찍으면 왜 3,4번이지??? (찍기의 과학적 근거 고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61915
수능 국어는 긴 지문을 읽고 해석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 조절을 잘못하면
문제 몇 개정도는 읽지도 못하고 찍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으로
찍고 있는지 궁금하다. 단 선지나 지문의 내용을 약간이라도 고려하지 않고 약 1 초 만에
찍는 경우를 말한다.
최근 5년간의 수능 선지별 정답 개수를 살펴보면,
2014년 A형 | 2014년 B형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10년 | 통계 | |
① | 8 | 8 | 9 | 10 | 10 | 9 | 54(18.6%) |
② | 7 | 8 | 10 | 9 | 8 | 11 | 53(18.2%) |
③ | 10 | 10 | 10 | 10 | 12 | 11 | 63(21.7%) |
④ | 11 | 8 | 11 | 10 | 12 | 9 | 61(21.0%) |
⑤ | 9 | 11 | 10 | 11 | 8 | 10 | 59(20.3%) |
* 수능 선지별 정답 개수
최고 ③과 최저 ②는 무려 10%나 차이가 난다. 흔히들 모르면 ③ 혹은 ④로 찍으라고 하는데,
그 이유를 설명해 주는 이는 없었을 것이다. 정답의 분포가 ①,②보다 ③,④,⑤ 쪽이 많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통 수험생은 선지를 ①~⑤로 차례대로 읽어 나간다. 정답을 ①, ②쪽에 만들어
놓으면 수험생이 정답을 빨리 찾기 때문에 ③,④,⑤을 볼 필요조차 없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력오답으로 정성껏 만든 ③,④,⑤가 수험생이 보지도 않고 지나간다면
출제자는 허탈해 할 것이다. 그래서 출제자는 의식적으로 ③,④,⑤쪽으로 정답을 설정해
놓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점이 높은 문제일수록 너무 빨리 문제 푸는 것을 막으려는
출제자의 심리 때문에 더욱 ③,④,⑤에 정답의 분포가 높다.
둘째, 보통 선지는 ①에서 ⑤로 갈수록 점점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말이 많은 사람일수록
말실수가 많은 것처럼 선지도 그 길이기 길면 적절하지 못한 것을 찾는 부정 발문 형에서
정답이 될 여지가 많기 때문에 정답이 ③,④,⑤쪽에 분포가 높다.이에 따라 수험생은
선지를 ①부터 ⑤까지 차례로 읽는 것보다 ③④⑤를 먼저 읽는 것이 정답을 좀더
빨리 찾는 데 효율적이다. 사소하고 별거 아닌듯한 것 같지만 1초라도 아껴서야 하는
수능에서 이는 매우 중요하다.
Rule 7의 칼럼 BOX
*유료 파일, 무료 베포
http://orbi.kr/0004916145
1. Rule 칼럼
10월 학평 분석: http://orbi.kr/0004930790
9평의 <보기>제시형 문제 풀이법: http://orbi.kr/00048684572015
3학년 9월 모평 분석: http://orbi.kr/0004843897
비문학 '한 문제' 맞고 시작하기 (추천수 72): http://orbi.kr/0004798711
간파된 '매력 오답'의 원리 (추천수 55): http://orbi.kr/0004781747
'내신~수능'까지 써먹을 팁 (추천수 76): http://orbi.kr/0004770519
'전개방식'문제 풀이법: http://orbi.kr/0004762187
2015 사관학교 '일탈, 대립'선지 분석(추천수 49): http://orbi.kr/0004751063
출제자는'대립'을 좋아해!!(2014 수능 '대립' 분석): http://orbi.kr/0004742661
'보기' 제시형 문제의 비밀!!!: http://orbi.kr/0004737284
국어 선지들의'일탈' (2014수능, 6월모평, 7월학평 분석): http://orbi.kr/0004729424
시험의 우선순위: http://orbi.kr/0004714878
7월 학평, 미안해 지문없이 그냥 풀었어!!!: http://orbi.kr/0004700746
[국어 시험의 법칙] 1탄:‘일탈 선지’의 법칙 (기본편) : http://orbi.kr/0004615143
[국어 시험의 법칙] 2탄:‘대립 선지’의 법칙 (기본편): http://orbi.kr/0004647628
[국어 시험의 법칙] 3탄:‘공통 선지’의 법칙 (기본편): http://orbi.kr/0004662077
‘대립 선지’의 법칙 적용 사례 (보인고등학교 기말 편): http://orbi.kr/0004668652
2. 희귀 칼럼
정답이 눈에 보여!!!: http://orbi.kr/0004692230
시험의 허점 VS 출제자의 실수: http://orbi.kr/0004685033
출제자의 실수 VS 출제자의 의도: http://orbi.kr/0004679253
다른 시험, 같은 지문!!!: http://orbi.kr/0004631832
다른 문제, 같은 정답!!!: http://orbi.kr/0004905218
3. 전략 칼럼
4,800초의 시간 컨트롤: http://orbi.kr/000463996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담뱃값 인상 6
다른거 펴서 상관없우면 ㄱㅊ
-
이제 아이 두 명 낳고 키워야지
-
수능 준비하실때 평소 카페인관리 어떻게 하셨나요,,, 현역이인데 너무 졸려서 카페인...
-
수학인데 학습지 수준이 교과서 기본문제 수준임 제일 어려운거가 학평 준킬러보다 살짝...
-
112 타고 그냥~
-
20살 N수생, 뒤늦게 정시 시작했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4
안녕하세요. 올해 자퇴하고 이제서야 제대로 정시를 준비하게 된 20살입니다. 사정상...
-
유리한데이 국어 0
유리쌤한테 과외받고 싶다
-
저는 96년생이에요 24
그리고 저는 사실 의대생이 아니에요
-
97이면 4
현역으로 갔으면 16학번이라는 건데 06들 그때 초4잖아 ㅅㅂ
-
긴장해라 “시대인재”
-
1년 더하면 잘할수 잇을 거 같은 생각이
-
자꾸 옆에서 아이패드로 롤 유튜브봄 ㅈㄴ 신경쓰임 그 사람의 청춘이 아깝다는 생각을 했어
-
아까 자각몽 꿨음 26
꿈인 걸 알았는데 내 마음대로 움직여지고 안 깨더라
-
콧물 계속 나오네 18
민폐여서 잇올 나왔어
-
바지를 안 입어서 그런가
-
[신춘문예] N수생들을 위한 시 (단, N ≥ 2) 9
벚나무 꽃잎 세상에 노래해도 귓가에 맴도는 겨울은 이명 만발하는 장미꽃 장맛비에 푹...
-
열에 아홉은 순하게 생겼다고 하는데 가끔가다 한명이 무섭게 생겼다고함 (무섭게...
-
읭??
-
생윤사문 걍 너무재밌네 진작에할걸
-
저메추받음 4
부탁함다들
-
검을테면 철저히 검어라 단 한개의 깃털도 남기지 말고
-
아니근데너무졸림 3
어캄
-
1학기때 3.0은 나와야 되는데 그래야 2학기때 수능 공부하면서 1점대 맞고 딱 2...
-
쪽지 주세요 ! 현우진 뉴런 김범준 대성마이맥 메가스터디 메가패스 강민철
-
잘잤다 6
나 집까지 어케 온거지 기억도 안나네
-
진짜 뭐지
-
킬링캠프 2
현우진 킬링캠프 3모기준으로 몇점정도부터 풀면 도움될까요?
-
시작 전에 제 개인적인 생각임을 미리 밝힙니다. 사전을 찾아봐도, 국립국어원 답변을...
-
2일 연속 떡볶이 먹어서 그런가 걍 웬만하면 당분간 굶어야겠음
-
맞팔구 1
한명이 팔취함 80은 유지해야됨
-
일단 병인양요랑 유럽짱깨 있는데 유럽짱깨는 걍 인터넷발 억지여론이고 잘 모르겠네...
-
파키케팔로사우르스임
-
식곤증 안오게 샐러드 마려운데 걍 백양누리갈지 고민되내
-
각잡고반수하기 0
슈웃
-
프랑스도 한국 안좋아하겠지만..... 뉴스 댓글보니까 부정적으로 보네 하긴...
-
ㅇㅂㄱ 0
기상
-
기파급 영어 1
서점에 파나요? 상하 둘다 사야하나요?
-
누굴 뽑아야하나 1
이미 글러쳐먹었지만 출산율 문제 해소 할만한 정책 구상 가능한 인간 뽑고 싶은데
-
본인의 눈치로는 쭉 보면 3사 다 쓰고있는거같은데 직원한테만 주나
-
퀄은 어떤가요???
-
평가원 #~#
-
본 칼럼은 물개물개님의 칼럼 대회에 제출한 칼럼의 수정본입니다. 급하게 썼던지라...
-
과외, 헬스, 데이트 무한반복 캬캬
-
근데 작년에 수능 이틀전에 감기걸렸을때 빨리나으려고 증상보이자마자 약먹고 하루종일...
-
저뿐인가요? 차라리 모고 돌릴때가 제일 집중 잘 되는거 같네요 ㅜㅜ
-
이번에 수능까지 염두에 두고 수학 과외 구하려는데 팁이나 에티켓 있을까요? 받아보신...
-
아니 음향 측심법 할때 당연히 왕복 거리니까 깊이는 속력 x 시간 x 1/2이겠지
-
지문에 나래이션: "A는 너무 힘든 상태에 있다." 라고 써있으면 나래이션을 통해...
-
좋아보여서 샀어요 인강 듣기도 시간 아까워서 틈틈히 읽어보기로 올해는 이거다
여러분의 찍기 노하우도 공개해 주세요^^
짝수형이면 어떻게 되는거에요??
둘다 아닌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