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어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686878
오늘이 '김치의 날'이던데 '김치'의 어원을 알아보자
현대 국어 ‘김치'의 옛말은 ‘딤ㅊㆎ’인데 이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정설은 한자어 ‘침채(沈菜)’에서 왔다는 것으로 沈菜가 일본이나 중국에서 보이지 않는 한자 조어 방식이라는 점에 비추어 보면 독자적으로 만든 향찰식 표기일 것이라 추측된다. 沈菜을 직역하는 ‘담근 채소'라는 뜻이다.
‘딤'은 적어도 16세기 이전부터 쓰였을 것이며 16세기 이후에 ‘딤'과 함께 ‘팀ㅊㆎ’의 표기도 보이는데 ‘딤>팀' 또는 '팀>딤'의 변화를 겪은 것인지 ‘딤'과 ‘팀'이 따로 존재하였는지는 확실치 않다. 다만 ‘딤'을 ‘沈’ 상고음을 반영한 표기로, ‘팀'을 ‘沈’의 근대음을 반영한 표기로 보는 설이 힘을 얻고 있다. 상고음을 재구하면 沈은 유성 치두음 [d]인데 원과 명을 거치며 음가가 변하였다. 신증유합(16C)이라는 책에서 ‘沈’이 ‘ㄷㆍㅁ길 팀'으로 음훈이 달려 있기도 하다. ‘딤>팀'이나 ‘팀>딤'의 변화를 설명하기에는 음운적으로 문제가 있다. ‘ㅌ'이 약화되어 ‘ㄷ'이 되었다라고 하기에는 한글 자료 이전의 沈은 ‘딤'으로 추정되고 ‘팀'보다 ‘딤'이 먼저 소급된다는 점이 문제이다. '딤>팀'도 문제이다. 즉 ‘딤'의 음가를 상고음 유성 치두음으로 보고 삼국시대 때 이 정도의 음가를 가진 어휘가 중세 때 '딤'으로 표기된 걸로 보는 거다.
아무튼 ‘딤ㅊㆎ’와 ‘팀ㅊㆎ’가 서로 쓰이다 근대에 ‘팀ㅊㆎ’는 서서히 줄어든다. 17세기에 보이는 ‘짐ㅊㆎ’는 구개음화에 의한 표기보다는 경상 방언의 표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디'가 ‘지'로 바뀐 구개음화는 17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일어난 것이니 이 표기에 한해서는 이표기로 보아야 한다. 18, 19세기에 보이는 ‘짐ㅊㆎ’는 ㅣ나 반모음 ㅣ 앞에서 일어나는 구개음화를 반영한 표기로 ‘딤>짐'의 변화를 겪은 것이다. 그리고 제2음절의 아래아는 ‘ㅡ'로 음가가 바뀌었기에 ‘ㆎ’는 ‘ㅢ'가 된다. 즉 18세기에는 ‘짐츼'라는 형태를 상정할 수 있고 19세기에는 ‘ㅢ'가 ‘ㅣ'로 발음되어 ‘ㅣ'로 바뀌는 경우가 흔했기에 ‘짐치'를 상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문헌에서 주로 보이는 표기는 ‘김치'인데 갑자기 ‘김치'가 독자적으로 등장했다고 보기는 어렵고 ‘짐ㅊㆎ'에서 변화한 형태로 설명해야 한다. 과도 교정 중에서 역구개음화에 속하는 현상으로 ㄷ 구개음화가 된 것을 남부 지방 방언의 특징인 ㄱ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보아 ㄱ으로 다시 바꾼 현상을 말한다. 또 다른 예로는 표준어로 정착한 ‘기와(지와<지새<디새)’와 방언형에 남아 있는 ‘지름(기름의 방언)‘과 ‘질(길의 방언)’이 있다. 제1음절의 ‘짐'의 발음을 의식한 일부 지식인층이 이걸 방언으로 착각해 ‘김'으로 바꿨고, ‘ㆎ’는 마찬가지로 ‘ㅢ>ㅣ'의 변화를 겪어 ‘김치'가 정착한 것이다.
참고로 김치의 방언인 ‘짐치', ‘짐채', ‘짐끼’ 등에서 보이듯 ‘ㅈ'은 방언형에서 살아남았고 ‘침채'라는 어휘에서 ‘팀'이 ‘침'으로 바뀌어 의미 변화를 겪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김치'는 한자어인 반면 ‘김치'를 나타내는 고유어 어휘도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 단어는 ‘디히'다. ‘장아찌'나 ‘짠지'에서 보이는 ‘지/찌'가 바로 ‘디히'에서 온 말이다. ‘디히'에서 구개음화를 겪어 ‘지히'가 되고 ㅎ이 유성음 사이에서 탈락해 ‘지이'가 되고 동음이 충돌하니 ‘지(찌)’로 변한 것이다. ‘섞박지'와 ‘장아찌' 등에서 보이듯 현대 국어에서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다른 말에 붙어 쓰인다.
즉 ‘김치'를 뜻하는 고유어 ‘디히'와 한자어 ‘沈菜’에서 전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쓰임이 거의 소멸되고 후자는 한자어와의 유사성 소멸로 인해 고유어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김치'는 ‘沈菜’라는 본 한자어의 음과는 너무나 많이 바뀌어 버려 언중이 어원을 의식하지 못해 고유어로 처리된다.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대 | 15C | 16~17C | 18C | 19C | 20C |
팀ㅊㆎ(근대음 반영) | 팀ㅊㆎ/침ㅊㆎ | 침ㅊㆎ/침채 | 침채 | ||
딤ㅊㆎ(추정/상고음 반영) | 딤ㅊㆎ | 딤ㅊㆎ | 딤ㅊㆎ/짐ㅊㆎ | 짐ㅊㆎ/김ㅊㆎ | 김츼/김치 |
디히(추정) | 디히 | 디히 | 지히 | 지이 | 지 |
참고로 중국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단순히 '부르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김치를 '파오차이'로 부르면서 '파오차이'의 유래를 설명할 때 김치도 함께 중국에서 유래된 걸로 보면 왜곡이 된다.
국어 어휘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월5일부터 나가는뎅 제가 현강이 첨이라...ㅜㅜ 자리 앞줄 잡으려면 몇시에 가야되나요??
그래서 딤채 냉장고가 있구만
이감에한번나온거네
7ㅐ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