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와 영어를 잘하는 법 - 중요한 것에 밑줄치고 집중하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987848
제가 <수국비>에서도 정말 맗고 다르도록 반복적으로 이야기하고, 현우진을 포함해서 웬만한 유명 인강 강사나, 오랫동안 공부를 꽤 해보신 분들, 독해력이 뛰어난 분들, 공부를 잘하는 사람들, 시간을 효율적으로 잘 활용하는 사람들, 실수가 적고 완벽주의적인 사람들, 통찰력이 남다른 사람들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핵심'에 집중하는 집중력입니다.
우선 쉬운 예를 들면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인간의 어느 부분이 가장 핵심 부위인가요? 보통 머리와 가슴 부위입니다. 전쟁터에서 머리 부위나 가슴 부위를 손상당하면 의식불명 내지 사망에 이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방탄모라는 꽤나 무겁고 거슬리는 장비를 차고, 방탄판이라고 또 무거운 장비를 안에 덧입습니다.
그렇기에 군인들은 주로 사격훈련을 할 때 아래 이미지 같이 생긴 과녁을 두고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내가 목적하는 바(적의 무력화)를 위해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연습을 하기 위해!
https://kr.123rf.com/photo_146430705_%EC%86%8C%EC%B4%9D-%EC%97%B0%EC%8A%B5%EC%9E%A5%EC%97%90%EC%84%9C-%EC%97%B0%EC%8A%B5%ED%95%A0-%EC%88%98-%EC%9E%88%EB%8A%94-%EC%82%AC%EB%9E%8C-%EB%AA%A8%EC%96%91%EC%9D%98-%EC%82%AC%EA%B2%A9-%EA%B3%BC%EB%85%81.html
명사수가 누굽니까? 바로 앞서 언급한 부위를 적절하게 잘 조준하고 맞히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그냥 무식하게 과녁도 안보고 빠르게 쏘는 속사가 아니라, 정확히 핵심적인 부분을 타격하는 연습을 많이 오랫동안 꾸준히 한 사람이란 말입니다.
그렇다면 수능 국어나 영어의 경우에는, 가장 핵심되는 머리, 가슴 부분이 어딜까요? 대체 어디를 조준하고, 어디에 시야를 확보하고 어디를 집중적으로 바라보아야 정답에 가까워 질 수 있을까요?
바로 글의 '주제'입니다.
그렇다면 좀 더 구체적으로, 어느 위치에 그 주제라는 머리가 자리잡고 있나요? 수능 국어 비문학의 경우에는 주로 1문단이나 마지막 문단, 또는 2문단에 위치하기도 합니다. 수능 영어 지문의 경우에는 가장 첫 번째 줄에 핵심을 남겨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수능 영어를 정말 천부적으로 잘한다고 했었죠. 살면서 한번도 영어는 1등급을 놓친 적이 없습니다(제가 마지막 영어 상대평가 세대입니다). 저는 절대로 고작 짧은 문장 하나 따위에 정신이 팔려본 적이 없습니다. 제가 푸는 것을 스스로 돌이켜보니, 전체적인 주제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제들은 첫 번째 줄에서 언급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습니다.
제가 이런 깨달음을 얻고서 조금 모험적인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당시 기출 문제집 마더텅을 보고 한 10문제 정도, 극단적으로 딱 첫 번째 줄만 읽어보고 답을 맞추는 거였습니다. 한 10문제 정도 그렇게 실험을 해봤는데, 정확히 기억은 안납니다만 거의 다 맞췄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보통 영어를 못하는 유식한 친구들의 경우, 열심히 모든 지문을 꼼꼼히 읽은 다음에, 선지를 보다가 중간에 툭 하고 걸리는 것에, 그러니까 지엽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함정에 빠져버리는 경우가 상당히 많더군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한 문단의 전체 맥락을 파악하고 가장 중요한 것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제가 수능 수학을 정말 못했었다고 자주 말했었죠. 항상 핵심을 벗어났기 때문입니다. 21번 29번 30번 같은 어려운 마지막 부분 문제들의 의도 파악을 전혀 못했었습니다. 그러나 수학을 잘하면서 자연스럽게 문제의 의도,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이런 상황에서 무엇을 생각해야 할까 핵심적인 고민들을 하기 시작하면서 성적이 올랐습니다.
정말 어렵고 변칙적이던 수능 국어도 가장 핵심되는 주제를 잘 찾고(보통 첫 번째 문단에서) 그 주제를 중심으로 뿌리깊게 생각을 단단히 심은 다음, 위에 곁가지로 다양한 정보들을 정리 정돈해보니까 문제의 답들도 쉽게 나오더군요. 특히 보통 어려운 문제이고 학생들이 많이 틀리는 문제일 수록, 지문의 주제라는 핵심에 잘 도달했느냐의 여부를 물어보는 경향이 심했습니다. 그러니까 대부분 학생들은 제대로 총을 조준조차 하고 있지 못했다는 것이죠.
예전에 어느 인강 선생님의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데, 수능 국어 비문학은 어디에 밑줄을 치는 지가 핵심이라고 하셨습니다. 절반 정도 맞고 절반 정도는 틀린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통 학생들은 모르는 용어나 생소하고 어려운 전문적인 내용에 집착해서 밑줄을 치는 경향이 매우 크거든요. 차분하게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내용 안에서 주제를 찾아서 밑줄을 치는 경우가 드물었습니다. 물론 <수국비>를 통해 공부한 학생들은 지문의 본질인 핵심적인 주제를 잘 찾더군요.
밑줄 친 부분이 중요하긴 합니다. 만약 모든 줄에 밑줄을 치면 구분이 안갈 테니까요.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곳에 이정표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이정표라는 것을 아무대다가, 생각없이 막 많이 꽂아놓기만 하면 안됩니다. 지문의 머리에 해당하는 주제를 잘 찾아서 밑줄을 그어두어야 합니다.
대학을 오고 나서 수능 공부를 했던 훈련들이 정말 자주 등장합니다. 교수님의 말씀 중에서 어느 부분이 핵심인가, 책의 어느 내용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가. 그 부분들만 잘 캐치하면 적은 시간을 들이고도 빠르게 이해를 하고 넘어가더군요.
중요한 곳에 밑줄을 치고 거길 중심으로 읽어라. 마치 '인간은 모두가 최선의 노력을 다해서 살아야 한다' 같은 굉장히 진부하면서도 당연한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가장 눈여겨보아야 할 부분은, 과연 '중요한 곳'이 어디냐는 것입니다. 사람의 발가락이 인체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잘못된 사수는 전쟁터에서 죽는 겁니다. 반드시 머리나 가슴을 노려야 합니다.
중요한 것을 정확히 찝어내는 능력이 곧 사고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에 큰 관심과 비중을 두는 훈련이 사고력 훈련이고, 수능은 그걸 우리에게 계속 요구하고 있습니다.
<수국비 상>
https://docs.orbi.kr/docs/7325/
<수국비 하>
https://docs.orbi.kr/docs/7327/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https://orbi.kr/00054952399 - 2편 유형별 학습
https://orbi.kr/00055044113 - 3편 시간차 훈련
https://orbi.kr/00055113906 - 4편 요약과 마무리
사고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56551816 - 1편 바둑과 수싸움
https://orbi.kr/00056735841 - 2편 예절
https://orbi.kr/00056781109 - 3편 자유로운 직업세계
https://orbi.kr/00056882015 - 4편 따라하기
https://orbi.kr/00057164650 - 5편 어린 놈들이 약아서
https://orbi.kr/00057384472 - 6편 자기 스스로를 알아차리기
https://orbi.kr/00057614203 - 7편 체력분배
https://orbi.kr/00057650663 - 8편 수학적 상상력
https://orbi.kr/00057786940 - 9편 편견깨기
https://orbi.kr/00058147642 - 10편 시냅스, 알고리즘의 강화
https://orbi.kr/00060975821 - 11편 자문자답
https://orbi.kr/00061702648 - 12편 '박영진 이혼전문변호사'를 통해 재밌게 알아보는 법률 이야기
https://orbi.kr/00062050418 - 13편 수능 국어 공부
https://orbi.kr/00062206444 - 14편 현우진이 말하는 독해력과 사고력
https://orbi.kr/00062298282 - 15편 교수 면담
https://orbi.kr/00062328444 - 16편 관세법과 일관성
https://orbi.kr/00062406700 - 17편 말하기 공부법
https://orbi.kr/00062419084 - 18편 공부 못하면서 허세 좀 부리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2495541 - 19편 법조인에게도 필요한 수능 국어 비문학 독해력!
https://orbi.kr/00062583015 - 20편 - 전쟁에도 유형이 있다
https://orbi.kr/00062643940 - 21편 국어, 수학, 과탐 공부 이렇게 해보십시오
https://orbi.kr/00062818762 - 22편 똑똑하고 재능이 있다는 것은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https://orbi.kr/00063239512 - 23편 어려운 문제도 잘게 쪼개면 풀 수 있다!
https://orbi.kr/00064157242 - 24편 리터러시(문해력,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4692514 - 25편 단순히 많은 학습 시간은 배신을 할 수 있다!
https://orbi.kr/00064934387 - 26편 대한민국은 강대국이 될 자격이 없다
https://orbi.kr/00065089413 - 27편 본질 feat. 반추 동물의 생존
https://orbi.kr/00067574982 - 28편 추론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7699093 - 29편 천재에게 과외 받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7722206 - 30편 중요한 것으로 마음을 가득 채우세요
- 31편 국어와 영어를 잘하는 법 - 중요한 것에 밑줄치고 집중하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뭔가 강사 풀이 이런걸 체화하려고 노력하지 않았던 것 같네요 안 좋은 습관
-
1.준비하는 시험 종류 : 리트 2.독해력 공부 전체 기간, 투자한 시간 :...
-
오늘의 공부 0
매삼비 1일치 영어 20문제+단어 알파 모의고사 3회차 신비해 듣고 문제 풀면서...
-
독재 퇴근 완 1
아오 수학때마다 저능함이 느껴지네
-
공부 ㅇㅈ 11
국어 김승리 허슬테스트(개망함...ㅋㅋ) kbs 2개 매월승리 수학 24 5월...
-
졸라 힘들엇음 한 삼사개월 걸렷나
-
1. 교과서 텍스트 다 던져버리고 편하게 요약집 봐서 2. 스스로 생각하지 않고...
-
이재명 1위 3
어라
-
김승리가 탑이였음 현대시 처음보는거도 2분컷이다 이제는
-
에에 럼프상 스고이 시발
-
1문단에서 주는 화두 잡아서 핵심정보끼리 연결하고 선지에서 세부정보 보는 이 방법이 맞나요
-
와 개조졌다 3
오늘 공부가 ㄹㅇ 너무너무 하기 싫어서 하루종일 수학함
-
그녀가 공작저로 가야 했던 사정 외과의사 엘리제 버림 받은 황비 샬롯에게는 다섯명의...
-
나같은 범부는 공통 다맞는 것도 대단해보임
-
인강 호흡이 엄청 기네요;
-
약 다시 먹고 브레인포그를 이겨내고 수학을 마니마니 해따!!!!
-
사고력 탓 하기 전에 상도덕 좀 지키자.(240928) 6
이 문제의 오답률은 EBSi 기준 82.6%이다. 이 문제를 못 풀었던 학생들을...
-
개쩌는거보여드림 0
쩐당
-
하아..
-
그냥 n제 한두권 풀고 실모만 푸는분들도 있나
-
이건뭐임뇨 ㅋㅋ 9
필다리없는 장애인지킴이집은 없는데 여성안전 지킴이집이있는건 여성=장애인보다...
-
세상은 전문가의 말을 인용하여 하는 선동과 날조라 넘쳐나는데 그것이 전문가랑 짜고...
-
너무 키높이인가?? 반스 오리지널 로고 레드 아닌거 좀 빡치긴하네
-
ㅠㅜ
-
뭐.. 토요일부터 폭식 때릴 거긴 해
-
ㄹㅇ
-
가요이같은여친을향해뚜벅뚜벅 ㅋㅋ
-
분명 작년보다 아는것도 많고 보는 관점도 넓어지고 그냥 전체적으로 많이 성장했다고...
-
맞팔구 1
ㅇ
-
자강두천 ㅋㅋㅋㅋ
-
요새 잠 완전 푹 자는듯
-
딱 한 번만...
-
보니까 점수분포 자체가 right skewed 한듯 내일은 복습만 해야지...
-
대성에 좋은쌤들 많으니 이쌤저쌤 들어보라고 배려해주신 GOAT
-
과잠 0
SEOUL 'N YONSEI KOREA SKKU SEOKANG HANYANG SSIBAL
-
배성민 드리블 1
들어보신 분 있을까요? 정병호 선생님 프메 다듣고 원솔멀텍 듣고 있는데...
-
문항에 가치평가가 들어가면 한곳으로 사람들이 쏠린다는걸 실증하기 위해 몸소 한몸...
-
시간이남아도나..ㅋㅋ용
-
문제 하나하나 풀때마다 벽느껴짐..
-
굿즈 이쁘다 3
사기 잘한 거 같아
-
난 진짜 억울
-
술땡기는데 4
먹어줄 사람이 없네 주말에 비온대서 약속 파토남
-
KBS 좋긴 함 6
애니 퀄리티 자체는 잘뽑혔고 운문편 강의는 김승리 문학이랑 싱크가 잘맞아서 김승리...
-
tuberosity랑 tubercle이 뭔 차이임? 13
결절이랬다가 거친면이랬다가 ㅈㄴ 왔다갔다하네
-
따로 취미생활까지 하기는 1학년 때만 가능한 건가
-
용수철문제 투척 6
킄
-
죄책감 느낄부분 1
다들 개념기출 끝낼때인데 아직 개념기출 돌리고있음 ㅋㅋㅋㅋㅋ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