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이] 26092226 (현대시) 2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87690
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
[칼럼] 국어 파이널 개꿀팁 2.실모 패버리기 (노베버전)
인사 안 함 바로 시작함.
25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풀이와 독해를 동시에 하는 것'입니다.
노파심에 하는 말인데, 자신이 있는 경우, (다) 지문을 한번에 부수고, 남은 문제를 푸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그렇게 하거든요)
그래서 처음엔 고민을 좀 많이 했습니다.
(다)를 온전히 뚫어버리는 식을 설명할지, 아니면 급박한 상황을 가정하여 최대한 장악을 못한 경우를 상정하고 쓸지.
기회가 된다면, (다)를 피지컬로 뚫는 것을 보여드리겠지만, 여기선 가라로 읽고 푸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제가 여기서 이런식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항상 급한 상황을 대비하기 때문입니다.
시험장에서 멘탈 터져서 수필을 장악하지 못할 경우엔 어찌어찌 읽어야 하니까요.
자 그럼 갑시다.
7단계: 25번 풀이 + (다)독해
이걸 보고...
이 부분을 찾아 보면 됩니다.
일단 ㉠이 물음의 방식인건 너무 자명합니다.
그리고, ㉠에서 '형태'를 언급했고, 그 형태는 큼과 작음이 있다 하니 ... 사물의 외적 형태에 대한 생각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죠.
여기도 인용 표시("")가 있으니 판단하기 쉽습니다.
제가 드래그 친 부분을 읽지 않아도, ㉡와 그 이후 부분만 봐도, '나'와 '성인'의 생각이 유사함을 알 수 있고, 뒷받침해준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실전에서 너무 급박한 나머지 완전하게 장악을 못해도, ㉢ 부분에서 '변화'가 없다는 것은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만약 뒷 부분에서 사앙의 생각이 바뀔 여지는 있다해도, 여기까지만 봤을 땐, 변화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푹 하고 질러버릴 수 있는거죠.
아이고 편합니다.
이제 마지막 문제를 풀어보죠.
대충 감이 옵니다.
(다)지문 뒷 부분에서 나오든, (가)지문 까지 읽어야 하든...
제발 (다)지문 안에서 정답이 나오길 바라면서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8단계: 26번 풀이
일단 멈춰서 봅시다.
25번에서 ㉢까지 판단하면서, 어느 정도 독해를 했습니다.
여태까지의 상황은 '화자는 사물의 형태가 크고 작은 건 없고 마음먹기에 달렸다고 생각하며, 집이 작다는 사앙이라는사람에게 꼰대질을 시전하기 직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①의 '사양하지 않는 잡' 주변부를 읽어보면 되죠.
대충 알겠습니다.
'이견을 포용하는 삶의 중요성'은 그냥 개소립니다.
'나'는 그냥 '니집 줫만한걸로 지랄 좀 하지마라' 라는 겁니다.
즉, '니 집에 가족도 있고, 국화도 들어가고, 산 빛도 들어차는데 뭐 작다고 지랄임' 이라는 거죠.
이런 맥락에서 하는 말이니 '이견을 포용한다'는 것은 애초에 개소리입니다.
다음.
이 친구도 마찬가지입니다. ①을 판단하기 위해 했던 생각의 잔상으로 지워낼 수 있습니다.
그냥 집 작다고 지랄 말라는 건데, 왜 '더불어 사는 삶'이 튀어나옵니까
이 친구도 같은 생각으로 지웁니다.
즉, ①, ②, ③을 판단할 때, 똑같은 느낌으로 지우는 거죠.
여기선 '왜 자연으로부터 위로가 쳐 나와' 이런 식으로 지우는 겁니다.
그나마 이 친구는 주제에 걸맞는 듯 합니다. 주제라 해봤자 화자의 생각이겠죠.
이게 초반부에 나와서 확실히 잡고 넘어가긴 했습니다.
자 여기서 중요합니다.
선택의 순간이죠.
일반적인 경우 저는 이럴 때 (가) 부분에 눈을 보내고, (가)로 가서 그 부분을 봅니다.
아까 22번 풀었던 것처럼요.
(여기선 (나)파트 맞는 거 확인 하자마자 (가)부분을 확인했죠)
그런데 여기선 그러지 않을 겁니다.
왜냐?
체급이 다릅니다.
아 물론 시 다 읽고 문제 다 푼 상황에서 돌아보면 4번 선지의 (가) 부분이 미친듯이 쉽죠.
다만 현실적으로 시험장에서 어떻게 그걸 판단합니까.
시 해석을 묻는 선지가 쉬운지 어려운지는 직접 시를 읽어 봐야 아는거죠.
안 읽고 런친 상황에는 그냥 도망치는게 답입니다.
이런 마음가짐으로 5번을 본다면 쉽게 지워집니다.
이것도 아예 개소리에요
제가 읽은 부분 안에선 집 좆만한걸로 찡얼대지 말라는 소리가 나오지 순응하는 삶 얘기는 없습니다.
마치며
좀 길었습니다. 지난 번 칼럼에서 얘기한 두 가지( <보기>끌어읽기, 읽으면서 풀기) 기술을 중점으로 써봤습니다.
중요 포인트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가)~(다) 복합 지문 중에서, 정 답 없어 보이면 런치고 최대한 다른 걸로 해결하자.
[칼럼에서 (가) 유기해버린 것]
2. 선지 판단에 있어서 에너지 소모를 적게 하려고 노력하자. 본인이 조금이라도 아는 부분을 후벼파서 답을 찍자.
[22번 문제의 4번 선지 판단, 26번 4번 선지 판단 과정]
3.충분히 해결할 수 있을 경우엔 피지컬로 뚜드려 팬다. 그게 아닐 경우를 위해 발췌독을 연습하는 것.
[만약 (다) 지문을 피지컬로 조질 수 있으면, (다)를 쭉 읽고 푸는 것이 좋음]
그럼 이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모 확통 80점인데 수능 전까지 어떤거 해야 할까요 2
일단 22 23 24 25 평가원 한번씩 싹 하고 수능완성 수능특강 하고 킬링캠프...
-
사문 질문 5
4번이 틀렸다는데 질문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이용하여 언어 추론 능력을 파악한게...
-
사실 공익은 아니고 2급임 사실 2급도 아님 1급임 사실 아직 신검도 안 받음
-
유튜브에 다른사람이 채널로 1,2회 올라온 것 말곤 없네요 류 동영상 해설 꼭...
-
안받아드리네요. 다수의 학생이 5분 지연되었다는것을 이이제기를 했는데… 답변도...
-
춥다고 하는 애들있다고 히터를 키는게 맞음..?
-
지구 김진영T 1
3년전 3등급 끝자락 맞았던 씹허수가 들어도 괜찮나요? 22년에는 훈식이형 들었어요...
-
1교시 국어 망한거같아서 백점이 간절한데 29문제 다 풀고 수능시험장에서...
-
슬슬 쫄리네 4
작년엔 진짜 공부도 별로 안 했고 ㅋㅋ 망해봐 재수/반수 하면 그만이야~ 이...
-
방학 땐 10시간씩은 했는데 개학하고나서는 학교 자습 분위기 똥망이라 나까지...
-
241122와 같은 실수를 25수능에서도 했는데... 2
251130 18×18-8 = 324-8=316이 답인데 18×18=364라...
-
돈 없어서 가성비로 이거 살려는데 ㄱㅊ나요..
-
k양수 뭐지
-
실모랑 병행할 생각인데 이해원 설맞이 시즌1 드릴5,6 드릴드2 정도 풀었습니다...
-
역시 실모는 비싸구나...
-
고려대 과탐 가산3%는 내년까지 변함이 없는걸로 알고있는데 내년 27수능 본후에...
-
친구가 수학 안풀어서 기부해줬는데
-
정부에서 나서서 모든 교재를 통합한 새로운 교재를 만들어서 학생들에게 다 그걸로만...
-
뭐 있나요?? 급함ㅁ니다
-
2학기땐 물리 1등급 받자는 마음으로 전과목 통틀어 물리를 가장 열심히했고 문제집을...
이번에도제개추를피해가진못하셨네요
나이 이슈로 인한 반속차이 미치겠네 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