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알고리즘 학습법 마지막 4편 - 요약과 마무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113906
이벤트) 이번 칼럼 읽으시고 간단한 감상평, 소감, 그동안 제 칼럼을 보아오시면서 느끼신 점, 또는 개선점, 문제점 등 다양한 의견을
편안하게 댓글로 작성해주시면,
10분에게 수국비(상)권을 무료로 배포해드리겠습니다.
많은 댓글 부탁드려요!!!
알고리즘 학습법은 특별한 방법이 아닙니다. 이 시리즈를 연재하면서 저는 매우 상투적이고 흔히 들어봤을 법한 용어를 계속해서 사용했습니다. 실전 연습을 통한 자기 점검. 유형별 학습을 통한 알고리즘 형성.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복습을 해서 완전히 내 것으로 익히는 방법.
사실 설명은 쉽게 해드렸지만 막상 실천은 어렵습니다. 다만 어려운 만큼 보상은 확실합니다. 단언컨대 제가 말씀드린 방법만 꾸준하게 한다면 성적은 반드시 오르게 되어 있습니다. 단순히 문제를 많이 풀지 말고, 좀 더 효율적이고 과학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게끔 조언을 해드린 것입니다.
실전 연습은 실력배양에 중요하지만 핵심적인 것은 아닙니다. 실전 연습(모의고사 풀이)를 단순히 자주 많이 한다고 해서 실력이 느는 것은 아닙니다. 실전 연습은 점검의 성격이 강합니다. 내가 당장 지금 뭘 모르는지 확인해야지. 내가 어떤 유형을 잘 모르고 실수하는지 한번 해보자. 수능을 앞두고 시험시간동안 내가 아는 것을 뽑아내는 연습을 하자.
같은 유형을 모아서 한꺼번에 푸는 연습을 하는 것은 알고리즘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작업입니다. 반복된 유형을 똑같이 일관된 논리와 방식으로 푸는 연습을 통해 알고리즘을 구체화하고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간 간격을 일정하게 두어 다시 반복하는 것은 알고리즘을 소실하지 않고 더 강하게 새기는 작업입니다. 한번 알고리즘을 세웠다고 해서 평생 가는 것이 아닙니다. 효율적이고 완벽한 알고리즘을 세웠어도 반복하지 않으면 나중에 다 까먹어버립니다. 이러한 비효율과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 복습을 해야합니다.
잘못된 습관을 가진 여러 학생을 관찰해본 바 있습니다. 단순히 양치기(양으로 밀어 붙이는 공부법)로 하는 학생도 있었고, 눈으로만 보고 이해한줄 착각하고 넘어가는 학생도 있습니다. 저 또한 잘못된 습관을 하나씩 버리는 시행착오를 통해 좀 더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팁 하나 알려드리고 마치겠습니다. 여러분 마라톤 아시죠? 마라토너들은 42.195km라는 인간의 한계를 시험하는 어려운 시험입니다. 일반인은 단순히 완주도 못할 정도로 긴 거리입니다. 전 수능을 마라톤이라고 생각합니다.
마라토너들은 각 구간별로 뛰어야하는 방식이 다 정해져 있습니다. 마라톤에서 우승하기 위해서는 30km 중반대에서 선두 그룹으로 나서야 하며, 40km지점을 전후로 젖먹던 힘까지 쥐어짜서 전력질주를 해야합니다. 인간은 100m까지만 단순무식한 전력질주가 가능합니다. 200m만 넘어가도 계획적이고 의식적으로 조절하면서 뛰어야 합니다.
(한국인 최초의 메달리스트 마라토너 손기정 선수)
42.195km를 처음부터 전력질주로 뛰면 그 선수는 절대로 1등은커녕 완주조차 힘들것입니다. 우리가 하는 수능 공부도 마찬가지입니다. 처음부터 열의와 집념에 불타 모든 것을 쏟아부우면 안됩니다.
1년이라는 기간 동안 처음과 중반까지는 계속해서 나의 부족한 점을 찾고 하나씩 개선해나가야 합니다. 중반에 다다를때까지 계속해서 내가 학습한 알고리즘들이 유실되지 않게끔 복습을 해야합니다. 중반부터 후반까지는 내가 학습한 알고리즘들을 제한된 시간안에 적용해보는 실전 연습을 꾸준히 합시다. 후반에는 젖먹던 힘까지 다해서 전력질주를 해야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장 마지막 순간에 전력질주 하는 것입니다. 마라토너들도 마지막 순간에 전력질주를 하기 위해서 관리하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마지막에 전력질주 할 수 없으면 그동안 열심히 뛰어온, 열심히 학습해온 알고리즘이 무용지물이 됩니다.
재수학원을 다녀보면 체력적 문제로 중반에서 후반으로 넘어가는 텀에 나자빠지고 넘어지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필자 또한 부족한 체력으로 첫 재수때는 후반에 완전히 컨디션이 박살나서 삼수를 하는 비극을 겪었습니다. 여러분은 절대로 이런 실수를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욕심도 나고 주위의 눈치도 있지만, 무작정 뛰게 되면 가장 큰 손해는 여러분이 봅니다.
이 시리즈에서 말하고자 했던 ‘알고리즘 학습법’을 3단계로 정리해보자면
1단계. 실전 모의고사를 통해 자신의 약점을 인지하는 단계.
2단계. 유형별 학습을 통해 알고리즘을 한 개씩 정복하는 단계.
3단계. 이렇게 축적된 알고리즘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복습하여 강화하는 단계.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알고리즘이 무엇인가?라는 개념이 여러분 머릿속에 얼추 들어왔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기획된 시리즈입니다. 혹시라도 받아들여지는 뜻이 명확하지 않다면, 다시 한번 제가 연재했던 시리즈 ‘학습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벤트) 이번 칼럼 읽으시고 간단한 감상평, 소감, 그동안 제 칼럼을 보아오시면서 느끼신 점, 또는 개선점, 문제점 등 다양한 의견을
편안하게 댓글로 작성해주시면,
10분에게 수국비(상)권을 무료로 배포해드리겠습니다.
많은 댓글 부탁드려요!!!
제 블로그에서는 여태 연재한 글을 체계적으로 쉽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nambooki72
--------------------------------------------------------------------------------------------------------------
그리고 <수국비> 광고를 좀 하겠습니다.
최근 댓글을 보게 되었는데요, 얼마나 감사하던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저는 제가 쓴 전자책이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확신합니다. 절대 실망하지 않으시리라 믿습니다.
판매 링크를 살포시...
https://docs.orbi.kr/docs/7325/
-------------------------------------------------------------------------------------------------------------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https://orbi.kr/00054952399 - 2편 유형별 학습
https://orbi.kr/00055044113 - 3편 시간차 훈련
학습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536482 - 9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794208 - 10편
https://orbi.kr/00038933518 - 11편 마지막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떤게 퀄이 좋을까요?? (평가원 수준과 비교했을때 등등) 수능까지 실모는 교육청...
-
6모 백분위 90 2등급인데 이제 슬슬 기출 마무리하고 N제좀 풀어보려고 하는데...
-
생윤,사문 둘 다 쌩 노베이고 지구 과학은 작년에 개념은 전부 했었고 기출은 막...
-
제목 그대로입니다. 최저러라 수능때 어려운거 몇개는 버려도 상관없고 1컷정도가...
-
범죄자들이나 학폭 가해자만 골라서 전재준느낌으로 콘크리트안에 묻어서 내 집을 지을거다
-
영어 4~5등급 노베인데 구문20수 에어 듣고 유베가는 길 -> 파데 들으려 하는데 순서 ㄱㅊ나요
-
게임 한판만....
-
수특 문제 퀄이 2
좋은 편은 아닌게 맞죠?
-
지금 확통 7문제 나오는거 가형 기준으로 확통 문제랑 비교하면 어떰? 어려움 쉬움?
-
2021 가형 92 vs 2025 확통 100 뭐가 어려움 2
2021 가형 92점 받기vs 2025확통 100 받기 둘중 노베이스가 하나를...
-
10분 배차로 왔으면 일정하게 맞춰 와야지 갑자기 ㅅㅂ 내가 탈때만 20분 배차냐
-
아니애초에 탐구 가채점표를 어떻게 쓰는거임? 물리면몰라도..... 근데물리도...
-
공부안하고 3년내내 99-100 딸깍하던게 이제 막바지에이른것같음 문해력좃됨 집중력...
-
솔직히 학교 내신이 수능보다 훨씬 별로인데. 한 번 정해지면 바꾸지도 못하고....
-
진짜 왜이러지 0
3x^2를 t로치환해서 나타내는데 3t^2을 만들어버림 ㅋㅋ..
-
감점폭 큰가 나머지는 그 정도는 아니라던데. 고려대는 전형 구분해놨고.
-
이게 중론인데. 어떤 나름 전문가분이 무조건 특목고 가라 이 말 듣고 의아했음....
-
메가패스 없어서 못 봄
-
1번은 푼다는데 일케해도 부정행위아니랭 일케 되나 난 안해봐서
-
므시열차출발 6
-
아 못참겠다 7
오늘 점심은 핏자다
-
나 너무 노는것같은데 괜찮겠지? 내일 7모인데 잘보려나 ㅋㅋㅋㅋㅋ
-
매일 핫도그 한 개 분량 가공육 먹어도 당뇨-대장암 위험 증가 2
가공육, 가당 음료, 가공식품의 트랜스 지방산 중 건강에 가장 해로운 식품은...
-
이진숙, 제자 논문 통째 표절 의혹… ‘10m 정도’를 ‘10m wjd도’로 쓰기도 3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사진)가 충남대 건축공학과 교수 재직 시절...
-
대학 홈페이지나 진학사 같은 곳이죠? Latte는...... 그리고 인터넷 없던...
-
개연성 표현에 대한 방어만 잘하면 ㅆㄱㄴ임 ㄹㅇ ~할 수 있다 어떤~는 모든~는 할 수 없다 등등
-
망상에 집착하지 않기 22
순리대로 살기 그와는 단짝으로 지내기로...마음먹기 더 이상 슬퍼하지 않기
-
방금 실모 봤는데 독서2틀 문학7틀이여서 4떴습니다ㅠ 문학이 너무 약해서 시간줄이고...
-
얼버기 5
-
병명은 사랑이었다 13
나도 ㅅㅂ 병좀 걸리자
-
저는어린이에요 2
네
-
늦게나마 독서에 재미붙여보는중
-
좋은아침 6
오늘도 료와 함께
-
지나가시는 분들 2
덕코를 기부해주세여 여러분들이 적선해주시는 덕코는 생계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
생윤 퀴즈!!!!! 31
싱어 입장에서 옳은 것을 고르시오(해외 원조) 1. 해외원조는 도덕적 의무라기보다는...
-
와 지옥이구나 1
이곳이 지옥이네
-
제2외 한문 2
공부 어떻게 하나요..? 메가 한문 인강에 수특 병행하면 될까요? 제2외는 처음이라..
-
기하지나간당 13
기하런행
-
엉엉
-
기차 안지나간다 1
안 부지런해
-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오 1
큰일났는데 휴대폰 충전 안 해둬서 지금 17펀데 오 ㅋㅋ ㅆㅂ
-
아침 먹었음 4
본점이라 너무 맛있음
-
김승리 현강 다니는데 좋으면 현장 구매에서 해서 풀려고 하는데 그정도로 좋은 가요?...
-
그걸로 된거야...
-
아좆됫ㄷㅏ 2
일주일째 2시간씩 자니까 헤롱헤롱해서 머리에 열올라옴...진짜 죽겠네
-
얼버기 5
편의점 추천 아메추 ㄱㄱ
-
세상이 고통으로 가득해서
우와우와 이렇게 좋은 칼럼이 있었다니...당장 정독 갑니다!
칼럼들을 쭉 읽어오면서 수능 공부를 처음 접하는 수험생들은 어떻게 효율적으로 공부하는지 알 방법이 별로 없었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는 느낌이 드네요
대학교 2학년 학생인데, 최근의 학습 고민이 이 칼럼을 보고나서 해소되었습니다. 다가오는 학기가 두렵지 않고 설레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네요. 저만의 알고리즘을 향해... 달리기 연습을 시작해야겠습니다. 용기를 주심에 감사합니다.
------------생각보다 참여가 저조한 관계로(ㅠㅠ) 위의 3분께 모두 나눠드리고, 추가적으로 나중에 댓글 달아주시는 분들은 선착순으로 10분 채워서 보내드릴게요!!----------------
재수 갓 시작한 사람입니다. 요즘 국어공부가 안 되어서 우울했는데 좋은 칼럼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당

잘 읽었습니다!!! 감사해용!!---------------여기까지 8분 이시네용 2분 남았습니다!! 참여 감사드립니다!!! ------------------------
수능날까지 마라톤 이론 머릿속에 넣어두겠습니다 ㅜㅜ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칼럼을 읽으며 다른 칼럼과 다른 진취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어렵지 않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10분 되겠습니다!! 다들 참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