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칼럼) 식보다 그래프? (25092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69807
안녕하세요!
오늘 다뤄볼 문제는 25학년도 9월 21번입니다.
당시 이 문제 때문에 말이 많았던 게 기억나네요.
이 문제는 수험생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습니다.
같이 살펴볼까요?
들어가기에 앞서, 문제를 처음 보는 분이라면,
먼저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1. 문제 읽기
문제를 읽을 때는 목표와 할수있는것에 대해 생각해야 합니다.
문제에서 삼차함수 f(x)를 줬습니다.
최고차항 계수도 1이라고 줬네요.
밑에는 지금으로썬 알 수 없는 부등식이 나와 있습니다.
이 부등식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구하는 것은 도함수의 함수값 f'(3)입니다.
f(x)의 함수식을 구해서 미분하는 방법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도함수를 구할 수 있을 수도 있겠네요.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은 정체불명의 부등식밖에 없습니다.
이래저래 저 부등식으로 쇼부를 봐야겠네요.
정리하자면,
1) 목표: 도함수 구하기
2) 할수있는것: 부등식 해석하기
2. 처음 들었던 생각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부등식을 해석해야 합니다.
저는 처음에 2가지 생각이 들었어요.
부등식의 등호가 언제 성립하는지 관찰하고,
가운데 가 기울기인가? 라는 의심이죠.
일단 부등식의 등호가 언제 성립하는지 볼게요.
왼쪽 과 오른쪽
가 같아질 때를 보면,
k=-1 또는 k=-2일 때네요. k가 정수라는 조건에도 부합합니다.
k=-1을 대입하면 ,
k=-2를 대입하면 가 됩니다.
3. 기울기??
가 기울기를 뜻하는 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f(x)가 위 그림처럼 생겼다고 가정합시다.
위 그림처럼 두 점을 잡고 기울기를 구하면
가 나오죠?
근데 기울기를 구하려 했더니 난감합니다.
삼차함수 f(x)가 개형이 어떤지,
도함수 부호가 어떤지 등등 조건이 없네요.
음...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생각보다 간단한 풀이
사실 이 문제는 생각보다 간단히 풀립니다.
로 식을 잡고요,
을 대입해서 계산하면 c=-11,
을 계산하면 b=5/2가 나옵니다.
간단히 대입해서 계산만 하면 미정계수를 구할 수 있어요.
이므로
도함수를 구하면 이네요.
이제 계산만 하면 됩니다.
5. 시사하는 점
풀이 자체는 간단합니다. 이미 여러 강사분들이 풀어 주셨죠.
다만 이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를 기울기로 보는 게
이 문제에 한해서는 비효율적이라는 점입니다.
사실 수능판에 오래 있는 사람이라면,
를 보고 기울기라고 해석했을 거에요.
기울기가 주어졌으니 그래프를 그리고 싶은데,
그래프를 그리기에는 단서가 너무 없고...
그래서 이 문제가 중요합니다.
숨어있는 아이디어를 그래프로 찾아낼 수도 있지만,
때로는 그냥 계산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경우가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함수 문제를 풀 때 그래프 위주로 접근합니다.
저도 대부분의 함수를 처음 보면,
'그래프를 그려볼까?' 라는 생각을 해요.
하지만 그렇다고 그래프에만 집중하면 안 됩니다.
6. 그래프 vs 식, 뭘 골라야 할까?
대부분의 함수 문제는 그래프가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래프 풀이를 좋아해서,
많은 학생들에게 그래프를 우선해서 생각하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래프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것과
오직 그래프만 생각하는 것은 다릅니다.
분명 계산으로만 풀 수 있는 문제도 많기 떄문이죠.
그래서 저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함수를 대할 때는 그래프가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2. 하지만 그래프를 그리기 난감하거나,
그래프 그리고 나서 뭘 해야 할 지 모를 때는
함수식을 가지고 계산해야 하나? 라는 생각을 해 보세요.
이렇게 생각한다면 놓친 부분을 캐치할 수 있을 겁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성심껏 답변드릴게요!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댓글 부탁드립니다 :)
수학 칼럼)
실수를 줄이는 현실적 방법 https://orbi.kr/00072183669
계산실수가 많다면 버려야 할 습관 https://orbi.kr/00072173494
진도가 늦어서 불안할 때 https://orbi.kr/00072313784
체계적으로 문제 읽기 1 https://orbi.kr/00072237485
체계적으로 문제 읽기 2 https://orbi.kr/00072300008
극한상쇄 (231114) https://orbi.kr/0007237199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웅
-
민머리가 된 느낌이야
-
90점 (빈칸3틀)
-
아님
-
안녕하세요 지방자사고에서 수시(학종)으로 인서울공대를 합격해서 다니다가 올해 1년...
-
3450대 애국심도 있겠지만 진짜 스포츠선수 하나가 대한민국 전 국민을 자극하는구나
-
작수기준 화확생사 44333 뭐 이정도 받으면 지방 교대 뚤리는거 같은데 저...
-
. . . 2
. . .
-
심-멘이 교재 배송해 줌 이벤트 곧 종료!!! 4월 한 달 무료였는데...
-
1번이 왜 답인지 모르겠어요. 저는 5번이 여자가라고 했다는 이유만으로 여성 전체의...
-
국어핑쨔앙~ 9
하잇!! 나니가스키이~♡ 쵸코민트 요리모 아 나 타♡
-
나만 어려어? 3점짜리도 막힘 ㅠㅠㅠㅠㅠㅠ첨하는거긴한데 그래도 ㅠㅠ
-
맨유vs토트넘 5
누가 우승할 것 같음?
-
수학 미적 100맞으려면 강기원이 딥인가요? N제 여러권 사서 열심히 풀어도 강기원...
-
이거 보고 있니?
-
난 아무것도 안했는데.. 우리집 생일도 아무도 안챙겨서 아무 기념일도 없는데 뭔가 다들 하는거같네
-
내스타일은 아니라 사귀진 않겠지만 갸이쁜건 부정할수없네
-
에린 에린 에린 에린
-
너무 쉬워서 독해력이 쓸모없음 문학은 선지가 픽미픽미 하는 수준이고 독서도 경제랑...
-
내가 앞자리 9인거 봐서는 물 맞다 (사실 15번 찍맞했음: 보기두개랑 지문형...
-
"케인야이!" 2
"케인야이, 어서 트위치로 돌아가자이. 느그 타지리랑 성근이가 얼매나 기다리겄냐아....
-
ㅂ 원래 있는 단어란건 알지만 타이밍이 ㅋㅋㅋ
-
뀨뀨 21
뀨우
-
먹잘알님들골라주세요
-
어떻게 풀지 감도 안잡히네 이정돈 쉽게 풀어야 설대 가는데 <<< 이생각 많이 하게...
-
안녕하세요 6
포만한 있다가 처음 가입합니다 ㅎㅎ 잣밥 허수리 많이 배워야 합니다
-
큐앤에이 게시판엔 열심히 촬영중이라고하는데 수상할정도로 업로드 되고 있지 않는 …...
-
리트 질문 0
언어이해가 수능이랑 그나마 비슷한거?
-
총평) 교육청답게 특이한 문제는 없었다. 그나마 15번? 1) 교육청답게, 다 안...
-
식사 맛있게 하십쇼 23
다들 맛점하쇼
-
마지막기혜일탠데 웃응하고 은태 깔끔하개 하면 좇을거갗음
-
1등급이 4퍼니까 4/100=1/25 25번 치면 1등급 한번은 받을 수 있음..
-
그니까 대충1퍼센트 확률로 찍맞 가능하다는거고 그말은 대충1퍼센트확률로 만점도...
-
1달정도 공부해봄. 1. 쌍사표본이 국영수를 못하는건 맞음. 근데 쌍사는 개잘함ㅋㅋ...
-
이 영화 개봉할 때는 좋아하는 사람이랑 함께 할 수 있으면 좋겠다
-
50분정도 잡고 푸는건가
-
현역인데 뭔가 1
14번까지 1트만에 안풀리는거있으면 재수 확정같아서 멘탈나감 그때부터 잡생각들고...
-
ㅈㄱㄴ
-
수능 스터디 모집합니다. 카카오톡 단톡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매일 기상 인증,...
-
아 5모 망해서 너무 기분이 안좋다
-
기하부심 땜에 기하문제 부터 풀었는데 공통풀 때 머리가 안 돌아가네 30에서 뇌 다...
-
ㅈㄱㄴ
-
근데 그러면 안 늘어서 하긴 해야 하는데 아아아 가형 기출 그만 줘라 김범준 친구가...
-
오르비 오지마라 2
넵
-
언어와 매체 97 (비문학 -1) 미적분 88 (공통 -1 미적분 -2) 영어 95...
-
ㅇㅇ..
-
1페 2분 2페 5분 3페 7분 4페 10분 어디서 줄여야함? 고트는 15분컷햇을뜻...
-
체력이 딸려서 더 못나아감... 중반부까진 풀이 비슷했는데 아 근데 애초에 세...
-
노추 2
캬캬
이 문제도 기울기로 푸는게 빠르긴 한데
ebsi 해설도 평균변화율도 풀더라고요.
정확하진 않지만 김범준 선생님도 비슷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다만 대부분의 수험생이 시험장에서 떠올릴 수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발상의 난이도를 놓고 보면 식으로 푸는게 쉽고 빠르다는 게 제 의견입니다 :)
https://orbi.kr/00072263371
이분 풀이는 어떻게 보시나요
+ebsi 해설에는 본문처럼 푸는 방식이랑 적분을 이용한 풀이밖에 없던데요?
6번째 줄 글자가 해독이 잘 안되는데 ㅋㅋㅋ
미지수 a, b에 관한 식을 작성하신 것 같네요.
평균변화율-순간변화율 관계를 잘 쓰신 것 같아요.
다만 이차함수 g(x)의 최고차항이 나왔고,
두 점 (-1, -10), (-2, -12)를 알고 있으므로
그냥 대입하는 게 깔끔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어요.
https://www.ebsi.co.kr/ebs/lms/player/retrieveLmsPlayerHtml5Simple.ebs?sbjtapplyId=&medUrl=https://wdown.ebsi.co.kr/M41M2401/S20240000528/S20240000528_1M4_100030058241.mp4&sbjtId=S20240000528&lessonId=LS100030058241&lecGbn=V1M4&strStartTm=2800&pType=3
해설지 말고 해설강의입니다.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거에요 :)
f(x)를 구하는 모든 풀이 중에서는 단순 대입이 가장 빠른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