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tion [45124] · 쪽지

2007-04-13 12:39:05
조회수 5,824

괜찮은 또다른 병역해결방법 - 전문연구요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44346

아래 병특관련 얘기가 있길래 거기에 덧붙여 전문연구요원 내용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대부분 이과- 공대, 자연대에 해당되는 얘기입니다)

- 전문연구요원 - 석사후 산업체나 학교에서 3년을 카운트해서 병역을 대체하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 전문연구요원의 일반적인 테크트리
1. 학부 4년+석사2년+석사병특(전문연)3년 (중간에 4주 훈련은 별도로 있음) = 병역해결
2. 학부 4년+석사2년+박사수료2년+박사나머지3년(이때 병역3년카운트,4주훈련) = 병역해결
(일반적으로 박사5년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수료(2년)은 코스웍이 끝나는 때고 박사마치는건 논문
통과시기입니다)

재수,휴학없이
1번과 같이하면 29살 2월에 석사학위+3년회사경력+3년간 모은 수천의돈+병역해결
2번과 같이하면 31살 2월에 박사학위+병역해결 이됩니다.
(석박통합과정까지해서 1년줄이면 30살2월에 박사학위받는것도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1번의경우 일반적인 회사(대기업)에서는 병특과 일반 직원의 구분을 하지 않기떄문에 동일한 처우와 동일한 경력을 가지게되고, 2번도 군필박사와 아무 차이가 없기 떄문에, 1,2번모두 사실상 병역 면제와 맞먹는 혜택이됩니다.

1번같은 경우는 회사에서 별도로 병역특례 대상자를 뽑는데 공대쪽 대기업이 많기 떄문에 상위권대에서는 그리 어렵지 않게 대기업을 갑니다(이것도 관련 전공회사가 크고 많이 뽑는 회사가 있는 분야가 좋습니다. 큰회사가 없는 일부 과의 경우는 대기업병특구하기가 만만치 않을수 있습니다) 대기업에서 3년 하면 버는돈도 쏠쏠하고 다른데로 옮기기 싫으면 그냥 계속 눌러앉으면 되고요.

2번같은경우는 박사하는도중에 그냥 병역을 해결해주는 방법이라 군대갔다온 박사과정생으로는 약간 상대적 박탈감이 들정도로 아무 제약이 없습니다. 물론 미필이라 해외학회갈때 여권만들때 약간 귀찮음이 있는것을 제외하면. 단 국내박사만 해당됩니다.

전문연 시험의 경쟁률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센곳인 수도권도 1.2:1정도 됩니다. 그리고 올해부터는 시험도 여러번 볼수있게 바뀌었습니다. 전문연 시험은 영어와 국사를 보고, 4급 보충역 대상자는 시험 면제입니다.

그럼 군면제나 다름없는 이런 좋은제도가 있는데 안하는 사람은 무엇인가?
1. 대학원을 갈생각이 없다. - 석사학위가 필수니까 대학원 안갈사람이거나 전공을 바꿔 진출할 사람에게는 큰 의미가 없죠.
2. 유학준비 - 유학을 가려면 국내박사를 못하니 2번을 못하는데, 1번을 하자니 현역보다 1년길기 때문에 차라리 일찍 카투사로 빠져서 영어배우고 유학준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3. 학부때 정신을 못차려서 정신차리기 용으로 군대를 가는경우- 이런사람 굉장히 많습니다. 이런때는 군대가 도움이 되긴 하지요.

그리고 유학이 꿈인사람,그러나 학비가 부담되는 사람에게 꽤나 괜찮은 테크트리는

- 학부4년+국내석사2년+석사병특3년(학비할돈과 전공3년경력은 어드미션에 큰도움)+박사 유학

입니다.

참고로 과거에는 전문연이 5년이어서 너무 길어서 유학이 너무 늦어지거나 전공 바꿔서 사회진출이 너무 어려워서 약간 기피분위기가 있었고 또한 국방부에서 전문연 인원을 줄인다고 했지만, 마침 이공계 기피가 터지는 바람에 대통령지시로 전문연 인원 유지하고 기간도 5년->3년으로 줄였습니다.


상위권 공대,자연대 진학할 분들은 참고하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음유시인 · 130940 · 07/04/13 22:28 · MS 2005

    그냥.. 한번쯤 갔다가 와도.. 좋은 경험입니다.. 병역이 부정적인 면만 있는건 아닌뎀.... ^^;

  • 초옵세건전청년 · 54850 · 07/04/13 22:33 · MS 2004

    올해 카츄사 떨어지면 석사병특할까 생각중

  • 동사서독 · 159932 · 07/04/13 22:36

    이공계 전공자 중에 학부 졸업하고 국내에서 대학원 진학하고 전공 살리고 싶고 군대 가기 싫고... 이런 사람들은 생각해볼만 하네요.

  • 코콩~~~ · 74064 · 07/04/14 16:09

    좋은글 감사합니다^^

  • Zariski · 158113 · 07/04/15 09:50

    저것 3년으로 줄어들면서 수학과에선 그 미어터지던 사관학교 조교로 군복무 해결하는게
    찬밥신세가 되었죠. 예전엔 상위권 대학에서 연줄이 있어야 들어갈 수 있었는데,
    이젠 아무도 지원조차 안하니...ㅋㅋ

  • 핀투리키오 · 8272 · 07/04/16 22:11 · MS 2003

    3년 안 채우고 박사 졸업해도 학교에서 포닥하거나 회사, 국책 연구소 등에서 근무하면서 병역을 마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자기가 TO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리 이동도 쉽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면 쪽지주세요.
    훈련소도 다녀온, 소집해제 1년 남은 현역 전문연구요원이 친절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__^*

  • 마블 · 44295 · 07/04/17 22:28

    좋은 글 감사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