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사관학교 영어 1차 시험 기출문제 24번 문장별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33210
2025학년도 사관학교 영어 1차 시험 문제 문장별 분석 - 24번.pdf
2025학년도 사관학교 영어 1차 시험 기출문제 24번 해설
( 선명하게 출력해서 살펴보실 분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세요. )
24.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4점]
The great myth of American culture, then and now, is that democracy is built on free __EXPRESSION__, both spoken and printed. Though wrapped up in shibboleths from the marketplace of ideas, such a myth is not without its advantages. There is wisdom in the notion that free __EXPRESSION__ is its own justification, as a matter of principle and as a check on power. The price, however, is sometimes high. Truth won’t always win out, and the public sphere can’t be contained. This is a lesson perpetually relearned when novel media technologies flood the information space. In 1938, Orson Welles and his Mercury Theater troupe broadcast a live radio performance of the H. G. Wells novel The War of the Worlds. While there is not much evidence that the program touched off an actual panic―and Welles was clear, at both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broadcast, that it was a dramatic performance, not a news report of real events―we do know that the broadcast garnered major newspaper coverage. The radio was already under regulations by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which had been formed in 1934, but one medium confronted another.
* shibboleth: 상투적인 어구 ** garner: 모으다
↓
While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the free and open exchange of ideas is a (A) of American democracy, the cost can be the unintended and uncontrollable (B) of untruth via new media, as in the case of a live radio performance broadcast in 1938.
(A) (B) (A) (B)
① pillar elusion ② highlight censorship
③ foundation concealment ④ reflection disclosure
⑤ cornerstone circulation
▬ 한줄 해석 & 정답 ▬
24.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4점]
The great myth of American culture, <then and now>, is {that democracy is built on free __EXPRESSION__, <both spoken and printed>}.
<그 당시와 지금>, 미국 문화의 커다란 허구는 {민주주의가, <음성 및 인쇄 둘 다로 된>, 자유로운 표현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 myth [miθ] n. 신화, 허구 / be built on - : -에 기반[근거, 토대]를 두다
☀ { }로 표시된 that절은 is의 주격보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임.
Though wrapped up in shibboleths <from the marketplace of ideas>, such a myth is not without its advantages.
비록 <아이디어의 시장에서 나온> 상투적인 어구들로 포장되어 있긴 하지만, 그러한 허구가 장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 wrap up : (포장지 등으로) 싸다, 포장하다; 마무리 짓다, 보따리를 싸다 / * shibboleth: 상투적인 어구
☀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ough와 과거분사 wrapped up 사이에는 ‘주어[it] + be동사[is]’가 생략되어 있는데,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 ‘주어 + be동사’는 생략 가능함.
There is wisdom in the notion {that free __EXPRESSION__ is its own justification, <as a matter of principle> and <as a check on power>}.
{자유로운 표현은 <원칙의 문제이자 권력에 대한 견제로서> 그 자체의 정당화라는} 개념에는 타당성[지혜]이 있다.
※ justification [dʒʌ̀stǝfikéiʃən] n. 정당화 / check on - : -에 대한 견제[저지, 억제]
☀ { }는 앞의 ‘the notion’과 동격 관계에 있는 명사절에 해당함.
The price, however, is sometimes high.
그러나, 그 대가가 가끔 크다.
Truth won’t always win out, and the public sphere can’t be contained.
진실이 항상 승리를 거두는 것은 아니며, 대중의 영역은 억제될 수 없다.
※ contain [kǝntéin] vt. 포함하다, 담고 있다; 억누르다, 억제하다
☀ always가 not과 함께 쓰여 부분부정을 이루고 있음.
This is a lesson [perpetually relearned {when novel media technologies flood the information space}].
이는 [{새로운 미디어 기술이 정보 공간을 침수시킬 때}, 끊임없이 재학습되는] 교훈이다.
※ perpetually [pǝrpétʃuǝli] ɑd. 영구히, 끊임없이 / flood vt. 침수시키다(inundate)
☀ [ ]는 앞의 ‘a lesson’을 수식하고 있음.
In 1938, Orson Welles and his Mercury Theater troupe broadcast a live radio performance of the H. G. Wells novel The War of the Worlds.
1938년, Orson Welles와 그의 Mercury Theater 극단은 H. G. Wells의 소설 'The War of the Worlds'의 라디오 생방송 공연을 방송했다.
※ troupe [truːp] n. 공연단, 극단 / broadcast [brɔ́ːdkæ̀st] vt., vi. (p., pp. -cast) 방송[방영]하다
While [there is not much evidence {that the program touched off an actual panic}―and [Welles was clear, <at both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broadcast)>, {that it was a dramatic performance, not a news report of real events}]―we do know that the broadcast garnered major newspaper coverage.
[{그 프로그램이 실질적인 공황 상태를 유발했다는} 증거는 많지 않]고 [Welles는 {그것이 실제 사건에 대한 뉴스 보도가 아니라 연극 공연이라는 것을}, <(방송의) 시작과 끝 둘 다에서>, 분명히 했]지만, 우리는 그 방송이 주요 신문 보도를 얻었다는 것을 정말 알고 있다.
※ touch off : 유발[촉발]하다 / dramatic performance : (연극의) 상연[공연] / coverage n. (신문·텔레비전·라디오의) 보도[방송] / garner [gάːrnǝr] vt. 얻다[모으다] / ** garner: 모으다
☀ While은 양보의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역할을 하고 있는데, ‘주어 + 동사 -’로 이루어진 두 개의 [ ]가 and로 연결되어 이 While에 이어지고 있음.
☀ 첫 번째 [ ] 안의 { }는 앞의 evidence와 동격인 명사절임.
☀ 두 번째 [ ] 안의 { }에서는 ‘not A but B : A가 아니라 B’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B, not A’가 사용되어 있음.
☀ 주절 ‘we do know that -’에서 do는 동사의 의미를 강조하는 강조의 조동사에 해당함.
The radio was already under regulations by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which had been formed in 1934}, but one medium confronted another.
라디오는 {1934년에 만들어진} 연방통신위원회에 의해 이미 규제를 받고 있었지만, 한 매체가 다른 매체에 직면한 것이었다.
※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 연방통신위원회 / confront [kǝnfrʌ́nt] vt. -에 직면하다, -와 마주치다
↓
While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the free and open exchange of ideas is a (A) of American democracy}, the cost can be the unintended and uncontrollable (B) of untruth <via new media>, {as in the case of a live radio performance <broadcast in 1938>}.
{아이디어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교환은 미국 민주주의의 (A) 이라고} 일반적으로 믿어지지만, {<1938년에 방송된> 라디오 생방송 공연의 경우처럼} <새로운 매체를 통한> 허위의 의도되지 않고 통제될 수 없는 (B) 가 그 대가일 수 있다.
☀ it은 가주어이며 첫 번째 { }로 표시된 that절이 진주어에 해당함.
☀ 두 번째 { } 안의 < >로 표시된 과거분사구는 앞의 ‘a live radio performance’를 수식하고 있음.
■ 선 택 지
(A) (B) (A) (B)
① pillar elusion ② highlight censorship
③ foundation concealment ④ reflection disclosure
⑤ cornerstone circulation
※ pillar [pílǝr] n. 기둥 / elusion [ilúːʒən] n. 회피, 도피 / censorship [sénsǝrʃìp] n. 검열 / concealment n. 숨김, 은폐; 숨음, 잠복 / disclosure [disklóuʒǝr] n. 발각; 드러남; 폭로; 발표 / cornerstone n. 초석, 토대, 기초 / circulation [sə̀ːrkjǝléiʃən] n. 순환; 유통; 유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남는거 70%에 싸게팔라는데 사실븐 쪽지주십셔 교재알려주시면 해드림
-
이제 홉스한테 그만 쳐맞자 - 6모를 준비하는 생윤러들을 위한 사회계약설 분석 1편 2
*이 글은 필자의 뇌피셜과 드립이 난무하는 글입니다. 설명을 위해서라면 교육 과정의...
-
옳지 내게와봐 3
위험하지 않아
-
https://naver.me/xoHJN0pt 모쏠이어서 연애관련질문에 화냈어..
-
동물원됐다히네 ㅋㅋ
-
노추 0
-
윤성훈 풀커리 최적 엔제 수특 수완 자이스토리 사문 기출 손고운 윤성훈 사만다...
-
잘생긴 쌤들 수업이 너무 좋음 현석쌤??
-
담금질 후기가 적네요 강의 안듣고 풀기에 별론가요
-
찬우야이 0
꼬두메로 가자잇
-
제 목표가 중앙대 약대인데 5등급제에서는 올 1등급 받아야 가능할까요? 아니면...
-
내가 싫어하는 세가지
-
과잠 받음뇨 6
룰루~~
-
언매 n제 1
이감 언매 다하면 뭐해야하나요? 추천해주세요
-
지금 이 순간이 꿈이라면
-
작년 6, 9모 70점 후반대 수능 4등급 (듣기많이틀림) 올해 4덮 81점 점수는...
-
핸드폰에 앉았다 먼지인가 누르니 꾸욱 푹 그렇다 벌레였다 씨발
-
학교 가는중.. 마치면 과외도 해야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오 진짜
-
영어 과외 0
교과서가 내신 시험 범위일 때 영어과외 유경험자이신분들 어떤식으로 준비해가야하는지...
-
커뮤를 까는 커뮤가 나오고 거기서 지랄하는 사람들이 여기서는 가면 쓰고 멀쩡하게...
-
평가원 기준 ㄱㄱ
-
방금 깨달은 점 4
오르비언들 한티에 많이 사는 구나? 한티역점 지점에서 사용하신 쿠폰입니다 x 5
-
디카프 시리즈가 화학owl 지학 폴라리스랑 비슷한 포지션인가요? 아님 다른가요?
-
내가 이걸 다 못풀리가 없다 언 독 문하는데 시간 25문 남았는데 독서풀고있어도...
-
3무휴학반수이고 작수 화작 2컷인데 올해는 1컷으로가고싶은데 화작컷이 너무 높아서...
-
경제 기술 법률 고전논리 지문에 잘 먹힘. (Ex. 법률 지문 복잡한 예외 나올 때...
-
여기서 10분넘게써서 좆된줄알았음 ㄹㅇ.. 근데이러고도 정을선전에서 한문제 나감 ㅋㅋㅅㅂ
-
엄재일 잘생겼네 2
-
문학 25분 언매 (지문형 제외) 10분 독서 40분에 보기 두개 날림 지문형문법...
-
사문 과외 0
너무 재밌다
-
저는 같은 과의 동기가 정시로 왔는지 수시로 왔는지 관심도 없었는데 이게 특이한 건가요? 3
저는 이쪽으로는 진짜 관심도 없었고, 심지어 군대를 동기들보다 좀 늦게 간 경우라...
-
소설류 7분-8분 복합 10분 시 단독 5분 이렇게만 잡아도 문학에 30분 이상 꼴아야되던데
-
고2 정시파이터 9
고2 정기파이터 할까 생각중인 학생입니다. 고2 후회 안 하고 넘어가기 위한 조언...
-
연락을 3 4일이상 안보는거는 감정이 어떻고를 떠나서 걍 싸가지가 없는거 같음
-
23수능 4등급 24수능 백분위 98 25수능 백분위 99 였는데 지금부터 공부하면...
-
정시로 들어왔음... 재수했고 14113(언미생지)이다. 대학 공부가 안 맞아서...
-
국어 항상 독서 2지문 날립니다.. 그래서 요즘 문학 시간 줄이려고 시간 재서...
-
물리해야지 1
물리해야지물리해야지물리해야지물리해야지물리해야지물리해야지물리해야지물리해야지물리해야지물리...
-
이 셋중에 하나 사서 풀려하는데 문제 퀄 ㄱㅊ고 난이도적당한거 추천좀해주세요 2등급 중간정도
-
행복했던나는 대학도훨씬더잘갔을듯
-
시대기숙 장학 1
100% 장학 받으면 한달에 돈 얼마나드나요??
-
룸메패고싶은점 1
자꾸방에서쩝.쩝대면서뭐처먹음
-
그냥서로아무말도안하고있었던거구나 말만하면싸우네 의지할곳도없다이제는
-
수학 n제 3
지금 엔티켓 시즌 2 초반 풀고있는데 딴 거 시키는 김에 같이 풀거 시키고 싶어서...
-
3-1 97 2-5 96 2-6 93
-
빅포텐 미적 시즌1 풀고 있는데 제가 미적을 정말 못하는데도 너무 쉽게...
-
부모님 번호 적어도 학생한테 문자 오나요? 학생이 받으려면 부모님 전번 대신 학생 전번 쓰는건가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