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와 영어를 잘하는 법 - 중요한 것에 밑줄치고 집중하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987848
제가 <수국비>에서도 정말 맗고 다르도록 반복적으로 이야기하고, 현우진을 포함해서 웬만한 유명 인강 강사나, 오랫동안 공부를 꽤 해보신 분들, 독해력이 뛰어난 분들, 공부를 잘하는 사람들, 시간을 효율적으로 잘 활용하는 사람들, 실수가 적고 완벽주의적인 사람들, 통찰력이 남다른 사람들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핵심'에 집중하는 집중력입니다.
우선 쉬운 예를 들면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인간의 어느 부분이 가장 핵심 부위인가요? 보통 머리와 가슴 부위입니다. 전쟁터에서 머리 부위나 가슴 부위를 손상당하면 의식불명 내지 사망에 이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방탄모라는 꽤나 무겁고 거슬리는 장비를 차고, 방탄판이라고 또 무거운 장비를 안에 덧입습니다.
그렇기에 군인들은 주로 사격훈련을 할 때 아래 이미지 같이 생긴 과녁을 두고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내가 목적하는 바(적의 무력화)를 위해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연습을 하기 위해!
https://kr.123rf.com/photo_146430705_%EC%86%8C%EC%B4%9D-%EC%97%B0%EC%8A%B5%EC%9E%A5%EC%97%90%EC%84%9C-%EC%97%B0%EC%8A%B5%ED%95%A0-%EC%88%98-%EC%9E%88%EB%8A%94-%EC%82%AC%EB%9E%8C-%EB%AA%A8%EC%96%91%EC%9D%98-%EC%82%AC%EA%B2%A9-%EA%B3%BC%EB%85%81.html
명사수가 누굽니까? 바로 앞서 언급한 부위를 적절하게 잘 조준하고 맞히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그냥 무식하게 과녁도 안보고 빠르게 쏘는 속사가 아니라, 정확히 핵심적인 부분을 타격하는 연습을 많이 오랫동안 꾸준히 한 사람이란 말입니다.
그렇다면 수능 국어나 영어의 경우에는, 가장 핵심되는 머리, 가슴 부분이 어딜까요? 대체 어디를 조준하고, 어디에 시야를 확보하고 어디를 집중적으로 바라보아야 정답에 가까워 질 수 있을까요?
바로 글의 '주제'입니다.
그렇다면 좀 더 구체적으로, 어느 위치에 그 주제라는 머리가 자리잡고 있나요? 수능 국어 비문학의 경우에는 주로 1문단이나 마지막 문단, 또는 2문단에 위치하기도 합니다. 수능 영어 지문의 경우에는 가장 첫 번째 줄에 핵심을 남겨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수능 영어를 정말 천부적으로 잘한다고 했었죠. 살면서 한번도 영어는 1등급을 놓친 적이 없습니다(제가 마지막 영어 상대평가 세대입니다). 저는 절대로 고작 짧은 문장 하나 따위에 정신이 팔려본 적이 없습니다. 제가 푸는 것을 스스로 돌이켜보니, 전체적인 주제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제들은 첫 번째 줄에서 언급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습니다.
제가 이런 깨달음을 얻고서 조금 모험적인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당시 기출 문제집 마더텅을 보고 한 10문제 정도, 극단적으로 딱 첫 번째 줄만 읽어보고 답을 맞추는 거였습니다. 한 10문제 정도 그렇게 실험을 해봤는데, 정확히 기억은 안납니다만 거의 다 맞췄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보통 영어를 못하는 유식한 친구들의 경우, 열심히 모든 지문을 꼼꼼히 읽은 다음에, 선지를 보다가 중간에 툭 하고 걸리는 것에, 그러니까 지엽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함정에 빠져버리는 경우가 상당히 많더군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한 문단의 전체 맥락을 파악하고 가장 중요한 것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제가 수능 수학을 정말 못했었다고 자주 말했었죠. 항상 핵심을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21번 29번 30번 같은 어려운 마지막 부분 문제들의 의도 파악을 전혀 못했었습니다. 그러나 수학을 잘하면서 자연스럽게 문제의 의도,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이런 상황에서 무엇을 생각해야 할까 핵심적인 고민들을 하기 시작하면서 성적이 올랐습니다.
정말 어렵고 변칙적이던 수능 국어도 가장 핵심되는 주제를 잘 찾고(보통 첫 번째 문단에서) 그 주제를 중심으로 뿌리깊게 생각을 단단히 심은 다음, 위에 곁가지로 다양한 정보들을 정리 정돈해보니까 문제의 답들도 쉽게 나오더군요. 특히 보통 어려운 문제이고 학생들이 많이 틀리는 문제일 수록, 지문의 주제라는 핵심에 잘 도달했느냐의 여부를 물어보는 경향이 심했습니다. 그러니까 대부분 학생들은 제대로 총을 조준조차 하고 있지 못했다는 것이죠.
예전에 어느 인강 선생님의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데, 수능 국어 비문학은 어디에 밑줄을 치는 지가 핵심이라고 하셨습니다. 절반 정도 맞고 절반 정도는 틀린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통 학생들은 모르는 용어나 생소하고 어려운 전문적인 내용에 집착해서 밑줄을 치는 경향이 매우 크거든요. 차분하게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내용 안에서 주제를 찾아서 밑줄을 치는 경우가 드물었습니다. 물론 <수국비>를 통해 공부한 학생들은 지문의 본질인 핵심적인 주제를 잘 찾더군요.
밑줄 친 부분이 중요하긴 합니다. 만약 모든 줄에 밑줄을 치면 구분이 안갈 테니까요.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곳에 이정표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이정표라는 것을 아무대다가, 생각없이 막 많이 꽂아놓기만 하면 안됩니다. 지문의 머리에 해당하는 주제를 잘 찾아서 밑줄을 그어두어야 합니다.
대학을 오고 나서 수능 공부를 했던 훈련들이 정말 자주 등장합니다. 교수님의 말씀 중에서 어느 부분이 핵심인가, 책의 어느 내용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가. 그 부분들만 잘 캐치하면 적은 시간을 들이고도 빠르게 이해를 하고 넘어가더군요.
중요한 곳에 밑줄을 치고 거길 중심으로 읽어라. 마치 '인간은 모두가 최선의 노력을 다해서 살아야 한다' 같은 굉장히 진부하면서도 당연한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가장 눈여겨보아야 할 부분은, 과연 '중요한 곳'이 어디냐는 것입니다. 사람의 발가락이 인체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잘못된 사수는 전쟁터에서 죽는 겁니다. 반드시 머리나 가슴을 노려야 합니다.
중요한 것을 정확히 찝어내는 능력이 곧 사고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에 큰 관심과 비중을 두는 훈련이 사고력 훈련이고, 수능은 그걸 우리에게 계속 요구하고 있습니다.
<수국비 상>
https://docs.orbi.kr/docs/7325/
<수국비 하>
https://docs.orbi.kr/docs/7327/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https://orbi.kr/00054952399 - 2편 유형별 학습
https://orbi.kr/00055044113 - 3편 시간차 훈련
https://orbi.kr/00055113906 - 4편 요약과 마무리
사고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56551816 - 1편 바둑과 수싸움
https://orbi.kr/00056735841 - 2편 예절
https://orbi.kr/00056781109 - 3편 자유로운 직업세계
https://orbi.kr/00056882015 - 4편 따라하기
https://orbi.kr/00057164650 - 5편 어린 놈들이 약아서
https://orbi.kr/00057384472 - 6편 자기 스스로를 알아차리기
https://orbi.kr/00057614203 - 7편 체력분배
https://orbi.kr/00057650663 - 8편 수학적 상상력
https://orbi.kr/00057786940 - 9편 편견깨기
https://orbi.kr/00058147642 - 10편 시냅스, 알고리즘의 강화
https://orbi.kr/00060975821 - 11편 자문자답
https://orbi.kr/00061702648 - 12편 '박영진 이혼전문변호사'를 통해 재밌게 알아보는 법률 이야기
https://orbi.kr/00062050418 - 13편 수능 국어 공부
https://orbi.kr/00062206444 - 14편 현우진이 말하는 독해력과 사고력
https://orbi.kr/00062298282 - 15편 교수 면담
https://orbi.kr/00062328444 - 16편 관세법과 일관성
https://orbi.kr/00062406700 - 17편 말하기 공부법
https://orbi.kr/00062419084 - 18편 공부 못하면서 허세 좀 부리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2495541 - 19편 법조인에게도 필요한 수능 국어 비문학 독해력!
https://orbi.kr/00062583015 - 20편 - 전쟁에도 유형이 있다
https://orbi.kr/00062643940 - 21편 국어, 수학, 과탐 공부 이렇게 해보십시오
https://orbi.kr/00062818762 - 22편 똑똑하고 재능이 있다는 것은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https://orbi.kr/00063239512 - 23편 어려운 문제도 잘게 쪼개면 풀 수 있다!
https://orbi.kr/00064157242 - 24편 리터러시(문해력,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4692514 - 25편 단순히 많은 학습 시간은 배신을 할 수 있다!
https://orbi.kr/00064934387 - 26편 대한민국은 강대국이 될 자격이 없다
https://orbi.kr/00065089413 - 27편 본질 feat. 반추 동물의 생존
https://orbi.kr/00067574982 - 28편 추론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7699093 - 29편 천재에게 과외 받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7722206 - 30편 중요한 것으로 마음을 가득 채우세요
- 31편 국어와 영어를 잘하는 법 - 중요한 것에 밑줄치고 집중하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핳
-
걍 궁금함
-
뭐지 먼저 자리 맡아놧는데도 그러네 장애잇나
-
풀어보고 평가 ㄱㄱ
-
나는 일반고를 나왔다.내가 졸업한 고등학교는 그리 수준이 높지 않은 일반고이다.내...
-
유명한 수학 정신병자인 져어가 왜 주제에 안 맞게 수학 모고 후기를 올리냐며는....
-
가진것 다 내놓고 사라지고 싶다 이 한몸 바쳐서 더 가치있는것이 빛날수있다면
-
7모 그냥 가볍게 볼라그랬는데 쌤이 반애들한테 내기를 걸어서 잘 보긴 해야될거같아요...
-
6모 백분위 90 2등급인데 이제 슬슬 기출 마무리하고 N제좀 풀어보려고 하는데...
-
생윤,사문 둘 다 쌩 노베이고 지구 과학은 작년에 개념은 전부 했었고 기출은 막...
-
제목 그대로입니다. 최저러라 수능때 어려운거 몇개는 버려도 상관없고 1컷정도가...
-
범죄자들이나 학폭 가해자만 골라서 전재준느낌으로 콘크리트안에 묻어서 내 집을 지을거다
-
영어 4~5등급 노베인데 구문20수 에어 듣고 유베가는 길 -> 파데 들으려 하는데 순서 ㄱㅊ나요
-
게임 한판만....
-
수특 문제 퀄이 3
좋은 편은 아닌게 맞죠?
-
지금 확통 7문제 나오는거 가형 기준으로 확통 문제랑 비교하면 어떰? 어려움 쉬움?
-
2021 가형 92 vs 2025 확통 100 뭐가 어려움 2
2021 가형 92점 받기vs 2025확통 100 받기 둘중 노베이스가 하나를...
-
10분 배차로 왔으면 일정하게 맞춰 와야지 갑자기 ㅅㅂ 내가 탈때만 20분 배차냐
-
아니애초에 탐구 가채점표를 어떻게 쓰는거임? 물리면몰라도..... 근데물리도...
-
공부안하고 3년내내 99-100 딸깍하던게 이제 막바지에이른것같음 문해력좃됨 집중력...
-
솔직히 학교 내신이 수능보다 훨씬 별로인데. 한 번 정해지면 바꾸지도 못하고....
-
진짜 왜이러지 0
3x^2를 t로치환해서 나타내는데 3t^2을 만들어버림 ㅋㅋ..
-
감점폭 큰가 나머지는 그 정도는 아니라던데. 고려대는 전형 구분해놨고.
-
이게 중론인데. 어떤 나름 전문가분이 무조건 특목고 가라 이 말 듣고 의아했음....
-
메가패스 없어서 못 봄
-
1번은 푼다는데 일케해도 부정행위아니랭 일케 되나 난 안해봐서
-
므시열차출발 6
-
아 못참겠다 7
오늘 점심은 핏자다
-
나 너무 노는것같은데 괜찮겠지? 내일 7모인데 잘보려나 ㅋㅋㅋㅋㅋ
-
매일 핫도그 한 개 분량 가공육 먹어도 당뇨-대장암 위험 증가 2
가공육, 가당 음료, 가공식품의 트랜스 지방산 중 건강에 가장 해로운 식품은...
-
이진숙, 제자 논문 통째 표절 의혹… ‘10m 정도’를 ‘10m wjd도’로 쓰기도 3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사진)가 충남대 건축공학과 교수 재직 시절...
-
대학 홈페이지나 진학사 같은 곳이죠? Latte는...... 그리고 인터넷 없던...
-
개연성 표현에 대한 방어만 잘하면 ㅆㄱㄴ임 ㄹㅇ ~할 수 있다 어떤~는 모든~는 할 수 없다 등등
-
망상에 집착하지 않기 22
순리대로 살기 그와는 단짝으로 지내기로...마음먹기 더 이상 슬퍼하지 않기
-
방금 실모 봤는데 독서2틀 문학7틀이여서 4떴습니다ㅠ 문학이 너무 약해서 시간줄이고...
-
얼버기 5
-
병명은 사랑이었다 13
나도 ㅅㅂ 병좀 걸리자
-
저는어린이에요 2
네
-
늦게나마 독서에 재미붙여보는중
-
좋은아침 6
오늘도 료와 함께
-
지나가시는 분들 2
덕코를 기부해주세여 여러분들이 적선해주시는 덕코는 생계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
생윤 퀴즈!!!!! 31
싱어 입장에서 옳은 것을 고르시오(해외 원조) 1. 해외원조는 도덕적 의무라기보다는...
-
와 지옥이구나 1
이곳이 지옥이네
-
제2외 한문 2
공부 어떻게 하나요..? 메가 한문 인강에 수특 병행하면 될까요? 제2외는 처음이라..
-
기하지나간당 13
기하런행
-
엉엉
-
기차 안지나간다 1
안 부지런해
-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오 1
큰일났는데 휴대폰 충전 안 해둬서 지금 17펀데 오 ㅋㅋ ㅆㅂ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