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하지 말고 잘해야 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028348
안녕하세요, 여늬여늬해입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Y의대 다니고 있고, 국어 관련 칼럼 몇 번 썼었네요. 예2는 한가해서 6평 어제 한번 펴봤습니다.
다른 과목은 사실 잘 모르겠고, 다들 국어를 왜 털리셨는지는 알 거 같다는 느낌? 근데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나올 거에요.
제목이 좀 어그로성이 있는데 그래도 저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고3만 이야기가 아니고 중학생까지 다 마찬가지입니다. 열심히도 안한 분들은 가서 공부하시고, 열심히 했는데 성적이 안 나온다는 분들. 다들 열심히 했으면 됐다고 말하잖아요. 그런 말 듣지 마세요.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는 말은 아무렇게나 우직하게만 하면 된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결과가 나쁘면 과정을 고쳐야 합니다.
평균적인 사람이 100m 달리기에 2분 걸리면 애썼다고 하지 않습니다. 뻘짓한거죠. 알고 봤더니 직선으로 안 뛰고 와리가리했다든지... 마찬가지입니다. 국어를 70점 맞는 건 뭔가 잘못한 겁니다. 근데 열심히 했대요. 어떻게 공부하는지, 어떻게 문제 푸는지 눈으로 보면 분명히 무슨 하자가 있습니다.
왜 이런 얘기를 할까요? 설마 나 잘났고 공부 못하면 바보라고? 제 입장도 생각해주세요. 저는 딱히 아쉬운 거 없는 사람입니다. 시간남으면 누워서 넷플릭스나 봐야지 인터넷에서 어그로끄는 취미 없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고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공부를 잘못하고 있는 사람들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공부를 한다고 착각하는 경우
생각 외로 흔한 경우입니다. 자기가 집중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체크해보세요. 그리고 그 시간 안에 확실히 집중 상태여야 합니다. 계속 공부 자료에 정신이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참고로 오르비에서 이런 글 읽는 시간은 공부시간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잠을 거의 안 자고 공부하는 경우 실제로는 집중시간이 0에 가까운 경우가 많습니다. 차라리 자는게 낫습니다. 제 경우에는 하루에 6시간 정도 자고, 공부하는 사이에 낮잠 좀 자고, 산책하고 수다떨고 했습니다. 고3 여름방학 때 덴마를 정주행하느라 일주일 날린 적도 있습니다. 근데 책상에 앉았을 때는 공부만 했습니다.
2)공부하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
수학 공부를 한다고 해 봅시다. 무조건 기출문제만 풀 수도 있습니다. 개념만 공부할 수도 있습니다. 공부 방법이 체계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날그날 기분 따라서 공부하지 마세요. 공부는 즐기는 게 아닙니다.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공부에 재미를 붙여야 된다는 이야기에 넘어가서 계획 없이 공부하는 건 공부 효율을 떨어뜨리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3)시험 볼 줄 모르는 경우
저는 실전에 강한 편이었습니다. 시험 전날까지도 공부가 친구들에 비해 덜 된 거 같을 때가 많았지만 결과를 열어 보면 잘 본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렇다고 제가 머리가 더 좋았던 것도 아닙니다. 머리 좋은 사람 진짜 많았습니다. 시험을 잘 보는 것과 많이 아는 것은 다릅니다. 선지들을 하나하나 판별해내는 능력, 시간관리하는 능력, 모를 때 찍는 능력도 실력입니다. 많이 아는 것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시험 점수가 나와야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공부 잘 해봅시다.
+저와 SKY 재학생 50명이 '데일리멘토'라는 스타트업을 차려 올바른 공부법에 대한 칼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매주 월/수/금 아침 메일로 연재되고, 정식 연재는 한 달에 7천원의 구독료를 받으려 합니다.
오르비언 분들의 반응을 알고 싶어서 2주간 무료 연재를 진행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1. 아래 링크에 이메일 적고 2.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데일리멘토(아이디 dailymentor) 추가 해주시면 6월 17일부터 2주간 칼럼 보내겠습니다.
데일리멘토 무료 구독 신청 : https://forms.gle/9R5wkoo9aCi52U3w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남르비와 여르비.
-
환급 받을 수 있는거였나요? ㅠㅠ
-
여기서 말하는 수능 백분위 평균이 (국+수+탐평균)*3인가요?
-
어느정도하면 감 찾으시나요..?? 25 기출 거의 다 풀어가고 있어요
-
호감과 비호감
-
국어 재능과 수학 재능중에 수능에서 더 유리하게 작용하는 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현강러 인생 최대업적 미적선택, 김범준 현강 듣기
-
그냥 문학 읽는 기본적인 태도..를 이렇게 해보라고 그린건데 제가 본 평가원 문제는...
-
알바 질문 1
가족여행으로 일본 가서 알바 빠지려고 물어보니까 알바 사장님이 "야 그런건 나한테...
-
가방 0
자라에서 시티백 사려고 하는데 화이트 vs 블랙 추천좀 옷을 좀 어둡게 입으면...
-
재밌는거 잇으면 알려줘//!!
-
와 근데 확실히 학교에 학벌 관심있는 애들 많으니까 10
에타 새내기 게시판에서 수능이야기하거나 반수이야기해도 시비거는 애들 하나도 없이...
-
그냥 전문 용어인줄 알았는데...
-
올1컷이면 가능한가요??
-
하루하루 나한테 충실할 땐 오히려 내가 자랑스럽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보이고 대단한...
-
저메추해주세요!!
-
연대가 이렇고 고대가 이렇고 이러는 건 바람직 하지 않아보임 사실 어떤 위치여도...
-
흠
-
이거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자기보다 객관적으로 떨어지는 다른 사람 알게모르게 많이...
-
쿠키주고 아이스티타주고왓다 힘들구만...
-
솔직히 7
연대는 모르겠는데 고대는 자리가 ㄹㅇ 좀 아슬아슬하지않냐?
-
현실은 둘 다 군대 가지만 차은우는 나보다 대학도 잘갔고 돈도 많고 잘 생겼다는 거임
-
노베입니다. 고3개념강좌가 있고 수특 강좌가 있는데 책이 수특이랑 기해분만...
-
내가완벽한상태가되는날은오지않음 그냥감수하고더나은내가되려고 노력하면서사는거지
-
결국 한번도 못갔음... ㅠㅠㅜ
-
뚜껑이 열려 내 외제차 11
사실내껀아니고
-
성균관대 의대 논술 2년 연속 봤는데 갈때마다 진짜 학교 자체가 시스템이 명문임
-
작년처럼 술먹고 남자선배한테 고백만 안박으면됨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가천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가천대학생들을 돕기...
-
과탐라이브히고싶은데 너무부담되네..
-
07년생 08년생 보면 그거마려움
-
재밋는거해죠.. 20
응응
-
미친 수강평 정상화좀 해봐 범바오야
-
대학은 0
비시대인재와 시대인재로 나뉜다
-
안녕하세요. 04년생 공부 계획으로 몇 가지 여쭙습니다. (2022년...
-
얼굴 잘생겼다고 군대를 뺄수는 없는거니까.. ㅅㅂㅅㅂㅅㅂㅅㅂ
-
혹시 관심 있는 분 있나요?
-
난 스카이를 밑에 대학이 무너 뜨렸으면 좋겠음 그래야 더 건전해짐
-
ㅇㅈ 2
시로코 ㅇㅈ
-
전 본계로 간다니까요!?
-
= 캬루룽
-
ㅇㅈ) 8
이따구로 생김 ㅎㅇ
-
종이책, 실모 절대 안됌ㅇㅇ
-
코코로카라이토시이히토
-
그냥 무지성으로 사는듯
-
결혼을 하고 일반적인 가정을 꾸려서 아이도 낳고 배우자와 행복하게 살고 싶은데...
-
작수92점입니다
-
걍 인생 조진거지
-
그나마 부담이 덜하다

선댓글 후감상 좋은글 감사합니다요센 최선 보다는 잘 하는게 중요하죠
시험 볼 줄 노르는 경우에 대해 좀만 더 구체적으로 써주실 수 있을까요..? 주변 친구들이 평소에는 잘하는데 시험 점수는 왜 그러냐고, 원래 실력에 비해서 성적이 왜 그것 밖에 안되냐는 말을 많이 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