않는 시점이 옵니다. 저도 그런 경험을 했었었고, 재수때의 실수를 만회하고 삼수때는 좀 더 전략적으로 공부했습니다.
특히 여러분에게 강조하고 싶은 것은 오히려 '적절한 휴식'입니다
(제가 살면서 가장 재미있고 유익하게 읽은 책 중 하나입니다. 나중에 대학 가서든 꼭 읽어보시길 바라요)
이 책에서 초반에 두 농부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A농부는 땀을 뻘뻘 흘리면서 쉬지 않고 하루종일 일합니다. B농부는 중간중간 쉬기도 하고 노래도 부르고 A농부에 비해서 덜 열심히 일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막상 수확량을 따지고 보니 B농부의 양이 더 많습니다. A농부는 억울한 마음에 크게 불평합니다. 분명 내가 더 열심히 하루종일 쉬지 않고 일했는데, 왜 B농부의 수확량보다 적냐고. 이에 B농부는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쉬면서 낫을 날카롭게 갈았거든!
여러분도 혹시 무딘 낫을 가지고 농사를 하고 계시진 않나요? 단순히 난 오랫동안 앉아서 공부했으니 열심히 공부했어 라는 다소 무책임한 말을 하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수능이 다가오면서 다들 착각을 많이 하는 것이 있습니다. 수능이 다가올수록 최대한 많은 양을 머리 속에 집어넣어야 한다는 강박증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뽑아내는 속도도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재수생을 비롯해서 현역이든 누구나 수능 공부를 하기 위해서 열심히 암기를 하고 머리 속에 지식을 넣는 작업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단순무식하게 머리속에 저장한 정보양이 많다고 시험을 잘 볼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우리가 치는 시험은 분명 제한 시간이 존재하기에, 제한 시간에 효율적으로 정보를 다시 불러오는 작업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제는 여태 공부한 것을 '정리' 해야하는 시간입니다. 그동안 엄청나게 많은 정보와 오답, 나쁜 습관들을 경험해 왔습니다. 분명 누구나 지속적으로 실수를 하는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좀 더 집중해서, 비슷한 실수를 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예컨데 컴퓨터가 있다고 쳐보십시오. 만약 컴퓨터에 엄청 많은 양의 영상이나 사진들이 저장된다면 분명 그 컴퓨터의 성능은 좋다고, 특히 저장 용량이 좋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컴퓨터에서 중요한 성능 중 하나는 바로 '뽑아내는 속도'입니다. 아무리 많은 정보를 저장했다 하더라도 내가 필요할 순간에 적절한 정보를 뽑아낼 수 없으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학습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536482 - 9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794208 - 10편
https://orbi.kr/00038933518 - 11편 마지막
저는 과거 학습이란 무엇인가 시리즈에서 이런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공부라는 것은 알고리즘과 같고, 공부를 하면 할수록 알고리즘 종류와 체계도는 더욱 더 간결해지고 뽑아내는 속도가 빨라져야 한다고.
공부를 하면 할수록 다양한 유형에 대한 정보가 여러분 머리속에 저장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이 실수랄까요, 잘못 공부하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무조건 정보를 많이 넣고, 알고리즘을 더 더 다양하게 가지 치듯이 만들어둔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그렇게 되면 막상 시험장에 갔을 때는 머리속에 들어있는 정보를 불러오는 속도가 현저히 느려진다는 점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app=desktop&v=5Glk8VftvFY&ab_channel=%EC%9A%94%EB%A6%AC%ED%95%98%EB%8B%A4Yorihada
위 영상은 마장동에서 소를 발골하는 영상입니다. 분명 소를 발골할 때 있어서 필요한 도구가 여러가지 필요할 것입니다. 그러나 장인이 될 수록, 경력이 길어질 수록 연장의 종류는 더욱 줄어듭니다. 왜냐고요?
예컨데 연장의 종류가 3종류라고 쳐봅시다. 닭 잡는 칼, 돼지 잡는 칼, 소 잡는 칼. 연장이 3종류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의 실력이 좋아서, 단지 소 잡는 칼 하나만으로도 닭도 잡을 수 있고 돼지를 잡을 수도 있다면 연장을 굳이 3개나 들고다닐 필요 없이, 하나만 들고 다녀도 충분할 것입니다. 연장이 하나 뿐이니 어디 깜빡하고 잃어버릴 염려도 없습니다. 연장의 개수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잃어버리기 쉬워질 것입니다.
여러분은 머리에 수많은 정보를 넣으며 연장의 개수를 지나치게 늘리고 있습니다. 연장이 많으면 많을 수록 더 무거워지고, 상황마다 연장을 알맞는 것을 고르느라 시간을 낭비하게 됩니다. 덤으로 많은 연장을 가지고 다니면 한두개 쯤은 깜빡하고 안 챙겨올 때도 있을 것입니다.
적절한 휴식과 자아성찰을 통해서, 연장의 개수를 줄여보도록 노력해보세요. 연장이 만약 10종류나 된다면 분명 한두 종류는 시험장에서 생각이 안나서 못 써먹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이 간결한 알고리즘을 하나 잘 만들어두고, 연장을 딱 한두 자루만 들고 다닌다면 까먹을 염려도 없을 뿐더러 실수도 줄어들 것입니다.
단순히 학습 시간이 많다고 시험을 잘 치르는 것이 아닙니다. 조금만 더 전략적으로 생각하는 사고력이 필요합니다. 마치 농부들의 이야기에서처럼, 여러분은 무딘 칼날로 비효율적인 학습을 하고 있지 않나요? 컨디션을 제대로 염두에 두지 않으면서, 단순히 오랫동안 앉아있었기 때문에 내가 공부를 열심히 했다고 자기합리화를 하고 있지는 않은가요?
조금만 더 전략적으로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이제는 더 이상 머릿속에 정보와 지식을 우겨넣고 복잡해질 때가 아닙니다. 오히려 머릿속은 간결해지고, 풀이 과정은 깔끔하고 최적화되어야 합니다.
<수국비 상>
https://docs.orbi.kr/docs/7325/
<수국비 하>
https://docs.orbi.kr/docs/7327/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https://orbi.kr/00054952399 - 2편 유형별 학습
https://orbi.kr/00055044113 - 3편 시간차 훈련
https://orbi.kr/00055113906 - 4편 요약과 마무리
사고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56551816 - 1편 바둑과 수싸움
https://orbi.kr/00056735841 - 2편 예절
https://orbi.kr/00056781109 - 3편 자유로운 직업세계
https://orbi.kr/00056882015 - 4편 따라하기
https://orbi.kr/00057164650 - 5편 어린 놈들이 약아서
https://orbi.kr/00057384472 - 6편 자기 스스로를 알아차리기
https://orbi.kr/00057614203 - 7편 체력분배
https://orbi.kr/00057650663 - 8편 수학적 상상력
https://orbi.kr/00057786940 - 9편 편견깨기
https://orbi.kr/00058147642 - 10편 시냅스, 알고리즘의 강화
https://orbi.kr/00060975821 - 11편 자문자답
https://orbi.kr/00061702648 - 12편 '박영진 이혼전문변호사'를 통해 재밌게 알아보는 법률 이야기
https://orbi.kr/00062050418 - 13편 수능 국어 공부
https://orbi.kr/00062206444 - 14편 현우진이 말하는 독해력과 사고력
https://orbi.kr/00062298282 - 15편 교수 면담
https://orbi.kr/00062328444 - 16편 관세법과 일관성
https://orbi.kr/00062406700 - 17편 말하기 공부법
https://orbi.kr/00062419084 - 18편 공부 못하면서 허세 좀 부리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2495541 - 19편 법조인에게도 필요한 수능 국어 비문학 독해력!
https://orbi.kr/00062583015 - 20편 - 전쟁에도 유형이 있다
https://orbi.kr/00062643940 - 21편 국어, 수학, 과탐 공부 이렇게 해보십시오
https://orbi.kr/00062818762 - 22편 똑똑하고 재능이 있다는 것은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https://orbi.kr/00063239512 - 23편 어려운 문제도 잘게 쪼개면 풀 수 있다!
https://orbi.kr/00064157242 - 24편 리터러시(문해력,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25편 단순히 많은 학습 시간은 배신을 할 수 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5수능 화작 백분위 85입니다. 독서론 -1, 독서-1 문학-4 로 3등급...
-
3시간만에 기상 0
아 진짜 힘들다
-
어어 밀지라마 어어 점마가 왜 저기 올라가 있음?
-
의대요!
-
무지성 선도자 레나타, 화공남작, 집행자, 스웨인 이 4개네 가끔 기동타격대,...
-
그것은 내가 이미 올린 내용일지니 (それはもう言ったことだから; Weinen und...
-
ㅋㅋ 3
5년전에도 똑같았노 ㅋㅋ
-
얼리버드인건가요 그 시간까지 안주무시는건가요
-
등신들 한테 인정받아야만 하는 버러지같은세상..
-
뱃지확인 0
아 아
-
13일에 옴 1
ㅇ
-
얼버기 3
사실 새벽세시에일어났음 술먹고 세시간자고 눈떠졌는데 너무 말똥말똥함 나도 내 주사가 싫다••
-
버드 얼상 기리 5
-
에휴 병신
-
기차지나간당 3
부지란행
-
수2 풀면서 놀아야지
-
얼버기 1
반갑다 나약한 인간 녀석들
-
제자야 기상해라 2
넵.
-
인생 에휴
-
오르비 장례식 2
대르비도 이제는 나이가 많이 들어서 보내줄때가 된거 같습니다..
-
침착맨의 도시로 와라
-
팔취해주세요
-
새벽만 되면 왜 이ㅏ러는데
-
간다앗
-
너넨 그냥 평생 오르비해라;
-
많이 하면 정신 나갈 듯
-
지워야징 5
ㅋ
-
얼버기 3
-
배고프다 1
잔다리..
-
단톡방오라는 ㅂㅅ같은 뻘글을 이 새벽에 200명이 넘게 보다니 1
아 다 일어난건가
-
사람들이 레어 거래에 적극적인거 오르비 운영팀에서 캐치해가지고 레어 관련 기능 더...
-
센츄는 될텐데 2
센츄라도 따볼까하다가 뱃지마저 못다는 신세란걸 깨달음
-
지금 롤하실 분 0
일겜칼바람우루푸 다 ㄱㅊ.
-
노베 현역인데요 0
롤 계정 만든지 음.. 5년인가?>
-
쪽지주시면 초대링크보내드림
-
쪽지가능할까요 가격관련 여쭙고싶은게 있어서요
-
실화냐..
-
노베 현역인데요 1
서버 어머같네 아오팀들은 왜이래크아아악
-
오르비못하겟다 자야지....
-
노베 현역인데요 0
아 그리고 또 기억난건데 그 현우 진 선생님 말고 누가 양 승진 선생님?도...
-
노베 현역인데요 1
한 번 할 떄 시간 너무 오래ㅔ 걸리는데 어캄심지어 마니 함
-
군수생 달린다 2
얼리버드 달린다
-
새벽멤버 특 17
수학 백분위 평균 99임
-
곧 오르비 못하게 될지도..
-
노베 현역인데요 2
노베이스 탈출하려면 베이스 구입하면 되나요?
-
노베 현역인데요 0
제가 수학이 약해서 다른 사이트에서 수학 인강 강사 추천 받는데 사람들이 자꾸 현우...
-
잠않와 2
목아파 머리아파
-
노베현역인데요 1
노베x 현역x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