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가능하다는걸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하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69988
수학 A형 미통기 2014 예비평가 21번을 풀었는데요. (그 계단형 도형있는거)
제가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그냥 집념과 의지로 풀어서 구멍이 많다는걸 느꼈어요.
특히 미분가능하다는 소리가 이해가 잘 안가서 한참을 고민했는데요.
미분가능하다는게 무슨 소리인지 알고 싶어요.
일단 제 생각을 말하자면
미분가능하다는건 연속과 극한보다 강하고 (도형으로 따지면 정사각형이 평행사변형이나 직사각형보다 파워가 쌘것처럼) 곡선이 둥근형태 (절댓값 x같은 직선형 도형은 안되고) 일 경우
미분가능하다고 알고 있어요. 이걸 수식으로 나타내면 평균변화율에다가 리밋을 취하고...어쩌구 해서 그 값을 구하는거구요.
그런데 제가 해설을 보다가 미분가능한걸 확인할때 도함수를 구하고 x=a에서 미분가능한걸 확인하기 위해 x=a에서의 극한을 구해 미분가능하다는걸 확인하는걸 봤어요.
이게 왜 그런지 이유가 알고 싶네요. 구간마다 함수가 다르다면 저렇게 도함수의 극한이 존재해야만 미분가능한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저 결국 0
내일 병원가보기로했어요 조언 감사합니다 단순한 불안증세 스트레스가 아닐수도 있어서...
-
리얼충들도 적응하기 쉽게 공지에 오르비 가이드 해서 박아뒀으면 문제 절반은 줄었을듯
-
열품타 16시간 언저리부터는 개주작인거같 ㅔ네요…밥먹는시간 포함 2시간 제외하고...
-
오르비랑 섹@스 할꺼얌ㅇ
-
난 365일 쿨도는날 기다렸다가 가입했는데
-
가족번호? 근데 이건 옯밍아웃을 해야하잖음..
-
앵간하면 봐줘
-
내일 후회할까봐 참긴 했어
-
100만원주고 오르비 닉넴 까라하면 깔거임?? 일단 난 깔거야
-
생윤 이지영 출제자의눈 32~36강 (강의O)...
-
왜케 평소랑 다른 위화감이 들지
-
진지하게 나도 가족번호 다 쓰고도 모자랐을 것 같음
-
태린이 잘게 0
우웅 다들 잘 자
-
44000명 정도 되려나 ㅇㅇ
-
수정. 5
착상.
-
뭐지
-
응 오공완이야 0
흠
-
내가 민폐인 점 1
존나 아무도 관심 없어하는 국어학 글만 씀 특히 중세국어
-
작년 2월인가 갑자기 하기 싫어져서 탈릅했다가 후회함
-
ㅇㅈ 19
아 너무 존못이다
-
정치메타 과몰입한거 안해야 하는데 참 쉽지 않네요
-
ㅇㅂㄱ 6
잘잤다
-
제일 싫음
-
무슨 일이고
-
아 고민이다 0
석사까지만 하고 결혼해서 한국에서 살지 결혼해서 박사하러 미국 같이 갈지
-
[기괴주의] 8
진짜 기괴합니다 조심하세요
-
비갤임 나름 인터넷 많이 돌아다니고 커뮤 눈팅도 많이 해보고 그랬는데 커뮤를...
-
활동량이 하루에 댓글 몇개 글 한두개 수준으로 줄음 걍 재미가 없어졌어
-
공통 둘 다 345 다 풀었는데 올해 다시 풀어야 할까요? 아님 다른 엔제 더...
-
인스타랑 유튜브는 지웠지만 오르비는 못 참지
-
사실 구라임… 6
내가 여자친구가 생길리가 없잖아
-
맘에 드는 점 1
노래 취향이 같음
-
적국한테는 동맹국이랑 비슷하게 관세먹이네 동맹국이랑 적대국 대우가 똑같은 미친새끼
-
말씀해주세요 고치겠습니다 학교 싫다고 찡찡대는 글이나 정시 내신 반영 폐지하자는 글...
-
국어에서 수학의 박승동t같은 느낌의 선생님은 어떤분이실까요??? 11
아 이분은 국어를 정말 잘하시는구나 하는 분이요
-
말해줘잉
-
보충도식 활용 5
2016 9모 b형 헴펠에 따르면 설명은 3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시킨다. 라고 하는...
-
보통 오르비를 칼럼, 질문, 공부에 관한 내 생각 공유 이 세가지 용도로만 쓰는거...
-
8대 전문직 전부가 법률이랑 매우 연관이 깊고 회계사, 세무사 빼고 나머지 시험은...
-
모의고사나 기출을 풀 때 한 번 지문을 읽고 선지 판단할 때, 지문으로 다시 안...
-
없을듯 왜냐면 호감 행동만해서 ㅎㅎ
-
3월달부터 활동하면서 제가 민폐였던 부분이 있을까요? 14
작년에 생각없이 오르비랑 디시에 글쓰면서 저로 인해 피해를 보신 분이 더 있다면...
-
눌러살꺼임
-
묘하게 궁금하네요
-
혹시 진짜 별로인 점 있으면 말해주세요,,, 갠적으로 몇부분은 별로일 수도 있다고...
-
Infp메타여
-
개빡치네 0
인스타 ㅅㅂ 가입이 안됨
-
왜냐하면 없으니까 너무 슬프다
-
근데 퇴물이라 절 아는사람도 적을듯
미분가능: 1.연속이어야하고 2.우미분계수와 좌미분계수가 같아야합니다.
물론 님이말한 둥근형태...이런말도 맞는데요, 엄밀하게 말하면 이렇습니다.
제가 지금 궁금증을 느끼는게 그 도함수를 구하고 거기서 좌극한 우극한은 서로 같다 => 미분가능하다. 이게 우미분계수 좌미분계수가 같다는 그거죠??
아...이게 그래서 명칭이 우미분계수 좌미분계수인건가...(이걸 옛날에 생각없이 외워나서;;;)
미분계수의 정의로 구해야하는게 맞는건데, 사실 저도 그냥 도함수로 구해서 합니다.
우선 연속인지 아닌지 먼저 확인->연속이면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셔서 미분계수의 좌극한(좌미분계수) 우미분계수 같은지 확인하시면 돼요
미분 정의 문제는 도함수 구하시는(프라임) 방식 위험해요
질문자님 여기에 따르시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도함수의 좌극한, 우극한" 개념과 "좌미분계수, 우미분계수"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미분가능성와 미분계수에 대한 좋은 글이 있어서 아래에 소개하겠습니다.
읽어보시고 참고하기 바랍니다.
일타삼피님의 미분계수의 정의 대해.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659249&page=2
수교과 학생님의 미분가능성에 대한 오개념 잡기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659704&page=2
코난샘님의 미분가능성에 대한 오개념 보태기~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660118&page=2
제가 읽어봤는데요. 이해가 잘 안가는데요.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도함수의 좌극한 우극한 맞는거 아닌가요? 저기서 지적한게
원함수가 미분가능하다고 해서 도함수가 연속일거라는 보장이 없다. (반례가 있니) 그러니 미분계수=/=미분계수의극한값(즉 좌미분계수=우미분계수) 이 일반적이다. 라는말씀 아닌가요?
하지만 문과에서는 대부분이 다항함수이기때문에 쓰기에 큰 문제가 없다. 이게 결론이구요.
그러니까 좌미분계수,우미분계수를 찾는다는건 "x=a에서 도함수가 연속이다.' 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좌미분계수=우미분계수 (즉 x=a에서의 도함수의 극한값) 를 구하면 이것이 미분계수와는 같다는
(극한값과 함숫값이 일치한다는) 연속의 원리가 들어간다는게 내용아닌가요?
제가 잘 못 이해한건가요?
잘못 이해하신거에요.. ㅜㅜ 예를들어 y=3(x>0), y=-3(x<=0)에서 도함수의 우극한과 좌극한은 0으로 같지만 미분계수는 발산함으로 미분가능하지 않습니다 ㅜㅜ)
그리고
질문자님이 말씀하시는 문제는 다항함수라는 조건이 있어서 그래요. 다항함수면 기본적으로 연속이고 기형적인 그래프가 없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미분이 가능하기 때문에요.
그니까 정리하면 (문과!) 문제유형이 두개있죠.
1. 단순히 함수 제시해서 미분 가능함?
->이럴 땐 정의 쓰시고
2. 다항함수 두개 있는데 미분가능함?
->두 그래프가 특정값에서 같은지,미분값이 같은지
를 확인하시면 될듯요
도함수가꼭 연속이란 보장이없어요 미분계수란 리미트를취하는 일종의 극한값일뿐.. 저는 한완수 심화특강(미분계수의 엄밀한논리?)에서 제대로 정리해둔것같네요
미분가능정의 :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같다.
(즉,식세워서 극한값을 구한다.)
그림 : 꺽이지않고 Smooth한그림
1. 식이 주어지고 미분가능을 구하라.
-> 좌측식(a)=우측식(a) & 좌측식`(a)=우측식`(a) 을 계산.
2. 그림이 주어지고 미분가능을 구하라.
-> smooth한지 본다. 주로 접선에서 찾는것이 좋다
3. 그외, 식이 주어지지않거나 식이있으나 미분가능한함수인지 알수없는경우 미분가능을 구하라.
-> 식을세운후 미분계수 정의에따라 극한값을 계산한다.
이정도로 알고있읍니다.
연속 여부와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일치해야 '미분 가능하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도함수의 연속과 원함수의 미분가능은 의미가 다릅니다.원함수가 미분가능하다 해도 도함수가 반드시 연속인 것은 아닙니다..
음;; 저는 미분불가능 할 때 도함수 연속을 생각해 본적이 없는지라 예시 한번만 들어주시면 안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