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504249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절에 들어가서 공부하는대 빌런이 한두마리가 아님 까마귀 가악가악가악 매미...
psat 빠지면 서운해잉
PSAT은 풀어봤는데 초반 문항 말고는 그닥이던데
아그런가용? 지문길이가 짧아서 아침에 워밍 조지기 좋앗음 저는..
이원준 피셜 psat보단 릿밋딧이 수능 대비에 낫다
그리고 psat은 문항 구성부터가 수능 비문학이랑은 너무 이질적임
ㅇㅎ글쿠낭..... 지금까지 꽤 풀엇엇는디 ㅠㅠㅠ...
사설은 연계도 대비되니까
이것도 크죠
5개년 밑으로 내려가면 기출 난도가 확내려감
쉬운것만 푸는 것도 이상하죠
물수능만 대비하는 것도 아니고
근데17수능예찬론자라17수능은좀풀어봤으면
선별은 할 수 있으나 다 푸는 건 경험치 쌓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듯
선생님이야말로 사설을 극한까지 푸신 분 아닌가요

현역재수삼수 내내..올해도 실모 차력쇼 하시나요

제가 이렇게 공부해서 증명해볼게요9개년 말고 5개년인 이유 잇으심뇨?
2015학년도 개정 교육과정 반영된 게 2021학년도부터라서요
캬
혹시 28수능은 대비 어떻게 하실거임뇨? 예상문제나 69 무한반복?
일단 기존 방법론대로 15개정 기출들을 풀고 아마 예시문항 공개되면 그걸로 사설들이 많이 문제 만들어줄 거예요
개정 초반에는 사설이 반영해주는 거 열심히 풀 것 같습니다
개인적 생각은 1911까진 물시험제외 다보고 나머지 약간 선별해서보면 괜찮은듯요
20학년도도 괜찮은게 꽤있어서
사실 옛기출에도 좋은 거 많습니다
- 2012학년도 수능 비트겐슈타인 지문
- 2015학년도 수능 신채호의 아와 비아
- 2016학년도 수능 기판력
이걸 어떻게 다뤄야 할지 애매하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