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수능 언어영역 비트겐슈타인 3점짜리 문제좀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41427
전 이거 도무지 이해가 안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문 인강 추천 1
윤성훈 이지영 임정환 아예 노베이고 누가 제일 좋을까요?..
-
말이안되네 ㅋㅋㅋ
-
경국지색의 미녀가 양 나라의 수장을 꼬셔서 화해시키는 수밖에.. .....
-
웃기고 있네 ㅋㅋㅋ 다른 나라들보다 변호사수 적은거 이번 기회에 공론화될듯
-
옯나잇 8
내일 봐요!!
-
이번 3모 2등급 받았긴한데 확통 5개를 찍었을 정도로 개념이 안되어있습니다....
-
으흐흐 맛있겠다
-
해보고싶네
-
신검통지서가 5
꺄아아아아악
-
나 그대에게 방구뀔수 있으면 내 몸 부숴진데도 방구
-
N수 공허할때 7
어떻게 극복?하시나요... 뭔가 계속 어디가 비어있는거 같은데 ㅠㅠ 공부를 해야되나..
-
안했으면일찍자고일어나서내일은열심히해봐요
-
장화홍련 ost 돌이킬 수 없는 걸음..
-
아아.. 그의 문장에 마음이 가득차는구나..
-
설 공대빼고 다 가능한가요??
-
하늘을 날수 없다면 방귀를 뀔 수 없다.
-
설대 지망 현역인데요 그냥 평반고 정도 내신 2.4 정도면 정시 지균을 받았을 때...
-
20대초반에. 이제와 생각해보니까 공부 안 하길 참 잘했네.
-
내가 ㅈ밥이네 분명 다맞을줄 알았는데 수특 절반 틀렸네 뭐지?
-
어쩌다 보니 6모는 집에서 보게 되었는데 이러면 수능때 불리하려나 사실 집에서 봤던...
-
Y=x 대칭->그래프 압축 맛있었습니다
-
휴직맨 키아누리브스 그리고 나
-
난 오늘 이투스쳤는데 ㅠ
-
정신줄 꽉 잡아야겠다
-
난 여배우상임 0
실제로 거의 남자에 가까움
-
맞팔할사람 2
ㅇㅇ
-
왜 나 따라함
-
영향력 ㄷㄷ 홍전전 아웃풋 중에 압도적고트임
-
이걸 알아내기 위해 어제 새벽4시에 자고 가봤는데 딱 하루 5시간 수면이...
-
문학 커리 2
작수 기준 문학 25분에 1개 틀림 생글생감하고 훈련도감 중에 어떤 게 좋을까?...
-
ㅅㅂ 난 더 이상 살 의지가 없어 나는 커서 거지가 될거야 제발생각을해제발...
-
진짜대충 예전에 만들어놓은 거에서 꽤 비슷한 문제도 첨부
-
첫 정답자 3000덕 드리겠습니다! 실제 시험에 나올 가능성은 없습니다..!
-
친구만들고십다 0
같은관에 친구가 없어서 자율외출도 못하겠음
-
한 4강짜리 한 챕터에 16문제 있다고치면 수강전에 문제풀고 거의 다 풀수있을때까지...
-
일찍 주무세요
-
90년대 00년대 무협이 요즘 거보다 무거워서 좋긴 한데 가끔은 가벼운 것도 봐줘야 밸런스가 맞음
-
여기서 한번도 못본거같은데
-
학원 수업과 인강 포함. 국어 김승리T 독서 류재민T (Goat) 문학 한승T 공통...
-
글이 수출되어버림 거기 말투가 ㄹㅇ평소말투라 찐친들은 글 보자마자 바로 ㅌㅈㅇㄹ할...
-
자야지 4
진짜임
-
7시쯤에 일어나고 5분정도 깨있다가 자는게 반복이라 일어나자마자 20분 러닝 뛰고 오려는데
-
이또한 지나가리 1
모든게 끝나고 성불하는 날이 올것이니
-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내일 더프 잘?치고올게요!
-
이런이런
-
고2 내신 확통 후 고3 겨울방학부터 이제껏 한완수 확통 해왔는데 한완수가...
-
ㅅㅂ 자고싶다 0
ㅜ
-
특히 노래 잘 부르는 여자들 ㄹㅇㄹㅇ
-
알고리즘 어케함뇨
지문에 따르면 , 의미 있는 명제가 되기 위해서는 그 명제는 경험적으로 증명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직접 오감으로 경험 할 수 없는 것은 의미 없는 명제가 되는 것이죠.
근데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의 명료화를 목적으로 책을 썼는데, 그 책은 경험적으로 증명 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논하는게 아니라 무엇이 " 의미있는 명제이고 의미없는 명제인지 " 에 대해서 밝히고 있죠.
다시 말해서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했는데, 그 언어의 내용은 경험적으로 증명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의미없는 명제가 되는것이죠.
따라서 "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 " 라는 비트겐슈타인 본인의 생각에 의하면 자신의 책은 읽은 뒤에 버리는 것이 맞는 것이죠.
제가 작년에 수능장에서 이거풀때 사고흐름이..
"이 책의 내용은 의미 있는 언어의 한계를 넘어선 것이기 때문이다."
-> 지문에서 '의미있는 언어'의 정의 = 경험적 세계에 대해 언급한 것 즉, 경험가능한 것
->의미 있는 언어의 한계를 넘어섰으면 경험가능한 것이 아니라는뜻, 즉, '논리 철학'에 대해 쓴거니까 경험 가능한 것이 아니란 거
->선지들을 대충 한번 훑어봄->4번이 내가 생각해둔 선지랑 비슷해 보임->자세히 봄->답이넹ㅋ
이렇게 풀었어요
문제를 접하실 때 한 가지 오해하시는게 있는 듯 한데요.
보통 문제들에서는 보기의 입장을 비판하라거나, 보기의 입장을 바탕으로 지문의 내용을 비판하라거나 라는 요구 사항이 나오죠.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에요.
보기 문제를 풀 때.
첫째 . 지문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한다.
둘째. 보기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한다.
셋째. 문제에서 요구하는 데로 푼다.
를 계속 마음에 새기셔야 되요.
즉 , 보기 문제라고 해서 항상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에서 요구하는 사항대로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것이죠.
제가 보기에는 의 말과 같이 지문의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은 자기파괴적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은 명료화의 결과로 말할 수 있는 것과 말할 수 없는 것으로 명제를 구분하였습니다. 그런데 에서 명확하게 지적한 것 같이 그림이론은 실재하는 대상이나 사태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형이상학적인 주장을 하기 때문에 '의미 없는 명제'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말할 수 없는 것', 즉 철학적 논란 등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첫 단락과 마지막 단락에서 분명히 말하고 있어요.
'논리 철학 논고'는 그림 이론을 주장한다고 2번째 단락에서 말하고 있어요. 그리고 그 단락에서 다시 '그림 이론'을 '언어가 세계에 대한 그림'이라고 정의를 하고 2번째와 3번째 단락에서 그림 이론에 대해서 상술하고 있구요. 그림 이론은 '언어와 세계에 대한 논리적 관계'를 다루는 이론이에요. 그런데 '언어와 세계에 대한 논리적 관계'는 경험 가능한 대상을 가리키지 않으므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그렇기 때문에 4번이 정답이에요.
그리고 선지의 구성으로 볼 때 이 문제는 '그림 이론'의 주제를 알면 어떻게는 풀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지문의 전체적 주제까지도 알아야 하는 것 같구요. 발문에서 정확하게 무엇을 묻는지 모르겠다고 하셨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지문의 전체적 주제와 핵심 정보인 '그림 이론'의 이해를 종합하여 묻고 있는 것으로 봅니다.
글의 흐름을 따라서 읽는게 아니라
한문장 한문장 자체만을 읽으시는 것 같습니다. 수능언어는 주제와 관련된 문장을 근거로 하여 답이 도출되는 경우가 많으니 글을 읽으면서 주제가 무엇인지 전체적인 맥락속에서 유기적으로 파악하세요
제가 옛날에 틀렸을때 겁이 났던 관념이 아직도 남아서 또 겁나서 판단이 흐려졌나봐요. 이 글쓰고 난 담에 깨달았지만...(항상 그렇게 훈련했는데도 후회는 뒤늦은 법이네요.)
BE1st님 휴이드님하고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해설지도 보니깐 이렇게 해설되어 있네요.)
그리고 꽃게님,가투소님 말씀도 명심하겠습니다. (그런데 꽃게님 저도 그렇게 독해하고 싶은데 그게 마음대로 안될때도 있어서...노력은 해볼게요.)
특히 가투소님 두번째 댓글 평소에도 염두해 뒀던건데 겁나니깐 실전에서 또 잊어버렸네요....절치부심해서 열심히 하겠습니다...
답변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저정도 수준 문제나오면 앞으로 꼭 맞출거란 자신은 없지만...최선을 다해볼께요. 특히 가투소님이 적어주신 세가지 마음속에 되새길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