찍으면 왜 3,4번이지??? (찍기의 과학적 근거 고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61915
수능 국어는 긴 지문을 읽고 해석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 조절을 잘못하면
문제 몇 개정도는 읽지도 못하고 찍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으로
찍고 있는지 궁금하다. 단 선지나 지문의 내용을 약간이라도 고려하지 않고 약 1 초 만에
찍는 경우를 말한다.
최근 5년간의 수능 선지별 정답 개수를 살펴보면,
2014년 A형 | 2014년 B형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통계 | |
① | 8 | 8 | 9 | 10 | 10 | 9 | 54(18.6%) |
② | 7 | 8 | 10 | 9 | 8 | 11 | 53(18.2%) |
③ | 10 | 10 | 10 | 10 | 12 | 11 | 63(21.7%) |
④ | 11 | 8 | 11 | 10 | 12 | 9 | 61(21.0%) |
⑤ | 9 | 11 | 10 | 11 | 8 | 10 | 59(20.3%) |
* 수능 선지별 정답 개수
최고 ③과 최저 ②는 무려 10%나 차이가 난다. 흔히들 모르면 ③ 혹은 ④로 찍으라고 하는데,
그 이유를 설명해 주는 이는 없었을 것이다. 정답의 분포가 ①,②보다 ③,④,⑤ 쪽이 많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통 수험생은 선지를 ①~⑤로 차례대로 읽어 나간다. 정답을 ①, ②쪽에 만들어
놓으면 수험생이 정답을 빨리 찾기 때문에 ③,④,⑤을 볼 필요조차 없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력오답으로 정성껏 만든 ③,④,⑤가 수험생이 보지도 않고 지나간다면
출제자는 허탈해 할 것이다. 그래서 출제자는 의식적으로 ③,④,⑤쪽으로 정답을 설정해
놓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점이 높은 문제일수록 너무 빨리 문제 푸는 것을 막으려는
출제자의 심리 때문에 더욱 ③,④,⑤에 정답의 분포가 높다.
둘째, 보통 선지는 ①에서 ⑤로 갈수록 점점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말이 많은 사람일수록
말실수가 많은 것처럼 선지도 그 길이기 길면 적절하지 못한 것을 찾는 부정 발문 형에서
정답이 될 여지가 많기 때문에 정답이 ③,④,⑤쪽에 분포가 높다.이에 따라 수험생은
선지를 ①부터 ⑤까지 차례로 읽는 것보다 ③④⑤를 먼저 읽는 것이 정답을 좀더
빨리 찾는 데 효율적이다. 사소하고 별거 아닌듯한 것 같지만 1초라도 아껴서야 하는
수능에서 이는 매우 중요하다.
Rule 7의 칼럼 BOX
*유료 파일, 무료 베포
http://orbi.kr/0004916145
1. Rule 칼럼
10월 학평 분석: http://orbi.kr/0004930790
9평의 <보기>제시형 문제 풀이법: http://orbi.kr/00048684572015
3학년 9월 모평 분석: http://orbi.kr/0004843897
비문학 '한 문제' 맞고 시작하기 (추천수 72): http://orbi.kr/0004798711
간파된 '매력 오답'의 원리 (추천수 55): http://orbi.kr/0004781747
'내신~수능'까지 써먹을 팁 (추천수 76): http://orbi.kr/0004770519
'전개방식'문제 풀이법: http://orbi.kr/0004762187
2015 사관학교 '일탈, 대립'선지 분석(추천수 49): http://orbi.kr/0004751063
출제자는'대립'을 좋아해!!(2014 수능 '대립' 분석): http://orbi.kr/0004742661
'보기' 제시형 문제의 비밀!!!: http://orbi.kr/0004737284
국어 선지들의'일탈' (2014수능, 6월모평, 7월학평 분석): http://orbi.kr/0004729424
시험의 우선순위: http://orbi.kr/0004714878
7월 학평, 미안해 지문없이 그냥 풀었어!!!: http://orbi.kr/0004700746
[국어 시험의 법칙] 1탄:‘일탈 선지’의 법칙 (기본편) : http://orbi.kr/0004615143
[국어 시험의 법칙] 2탄:‘대립 선지’의 법칙 (기본편): http://orbi.kr/0004647628
[국어 시험의 법칙] 3탄:‘공통 선지’의 법칙 (기본편): http://orbi.kr/0004662077
‘대립 선지’의 법칙 적용 사례 (보인고등학교 기말 편): http://orbi.kr/0004668652
2. 희귀 칼럼
정답이 눈에 보여!!!: http://orbi.kr/0004692230
시험의 허점 VS 출제자의 실수: http://orbi.kr/0004685033
출제자의 실수 VS 출제자의 의도: http://orbi.kr/0004679253
다른 시험, 같은 지문!!!: http://orbi.kr/0004631832
다른 문제, 같은 정답!!!: http://orbi.kr/0004905218
3. 전략 칼럼
4,800초의 시간 컨트롤: http://orbi.kr/000463996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작년 9모 15번 풀었는데 칭찬이랑 난이도 설명 좀(6에서 올라가는중 ㅋㅋ)
-
존나 크네
-
동기중 한분이 삼성 계약학과 버리고 성대 수학과 오셨다는데 어느정도죠..? (Ex....
-
켁켁 1
분필을 먹은거같애
-
지갑 접히는 부분에 박음질 된거 빼면 완벽한거 같음 이건 판매자한테 문의해봐야지
-
나의 대리만족 0
구떠여 더들리
-
???: 실전에서 안할건데 그렇게 공부할 필요있냐? 2
손흥민이 훈련때 헬스를 왜하겠냐 그 논리라면 공만 뻥뻥 차는 훈련만 하면 되지
-
뭐하는 ㅅㄲ지 ㅋㅋㅋ
-
러닝크루 차단짤 2
-
오늘 나한테하나 배운거다
-
대 연 세 9
ㄷㄷㄷㄷ
-
이사람 왤케 귀여움 남잔데도 참기 힘드네 ㄹㅇ 내가 여자엿으면 확 그냥..
-
젠장할
-
선택과목 공부 미포함 독서 문학만
-
무브링 (20세,남) 10
지하철 800원에 탑승
-
왔다 롤파크 0
티킅전 ㄷㄱㄷㄱㄷㄱ
-
테섭은 나오는 날인데 밸패좀
-
이 문제 풀어주실 수 있는분...계신가요.....
-
이과의 왕 철저한 이성의 신봉자 대들면 무자비하게 법으로 혼내줌 이런 캐릭터가...
-
국암박멸마렵네
-
이거 공통수학 해도 문제 독해가 안될 수도 있지 않나요 그냥 수학 실력이...
-
흠.. 짝퉁인지 아닌지 모르겠숴
-
언매 문학 독서 30/30/20 조금만 긴장해도 독서 한지문 다 찍어야됨;;
-
코돈 난이도 어느정돈가요 ? 16~25번 제효 복추 하디 난이도는 어느정돈가요 ?
-
ㅈㄱㄴ
-
기출 수특 순서 1
기출을 먼저 푸나요 수특을 먼저 푸나요? 수학 과탐 ( 생2 지1 )같은 경우용
-
수학을 체계적이고 세련되게 푸는게 큰 의미가 있을까요? 0
수능에 한해서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던데. 그냥 올드하고 오래걸리든 말든 큰...
-
쌍윤 tmi 1
의외로 지난 5년간 1컷 50은 각각 두번뿐이다 문제는 두번 다 같이 50이었음..
-
인생 역전 드가자잇
-
국어 김상훈 현대운문 ebs를 부탁해 6~9강 이원준 리트 300제 14~15강...
-
요새느끼는거 0
-
매일 9시에 잠에 드는 나는 왜 사기가 되지 못함
-
레테크 실패함 5
레어괴물이 되어버렸어
-
할 많이 많다 0
하지만 하지는 않겠다 히힉
-
개사기네 어제 피곤해서 11시 반에 잤는데 ㄹㅇ 사람이 달라진 느낌임
-
For days, Donald Trump and his White House...
-
이문제정도면 수능에서 어느정도 난이도임??
-
작년엔 이렇게 안 빡셌는데 문과 뇌가 되어버린 탓일까
-
15만원 언더로 추천해줘용
-
282930 못맞출 거 같은데 지금부터 기하 하는 거 오반가요? 시발점부터...
-
벚꽃필때 0
셤기간인게 에바 ;
-
에혀혀 1
집가는데 머이리 긴 여정을 ..
-
허공에 가상의 땅을 만들어서 구른다음에 강아지로 변신해서 착지하기
-
단 하나의 깃털도 남기지 말고
-
덕분에 돈없는데 살았음
-
ㅇㄴ 님들아 내가 지금 고3인데 1학기에 학급 회장을 하고 있거든? 이게 대입...
-
이제 내꺼임 ㅎ
-
아 시발 4
내 만년필 언제오는겨
-
논술 자작도 밥먹으면서 삼각함수표보다 아이디어 떠올라서 만들고 그럼
-
DEF평면을 Q위치까지 위로 평행이동 시키면 PP‘이 밑면과 수직이고 P’H는...
여러분의 찍기 노하우도 공개해 주세요^^
짝수형이면 어떻게 되는거에요??
둘다 아닌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