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학습법 2편 - 유형별 학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952399
지난 1편에서 스스로의 약점을 찾아보자고 하였습니다. 반복적인 실전 연습을 통해서 자꾸 틀리거나 시간을 오래 끄는 문제들을 체크하여 관찰해보아야 합니다. 이제 무엇이 나의 약점인지 파악하였으니 한 개씩 극복해봅시다. 자신의 약점을 극복하는 가장 대표적이면서도 매우 당연하며, 상투적인 방법은
‘유형별로 비슷한 문제를 모아서 한꺼번에 풀어보는 것’입니다.
저는 기출문제집 중에서 마더텅을 이용해서 공부를 했었습니다. 마더텅은 같은 유형과 개념을 요구하는 문제들을 한꺼번에 모아놓은 것이 특징입니다. 기출문제집들 중에서 이러한 형식으로 제작된 것들이 많아 보이더군요. 어떤 브랜드이건 상관없습니다. 여러 항목들 중에서 내가 약점이라고 느낀 부분을 펼쳐봅시다.
그리고 생각을 한번 해 봅시다. 내가 무엇 때문에 이 유형에서 막히는가? 개념이 제대로 잡히지 않았나? 암기가 정확하게 되지 않았는가? 이런 유형을 어떻게 시작할지 아예 손도 대지 못하겠는가? 이때 정확하게 자신의 문제를 표현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그래야지 선생님한테 정확하게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정확하게 나의 약점을 인지해야 합니다. 암기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싶으면, 다시 개념서에서 그 부분을 펼쳐서 읽어봐야 합니다. 내가 물리1의 기본입자와 상호작용에 관한 암기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문제가 막힌다는 생각이 든다면, 당장 다시 암기를 시작해야 합니다. 암기가 끝났다면, 당장 종이를 꺼내서 그대로 모든 내용을 써내려갈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합니다.
만약 해당 유형을 전혀 접근조차하지 못하겠다고 한다면, 이 부분은 선생님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각 과목 선생님들은 해당 유형을 접근하는 자신만의 스타일들이 있습니다. 선생님들 또한 각자의 알고리즘이 머릿속에 정리되었다는 것이죠. 그 알고리즘들을 따라하면서 변용해봅시다. 분명 처음에는 겨우겨우 따라하는 정도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 스스로의 개성과 스타일이 반영되어 좀 더 최적화될 것입니다.
약점점검과 나름의 보완이 끝났으면 이제 심호흡을 한번 하고 기출문제집을 펼쳐봅시다. 내가 오늘 마스터하고 끝장을 보고 싶은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을 펼쳐서 한번 풀어봅시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같은 유형의 문제를 최대한 같은 방식으로 풀으려는 의식적 노력을 해야 합니다. 학생들은 쉬운 문제는 대충 어거지로 끼워 맞춰서 숫자놀음으로 해결하고, 어려운 문제는 그것대로 낑낑거리는 안좋은 습관이 있습니다. 반드시 쉬운 문제이건 어려운 문제이건 같은 사고방식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학습이란 무엇인가? - 2편에서는 쉬운문제를 대충 쉽게 풀고 넘어가고, 어려운 문제에서 막히는 나쁜 습관에 대해서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해당 사례에서 학생은 쉬운 문제는 일일이 적어서 풀었으며, 그 결과 알고리즘을 제대로 연습하지 못했습니다. 그 밑천은 어려운 문제를 풀 때 드러납니다. 쉬운 문제를 풀면서 알고리즘 연습을 충실히 한 학생은 어려운 문제도 비슷하게 풀어낼 수 있습니다. 쉬운 문제를 쉽다고 해서 대충 푸는 것은 허공에 삽질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특정 유형에 대해 내가 알고리즘을 제대로 세워두었다면, 같은 유형의 문제를 모아서 풀 때 그 알고리즘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일관되게 풀어낼 수 있겠죠? 또한 계속해서 그 유형을 연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더 빠르게 풀 수 있을 것입니다. 알고리즘을 일관되게 적용하고 작동시키는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서 알고리즘을 제대로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1편에서 단순히 모의고사를 많이 푸는 것은 전혀 효율적이지 않다고 했습니다. 왜일까요?
유형별로 학습을 하면서 한 유형씩 완전히 마스터한다는 생각으로 공부를 해야 나의 실력이 축적되는 것입니다. 한번 약점이라고 판단한 유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고, 그날 훈련한 내용을 바탕으로 알고리즘을 한 개씩 정확하게 세워놓아야 합니다. 이렇게 스스로 학습한 알고리즘들이 하나씩 모여서 나의 실력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학습은 쌓기나무처럼 하나씩 쌓아올려야 한다. 그래야지 튼튼하게 높은 곳까지 도달할 수 있다)
학생들 게임 정말 좋아하지요. 저도 정말 좋아합니다. 게임이 인간에게 재밌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 가장 큰 이유 중에 한 가지는 바로 ‘눈에 뚜렷이 성장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내가 오늘 몹을 몇 마리 잡았냐에 정확히 비례하여 경험치가 쌓입니다. 내가 오늘 퀘스트 2개를 클리어해서 그것에 해당하는 보상이 딱 맞게 들어옵니다.
공부 또한 게임과 별반 다를 것이 없습니다. 내가 오늘 정확하게 이 유형을 마스터해보겠다! 라는 생각으로 반복 훈련을 했다면, 이 유형을 정말 오늘 마스터 해야합니다. 오늘 내가 알고리즘들을 몇 개 뚜렷하게 세워서 공부했다고 정확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모의고사를 단순히 많이 자주 푸는 것은 수박 겉할기식의 공부밖에 되지 않습니다. 기억에 오래 남기지 못하며,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세우는 것?은 꿈에도 꾸지 못합니다. 오늘 내가 정확하게 공부하고 학습한 것을 설명하거나 글로 정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정확하게 정리한 내용들이 축적되면서 우리는 완성에 다가갑니다.
이번 편의 핵심을 다시 요약해보자면
‘내가 약점이라고 생각한 유형을 모아서 한꺼번에 풀어보자’
‘같은 유형의 문제들을 풀면서, 난이도에 상관없이 비슷한 과정을 밟아서 풀려고 노력해보자’
‘하루에 한 개만이라도 특정 유형에 대한 알고리즘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세우고 넘어가자’
‘이러한 알고리즘들이 하나둘 쌓이면서 나의 실력이 늘어가는 것이에요’
--------------------------------------------------------------------------------------------------------------
그리고 <수국비> 광고를 좀 하겠습니다.
최근 댓글을 보게 되었는데요, 얼마나 감사하던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저는 제가 쓴 전자책이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확신합니다. 절대 실망하지 않으시리라 믿습니다.
판매 링크를 살포시...
https://docs.orbi.kr/docs/7325/
-------------------------------------------------------------------------------------------------------------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536482 - 9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794208 - 10편
https://orbi.kr/00038933518 - 11편 마지막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1등급 이상 실력자들에게 해당하는 얘깁니다. 그 아래는 곱게 기출+EBS...
-
저도 김종익 강사 Q&A 보다가 찾은 거 하나 올려보죠.
-
이이는 이가 발하지 못한다고 본거 아닌가요???
-
레오폴드입장에서 ㄴ 선지가 왜틀린건가요? 생태계의 선을 우선시한거 아닌가요?
-
케인스는 계획 경제에 찬성하나요 반대하나요?? 해설볼때 어떤 부분은 찬성하고...
-
다수의 견해를 반영하지 않은 법에 대한 불복종->민주주의 의사 복원 다수의 견해를...
-
의식이 있는 생명체라도 항상 의도적으로 고유한 선을 추구하는 것은 아님 이 선지가...
-
생윤 1등급분들 3
지금 뭐하심? 전 잘잘잘 듣다가 너무 난잡하고 쓸모없는 것 같아서 드랍함 킬러...
-
장자가 옳고 그름은 없고.. 분별하는것은 안 좋고.. 그런식으로 말했자나여 그럼...
-
오류 있음/없음이 확실해서 ㅇㅇ 그러니 어서 윤리 버리고 물리를...
-
발표해야 하는데... 배아복제 동물실험 사형제 안락사 저작권 낙태 온라인그루밍 난민...
-
정수환 선생님 수업듣고 도움 많이 받았었는데 어디서 수업을 들을 수 있는지 전혀 알...
-
먼저 모든 수험생 여러분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노력한 만큼의 성과가 있었기를...
-
라고 제목은 지었지만…… 사실 이건 고인물과 청정수를 가르는 테스트가 아니라...
-
스토아학파 vs. 스피노자 비교 분석 이상(理想) 도덕·윤리 연구소 소장 임재섭...
-
역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교육 과정에 맞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6번 (정약용)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0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6번 (정약용) 이상(理想) 도덕·윤리...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2번 (홉스, 로크, 루소)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5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2번 (홉스, 로크, 루소) 이상(理想)...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3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5번 (아리스토텔레스, 아퀴나스)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6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5번 (아리스토텔레스, 아퀴나스)...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4번 (맹자, 순자)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3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4번 (맹자, 순자) 이상(理想)...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2번,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7번 (하버마스, 슘페터)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3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2번 (하버마스, 슘페터) 2022학년도...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번 (석가모니)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1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번 (석가모니) 이상(理想) 도덕·윤리...
-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2022학년도 6·9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분석 칼럼 안내 3
2022학년도 6·9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분석 칼럼 안내 이상(理想) 도덕·윤리...
-
안녕하세요! EASY한 독도바다입니다. 오늘은 '매일 세계사 한 문제' 시리즈도...
-
임정환T 챌트 1회 도중 로크: 자연상태에서는 자연법 위반 행위에 대해 처벌할...
-
오르비에 올라온 2019 수능 윤사 8번문제 논란에 대한 글을 읽다가, 오르비의...
-
정수환t 윤사 강좌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봐주세요 ㅠㅠㅠ) 6
요번에 9평 셤지 어따 갖다버리고 47인줄 알았는데 성적표보니 한개 더틀려서...
-
9평 생윤 최고 오답률 문제인 환경윤리문제에서 많은 분들을 함정에 빠트렸던 그...
-
(빵떡)님의 생윤사 변형 자료 정오표 (생윤, 윤사) 7
(빵떡)님께서 계정 이용이 제한되어 있으신 관계로 배포하셨던 생윤, 윤사 변형...
-
생윤 공부하신 분들께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사과 먹는 곰입니다. 몇 달 전...
-
이렇게 오개념 논란에 자주 휩싸이고 나름 안티도 엄청 많은 것 같은데 도대체 무슨...
-
6번 이황 이이 다이어그램 문제에서 이황만 되는거에 이는 운동하고 변하하는 기의...
-
오늘 대성모의고사 생윤 문제... 생윤 고수님들 도와주세요ㅠ 12
오늘 본 대성 모의고사 생윤 10번 문제가 잘 이해가 안가는데요.. 니부어의...
-
기출 문제 중에서 14년도 예비시행 6번 문제인데요 이 문제해설에서 "모든 쾌락은...
-
안녕하세요 대학교에서 서술형으로 시험 문제가 나온다고 하여 고민하다가 어떻게...
-
니부어 : 도덕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비합리적 수단 사용 가능? (X)도덕적 개인들이...
-
이현 선생님 0
강의 안 하시나요? 윤리 참 잘 가르쳐 주셨는데 이제 안 하시는 것 같네요 ㅠㅠ
-
급해서 여기에 질문 올립니다. 윤리와 사상 기출문제 관련 질문입니다. (문제사진 첨부) 3
1) 14년도 수능 기출문제 15번에서 을은 도가라고 생각하는데, 도가의 입장에서...
-
윤사 잘하시는분!! 12
인간만이 본연지성을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 이거 맹자주자양명 입장이요맹자 o 주자...
-
인간중심주의, 감정중심주의, 생명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공부하는 중인데요 도덕적...
-
11학년도 수능 12번 문제인데요..을 : 어떤 일을 접해서 희로애락하는 것은...
-
수험생이 소홀하게 넘어갈만한 부분과 오개념 생길만한 부분을 집요하게 파고드네요...
-
윤리는 무조건 이현 들었는데 올 핸 회사경영에 집중하시는지 강의를 안...
-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 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입니다. 12
지난 11일 배포하였던, 윤사와 생윤 모의고사의 정답과 해설입니다. 윤리를 공부하는...
-
안녕하세요. 윤리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입니다. 지난주, 6월 모평은 잘 치셨나요?...
-
예비고3입니다 겨울방학동안 사탐1개는개념떼놓자해서 3학년내신과목인 생윤사하려고생윤만...
-
O인가요? X인가요? 이이의 입장에서 '정은 하나이다'라는 구절이 있어서 말이죠
-
기출문제집 뭐가 제일 좋은가요?ㅠㅠ; 아니면 그냥 EBS만 하나요.윤사는 어느정도...
-
사탐 세계사가 그렇게 안좋나요? 그리고 질문좀요 ㅜ 7
개정수능 사탐 윤리랑 세계사 보려고하는데 둘다 재밌고 관심있어서 하는데요 윤리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