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 [749641] · MS 2017 · 쪽지

2025-10-11 14:10:04
조회수 1,479

수능국어잡기술인데대충시험전에알고가면좋은데제목을뭘로할까고민중인13편 ★★★대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25536


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


잡기술 1편 예시 잡기술 2편 원칙/예외 잡기술 3편 기준값 잡기술 4편 산문밀도 잡기술 5편 존재 

잡기술 6편 보조사도  잡기술 7편 과학기술안면함  잡기술 8편 → 잡기술 9편 운문문학동선따기

잡기술 10편 운문문학보기끌어쳐박기 잡기술 11편 운문문학보기존나잘끌어쳐박기

잡기술 12편 산문문학보기줜나잘끌어쳐박기


[풀이] 26062226 (고전시가) [풀이] 26092730 (고전시가)

[풀이] 26092226 (현대시) 1부 [풀이] 26092226 (현대시) 2부


[칼럼] 국어 파이널 개꿀팁 1.실모 패버리기 [칼럼] 국어 파이널 개꿀팁 2.실모 패버리기 (노베버전)


[이벤트] 사람을 찾습니다


칼럼요청장












경고



오늘 중요하니까 빡집중하고 읽으십쇼 오늘 중요하니까 빡집중하고 읽으십쇼 오늘 중요하니까 빡집중하고 읽으십쇼 오늘 중요하니까 빡집중하고 읽으십쇼 오늘 중요하니까 빡집중하고 읽으십쇼 오늘 중요하니까 빡집중하고 읽으십쇼

















반갑습니다. 





즐거운 독서 시간이 왔습니다. 



요즘 드는 생각이  문학, 언매...는 아직 완성이 안된 듯 하네요. 


문제만 딸깍 푸는 건 잡스럽게 잘하는데, 뭔가 가르치려면 좀 제대로 해야 할 것 같아요. 


물론 수험생들보단 낫겠지만  공개적으로 가르치긴 개줫밥이라 이 정도론 뭘 할 수 없겠네요.


지금 수준에서는 꿀팁이나 질질싸는 수준일 듯 합니다. 


내년 2월까지 열심히 수련하게씀다





다만... 독서? 









???: 전해준 것들은   잊지...않았겠지..?




















끄으으으아가아아아아악!~!!@!@!@!!@!@!@!@ 힘이 모인다!!








좀 자신 있습니다. 



그럼 신나는 독서 시간이 왔으니 힘을 개방해보겠습니다. 
















미리 세팅도 안하고 바로 갑니다.



24학년도 수능 임다



'그런데'에 초점을 맞춰서 읽어보십쇼.
















읽었나요? 





'그런데'가 붙으면 앞 내용과 뒷 내용이 대비가 되는거죠?  



그건 어차피 알잖아요.  안 가르치는 사람이 없을걸요.



이걸 좀 잘 써보자고요. 



그냥 '아 아는건데~'하지 말고 한번 들어보십쇼.







이제부터


'그런데'가 만드는 상황, 즉 앞과 뒤가 찢어지는 관계를 '대비' 관계로 지칭하겠습니다. 

(존나 중요함. 이제 저는 이런 용어를 되게 일관적으로 쓸 거니까요)




그럼 독자들은 '그런데' 를 통해서 저 문장이 '대비 상황'임을 인식할 수 있다는 거죠.



그럼 양갈래로 찢어버립시다. 



그렇게 읽어보면.....






이렇게 됩니다.





즉, 노란색 형광펜인 '데이터에 결측치와 이상치가 포함'은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음' 으로 인식되고



회색 형광펜인 '데이터의 특징을 제대로 나타냄'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과 사실상 동의어임을 눈치챌 수 있죠.








이게 뭐가 중요하냐면, 제가 저번에 말씀드렸던 임계값 얘기에서 알 수 있듯,



대가리 용량 부담을 훨씬 줄여줍니다. 



원래 각각 다른 항으로 처리해야 할 정보들을 잡기술 하나로 묶어버릴 수 있으니까요. 










하나 더 해봅시다. 



'다만'과 '한편'에 초점을 맞춰 읽어봅시다. 












됐나요?


그럼 '다만' 부터 깨부숩시다. 





'다만' 앞 문장은 <위임된 행정 규제 사항의 대강>을 <위임 근거 법률의 내용>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여기서 '다만'의  질감을 고려하면, 그 뒷 내용은


'<위임된 행정 규제 사항의 대강>을 <위임 근거 법률의 내용>으로부터 예측하기 힘든데 허용되는 경우' 로 읽을 수 있는거죠.















이제 '한편'을 패봅시다. 

('한편'은 좀 애매하긴 합니다. 대비와 전환의 질감이 모두 있어서... 근데 그냥 서비스로다 합니다 크하하)







노란색으로 친 '특정한 행정 규제의 근거 법률이 위임명령으로 제정할 사항의 범위를 정하지 않은 채 위임하는 포괄적 위임은 헌법상 삼권 분립 원칙에 저촉된다.' 



'한편'을 고려하면, 대비의 느낌과 전환의 느낌이 다 있죠...




그럼에도 대비로 찢어보면...








이렇게 됩니다. 



즉, '한편'의 앞 부분은 '제정 사항의 범위'를 정하지 않은 경우고,  뒷 부분은 '제정 사항의 범위를 정한 경우'로 이해할 수 있다는 거죠.



자~ 하나 마지막으로 더 ~~~~



















여기서 '그러나' 에 초점을 맞추고,



앞 내용과 뒷 내용을 양갈래로 거침 없이 찢어버립시다. 



'그러나' 앞 뒤를 찢어버리라는 겁니다. 












그러면 어케 되냐면~




 






이렇게 됩니다. 



'그러나'의 질감을 제대로 살려서 읽어보면(좌우로 양갈래로 찢어보며) 



독자의 머릿속엔 '정상적인 데이터'가 '데이터 수집이 제대로 된 경우' 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앞 부분은 이상치는 주로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생기고


뒷 부분은 이상치는 가끔 데이터 수집이 아닌 다른 과정에서 생긴다는 것입니다. 



쓸만하죠?






이걸 좀 단계로 나눠서 설명해볼까요? 

(이해 못해도 되는데, 향후 칼럼 이해를 위해서 알아두는 게 좋음 ㅎㅎ)






Step1. '그러나' 인식


문장에서 대비 관계를 나타내는 표시인 '그러나'를 독자가 인식한 단계 입니다. 


독자는 이 단계에서 저 상황이 '대비' 관계임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Step2. '대비' 추동력


'표시'를 보고 독자가 어떠한 목적의식을 지니는 과정입니다. 


말이 어렵지만 '그러나' 를 보고 '아 찢어버려야지' 라고 목적하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단계에서 독자는 '정말 대비되는가?' 를 찾으려고 '그러나' 앞 뒤를 왔다갔다하겠죠.



Step3. 효과


Step2에서 얻은 목적의식에 집착해 행동하면, 몇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1) '정상적인 데이터'가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문제 없는 경우' 와 사실상 동의어인 사실을 포착할 수 있고, 


(2)'데이터 특징을 왜곡하는 값'이 '이상치'라고 포착할 수 있죠. 


또 감이 좋다면, (3) '그러나' 앞 부분에 있는 '주로'를 통해, '그러나' 뒷 부분이 '가끔'일어나는 것도 느낄 수 있죠. 











그럼 기어를 올려서 이것도 해봅시다. 




22학년도 수능 브레턴우즈입니다.




앞에서 처럼 '반면'의 질감을 살려서 읽어보세요.















그럼 이렇게 됩니다. 









'반면'을 통해 독자는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할 수 있죠. (Step3만 설명한다는 소리) 





(1) (주황색) (회색)

'적자가 되든 말든 어차피 회색으로 가면 뒤지는거니까... 그래서 딜레마와 모순이라고 했구나...'


(2) (연두색) 

'공급을 축으로 대비되니까... 국제 유동성과 달러화가 같은 애들일 수도 있겠네' 



(3) (회색)

'회색 친구들은 마땅히 대비될 건 없고, 그냥 둘 다 좆된다는 거구나...'





이 정도는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반면'을 가지고 (1)~(3)까지만 해도 충분합니다. 







그러나 여기가 끝이 아닙니다. 



감이 극한으로 끌어올려진 상황 (제 기준: 숙면 7시간, 아침에 똥 싸고 담배 피고 2시간 안 지난 상태) 에는



(4) '붉은색으로 된 준비 자산으로서의 신뢰도 저하'는 마땅히 짝쌍 맞춰서 대비 안해줬는데, 이 색기 언제나옴?' 



과 같은 의문을 가질 수 있죠. 이를 바탕으로도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 글은 대부분, '준비 자산으로서의 신뢰도 저하' 부분에 측면을 맞춰서 글을 써주거든요. 

(못 믿겠으면 함 보셈ㅎㅎㅎ)




또 




(5) '주황색으로 된 부분 대비해보면, <허용>과 <지속>이 사실상의 동의어로 쓰였는데, 어느 미친색기가 적자를 허용함? 적자는 허용하고 말고의 문제는 아닌데?.... 와 미국 존나 쎄구나....'   




라는 숨겨진 뉘앙스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후반부의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 과정에서 이해를 간접적으로 도와줍니다. 







이 대비 기술은 거의 모든 지문에 적용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알아두시면 좋을 듯 ㅎㅎ







아이고 힘들다. 



오늘은 힘 개방을 해서 힘드네요.



여러분들 좋은 하루 되시길.













전달사항  [캐스트를 위한 홍보]




-정제된 잡기술을 보고 싶으신 분들

-시험 전 25학년도 6/9/수능 스윽 보고 가고 싶으신 분들







을 위한 2025학년도 독서 문학에 대한 지문해설을 담은 개화




개화 구매링크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Atom - 개화(開化) 국어 2026 독서/문학편 




















그럼 이만






























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


잡기술 1편 예시

잡기술 2편 원칙/예외

잡기술 3편 기준값

잡기술 4편 산문밀도

잡기술 5편 존재

잡기술 6편 보조사도

잡기술 7편 과학기술안면함 

잡기술 8편 →

잡기술 9편 운문문학동선따기

잡기술 10편 운문문학보기끌어쳐박기

잡기술 11편 운문문학보기존나잘끌어쳐박기

잡기술 12편 산문문학보기줜나잘끌어쳐박기


[풀이] 26062226 (고전시가)

[풀이] 26092730 (고전시가)

[풀이] 26092226 (현대시) 1부

[풀이] 26092226 (현대시) 2부


[칼럼] 국어 파이널 개꿀팁 1.실모 패버리기

[칼럼] 국어 파이널 개꿀팁 2.실모 패버리기 (노베버전)


[이벤트] 사람을 찾습니다


칼럼요청장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