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사 이야기 64편 - 조선 도공과 이공계의 위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234089
이번 편은 유명 유튜브 '당신이 몰랐던 이야기' 를 보고 감명을 받아 쓰게 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VwmXpg7oDs&list=LL&index=31&ab_channel=%EB%8B%B9%EC%8B%A0%EC%9D%B4%EB%AA%B0%EB%9E%90%EB%8D%98%EC%9D%B4%EC%95%BC%EA%B8%B0
일본은 과거 2차례 대규모로 조선을 수탈한 적이 있습니다. 한 번은 누구나 아는 일제강점기이고, 두 번째는 규모는 앞선 첫 번째 사례보다는 작기는 하지만 꽤나 일본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임진왜란 중 '도공을 비롯한 기술자 납치'입니다.
당시 고려 청자나 조선 도자기가 얼마나 일본에서 희귀했고 비싸기는 또 비쌌는지는 영상에 잘 나와 있으니까 시청을 권유해봅니다.
현대에 와서야 일본은 대표적으로 잘 사는 나라이고 인구 강국(1억이 넘으며 이는 남북한을 모두 합쳐도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이며 소프트 파워로 세계를 호령하는 나라라고 알려져 있지만, 의외로 일본은 근대화 이전까지 조선보다 많이 떨어지는 면이 많았습니다.
세종대왕때는 그 유명한 '팔만대장경'을 달라고 졸라댔고(당시 조선은 유교 국가이며 불교를 멀리했으니 줬을 법도 한데,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쟤들 한번 받으면 버릇 나빠진다"라는 이유 등으로 안줬습니다) 조선 통신사가 직접 가서 여러가지 선진문물(당시로는 청나라의 이야기나 기술들)을 전수해주기도 하였습니다.
엄청 멀리 가자면 일본은 구석기 유물이 없는 등(이를 조작하다가 걸리는 바람에 역사학계에서 신뢰를 완전히 상실한 일도 있었고) 의외로 일본이 한국을 따라잡은 것은 전체 역사 중 최신의 일입니다.
당장 임진왜란의 배경에서도 알 수 있듯이, 조선은 '통일된 집권왕조'로서 신라시대부터 강력한 중앙 통제가 기장 행정을 관리했으며 현대와 같은 의미에서 통일성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일본은 전국시대를 지난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세력이 남아있는 영주들이 도요토미 사후에 또 패권을 움켜주려고 반기를 들 수도 있다는 걱정 때문에 일어난 전쟁이기도 합니다. 예컨데 <한산>이나 <노량>에서 조선군은 하나같이 "우리 조정이~" "우리 임금님이~" 라고 하지만, 일본 수군들은 "우리 영주님이~"라고 말하죠.
대표적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침략하고 계획적으로 약탈해간 것이 바로 '도공'을 비롯한 조선의 뛰어난 기술자들이었습니다. 지금도 일본에는 당시 도공들의 14대, 16대손이 살아서 가문을 유지할 정도로 전통이 발달했죠. 이는 전쟁사적 요인도 큰데, 한국은 일제 수탈은 물론 625전쟁으로 전국이 폐허가 되면서 명맥이 많이 끊겼지만, 일본은 태평양 전쟁에서 소소하게 본토에 폭격을 당하기도 핵도 맞았지만 한국과 달리 전국이 전쟁터가 된 적이 없습니다. 핵 마저도 미국 고위 간부가 일본의 역사와 전통을 최소한 존중하는 차원에서 현대에도 유~명한 관광지를 선정하지 않은 영향도 있습니다.
독일은 2차 대전 이후 동서독으로 분단되었으며, 특히 동독은 소련의 지배 하에 무려 2600만명의 소련 인민과 군인을 죽여버린 독일 민족에 대한 철저한 복수심으로 많은 수탈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근데 한국은 독일처럼 추축국 참가 당사자도 아니면서 일본 대신 분단되어버린 것이 참 아이러니하죠.
고려 청자는 현대에서도 수 억을 호가할 정도로 가치가 큰 문화 유산입니다. 마치 우리가 벤츠나 디올백에 환장하는 것처럼 일본 영주들은 청나라나 조선제 물건들에 환장했었고, 대표적으로 도자기가 그러하였습니다.
북한이 지네들도 영화 좀 유명하게 잘 만들어 보겠다고 남한 배우나 영화 감독 납치한 것처럼, 자연스럽게 조선 도공들은 전리품이 아닌 일종의 '손님' 예우를 깍듯이 받으며 '모셔'와 졌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조선은 사농공상이라 하여 당장 인구가 먹을 식량 생산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 중에서 머리 역할을 하는 선비가 최고인건 당연한거고, 나머지 직종은 '부차적인' 취급을 받았습니다. 조선 후기에 와서는 박제가가 '일반 백성들은 비뚤어지고 깨진 그릇도 당연하다는 듯이 쓴다'라고 서술한 것처럼 이 영향은 조선 멸망까지 이어졌습니다.
비슷하게 미국도 독일 패망 이후 독일의 유망하고 유능한 기술자들이나 과학자들을 신분세탁을 하여 자국 발전을 위해 납치(?)해 갔습니다. 반도체 굴기를 추구하는 중국이 sk 하이닉스 출신 기술자들을 연봉 6배씩 쥐어가면서 납치(?)해가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죠. 컴퓨터와 인공지능이 발전한 현대에서도 인재는 매우 중요합니다. 어쩌면 오히려 옛날보다도 더 중요해질 지도요.
조선 도공들은 조선에서는 천민 취급이었지만, 일본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의 대우와 대접을 받으며 삽니다. 임진왜란 전쟁이 끝난 이후, 조선인 출신들은 조선으로 돌아갈 수 있었는데 도공들의 답은 단호하게 no 였습니다. 여러분 같으면 돌아가고 싶겠습니까.
그 배경 덕분에 일본 도자기는 그야말로 전성기, 꽃을 피우게 됩니다. 이는 일본의 근대화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쳤는데, 서양에서는 동양의 도자기를 굉장히 높게 평가하였고 엄청 비싸게 거래되었습니다. 소위 서양에서 '일류'를 이끌어 낸 것이죠. 이는 현대에도 마찬가지입니다. BTS가 대박을 냈다 그럼 노래 잘 모르는 저 같은 사람도 찾아보게 되고, 그러다가 한국 드라마도 보고 싶어지게 되고, 한국 드라마 보니까 김치찌개랑 부대찌개 먹어보고 싶은게 인지상정입니다.
저는 한국이 현대에 들어와서 이공계 위기가 심화되는게 도공의 유출과 별반 다른 맥락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예컨데 의대 증원 문제를 들어보겠습니다.
뭐 의료의 질이 낮아지니 보험비가 높아지니 그런 것은 모르겠지만, 당장 이공계 입장에서 보면 의대 증원은 엄청난 블랙홀입니다. 2천명이라는 숫자는 SKY 이공계를 전부 합친 숫자보다도 많은 숫자입니다. 입시에 익숙한 여러분은 이게 무슨 의미인지 알 것입니다. 예 SKY 이공계가 입시에서 한 바퀴 더 돈다는 말이죠.
직업 선택에 대해 아무리 미사여구를 붙이더라도 자본주의로 돌아가는 현대 세계에서는 뭐가 설명의 끝이겠습니까 결국 소득이 모든 것을 주도합니다. 의사는 그 높은 소득으로도 유명하지만 동시에 안정적이고 오래 간다는 중요한 점을 포함합니다. 예컨데 여러분이 노벨상 수상급의 특허를 냈다고 생각해봅시다 초고속으로 승진해서 삼성의 임원이 됩니다.
얼마 전 삼성에 30대 임원이 탄생했죠 이 말은 반대로 30대라도 바로 모가지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가 생각할때 고위 임원으로 한 10년? 버티면 무지막지하게 오래 버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임원 시절의 소득 자체는 의사보다 높겠으나 장기적으로 보아서는 쨉이 안된다는 것이고, 그 깨달음이 널리 국민들에게 퍼졌기에 의대의 인기가 하늘을 모르고 솟아 오르는 것입니다.
문제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공계야 말로 고부가가치의, 삼성이나 엘지 제품이 세계에 판매되서 그 돈으로 국가 전체가 먹고 사는 수출 중심 국가에서 의사가 늘어난다는 것은 고부가가치 잠재력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전 절대로 여러분에게 애국심만으로 이공계에 가라고 강요하고 싶지 않습니다) 물론 한국 성형외과 같은 경우 겁나게 유명해져서 중국 일본에서 성형하러 물 건너 오기도 하지만, 그 수입에 비해서 삼성 최신형 TV가 왕창 팔리는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큰 차이가 나겠습니까.
조선 도공이 천대받다가 다른 나라가서 잘 살게 된 것처럼, 내노라하는 인재들이 미국 가서 한국 사회 욕하고 잘 먹고 살 사는 것처럼, 중국이 공격적인 헤드헌팅으로 핵심 기술자들 모셔가는 것을 보면 참 세상이 개탄스럽습니다. 전 단지 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고 싶을 뿐입니다. 그런데 한국 사회는 뭔가 대단히 단단하게 왜곡되어 있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습니다.
이 모든 것이 역사 교육의 부재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통령을 비롯한 고위 정치인들이 이런 중학교 수준의 역사 상식에도 무지하니까 국가적으로 끝내주는 대접을 받아줘야 마땅한 고부가가치 창출의 이공계들을 천대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RnD 예산 삭감은 덤이고요.
위에서 짓누루는 일본과 아래에서 솟구쳐 올라오는 중국의 대환장 콜라보
https://www.yna.co.kr/view/AKR20231010170900073
국가 보전에 필수적인 군인을 속된 말로 군바리라고 비하하고 그들에 대한 처우를 막대해주다가 나중에 전쟁에 지고 나서 후회해도 할 말 없습니다. 아니 멸망하고 나서 후회라도 할 지도 의문입니다. 자본주의 세계에서 이공계의 위기를 타파하는 방법은 아주 효과적이고 확실합니다. 의사를 초월하는 수준의 대우를 해주면 됩니다.
저는 사회를 바라볼 때 본질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수많은 편견과 이념 때문에 현실을 왜곡해서 보는데, 역사를 배우다 보면 본질을 바라볼 수 있는 객관적인 능력이 길러진다고 생각합니다.
https://orbi.kr/00055542126 - 46편 통일
https://orbi.kr/00056188275 - 47편 여성 인권의 역사
https://orbi.kr/00056394883 - 48편 병기 안정성
https://orbi.kr/00057461810 - 49편 제식 총기와 변화(1)
https://orbi.kr/00057467772 - 50편 제식 총기와 변화(2)
https://orbi.kr/00057528396 - 51편 부자는 망해도 3대가 간다
https://orbi.kr/00058038552 - 52편 묵시록의 4기사
https://orbi.kr/00058218418 - 번외편 히틀러는 과학적이었을까?
https://orbi.kr/00058536467 - 53편 공세와 수세
https://orbi.kr/00059636600 - 스트레스는 망치질, 단조와도 같다
https://orbi.kr/00059950719 - 55편 균형
https://orbi.kr/00061292641 - 56편 북한 무인기 도발 사건
https://orbi.kr/00061720912 - 57편 미중 갈등과 병자호란
https://orbi.kr/00061992319 - 58편 휴식의 중요성
https://orbi.kr/00062181387 - 59편 사과의 논리
https://orbi.kr/00063325047 - 60편 기후와 창의성
https://orbi.kr/00064863283 - 61편 본질
https://orbi.kr/00065603709 - 62편 평범한 사람들의 위대한 도전
https://orbi.kr/00068103250 - 63편 목적 의식과 비전
- 64편 조선 도공과 이공계의 위기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https://blog.naver.com/nambooki72/221912423246 - 2편 유형별 학습
https://blog.naver.com/nambooki72/221912424359 - 3편 시간차 훈련
https://blog.naver.com/nambooki72/221912425030 - 4편 요약과 마무리
학습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536482 - 9편 + <수국비> 광고
https://orbi.kr/00038794208 - 10편
https://orbi.kr/00038933518 - 11편 마지막
<수국비 상>
https://docs.orbi.kr/docs/7325/
<수국비 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살하고싶늠
-
재수생 순공시간 5
재수생분들은 순공시간이 보통 얼마나 되나요?
-
나만 인강들으면 2
몸 베베 꼬고 집중못하나 난 독학서 효율이 다좋은듯 인강은 자꾸 집중못해서 돌려봄
-
과외생 3
1시 수업인데 오늘 아침에 질문 몰아서보냄 때릴까
-
함께 써내려가자
-
오늘 과외 2
준비안하고 갔는데 다행히 잘 마쳤다 아직 1개 더 남앗어ㅜㅜ
-
갠적으로 제로 스토리가 젤 재밌었음
-
영어 쉬웠네요 채점 저는 여기서 확인했어요 검정고시 영어 정답
-
수성구 1
새로생긴 아파트들 좋네 과외생 집 부럽다ㅜㅜ
-
시대 정규반 1
시대 정규반은 상시 모집인가요? 6모 이후로 시대 정규반 들어갈 수 있나요?
-
영어도 끝이네요 ㅎㅎ 영어점수 확인하세요!! 검정고시 답안 확인
-
난이도 어렵다고는 들었는데 상방 뚫는 n제 시즌에는 사서 풀만한가요?
-
N제중 뭐가 제일 좋은가요..?
-
우리학교 교사가 설명을 뒤집어자ㅣ게 못합니다 그래서 수업땐 단체로 자체자습으로...
-
얼버기 0
-
아침부터 심심해
-
어이 사문러들 4
이 사탐런하는 허수 좀 도와주세요.... 물리한테 두들겨맞고 사문런하려는데 임정환...
-
요즘 말투 바뀜 9
아이고 안씀
-
[FIM] 54번 풀이(180630가+181130나) 0
난이도 : 8/10 겉보기 난이도는 최고난도이지만, 의외로 경우의수가 쉬워서 풀이는...
-
해장 추천 1
국물위주로 ㄱㄱ
-
피곤하고 잠오면 어떻게 해결할까요
-
보통 어떻게 하나요
-
39도 2
타이레놀 먹어도 ㅈㄹ 몸이 골병듬... 여러분들은 건강 잘 챙기시길
-
ㅈㄱㄴ
-
[앵커멘트] 광주에서 대규모 수학능력시험 부정이 적발됐습니다. 관련된 수험생만...
-
언매 웬만하면 다 맞으시는 언매황님이 계시다면 인강 강사 추천 부탁드립니다 작수...
-
근데 애초에 여기 과거 출신이 있을까
-
대성패스 양도 0
대성패스 판매합니다
-
ㅈㅅㄴ
-
못하거나 꼴으면 대통령 탓=>지지율 상승 의도적으로 대통령 일 못하게...
-
『오줌발사』 2
-
근데 검정고시는 탈락할 수 있는 난이도가 아니었음
-
쌍사 시너지 미쳤다는데 ㅈㅉㅇㅇ? 지엽적인거 많아요? 해보고 싶함...
-
히히
-
구문해석은 되는데 지문 독해가 잘 안되는 거 같아서 뭘 들으면 좋을ㅋ가요? 메가였으면 좋겠습니다
-
1. 어떤것을 잊으면 병이다 1의 대우명제는 2. 병이 아니면 모든것을 잊지않는다...
-
뭔가 복영에 복영을 보는 느낌임 왤케 이질감 들지 그냥 금요일 수업 틀어주는거일텐디..
-
4덮 0
더프도 문학 ebs 작품 나와요?
-
수학 다들 어려웠다는데 좋은 결과 있기를 마지막까지 화이팅 검정고시 가답안
-
평수능+교사경 원래 48600원인거 택포 3만원에 팖 배송 온거 박스도 안 뜯음
-
물컹물컹 2
물렁물렁
-
왜 수능 국어에서는 이런 단문항 문제를 안 내는 거임 3
경찰대 편입 psat 리트처럼 이런식으로 한 문제씩 나오는 문제 내면 좋을 것...
-
근처에 독재가 없어서 대구까지 가려고 하는데 노선 갈아타는 건 없어요.. 스카 독재...
-
잊는게 왜 병임? 14
"어떤것을 잊으면 병이다" 대우명제 "병이 아니면 모든것을 잊지않는다" 대우명제가...
-
이번에 과탐에서 넘어왔는데 그정도로 만만한 과목까진 아닌가요?
-
루비쨩 하이 5
나니가 스키 초코민또 요리모 아!나!타! 나 이거 왜아는거냐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