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N제 활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63112
안녕하세요 :)
오늘 다뤄볼 주제는 N제입니다.
N제를 어떻게 활용할까요?
그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기출은 무조건 N제보다 낫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기출은 '무조건' N제보다 낫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출제진이 만든 N제라도,
평가원 기출문제보다 중요하진 않습니다.
왜냐고요?
수능은 평가원이 내니까요.
평가원의 의도는 평가원밖에 모릅니다.
그래서 평가원이 낸 기출이 우선입니다.
1. 누가 N제를 풀어야 하는가?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3등급 이하는 N제 안 푸는 게 좋습니다.
(현역은 3모, N수는 더프 기준)
대부분의 N제들은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기본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어려운 문제만 풀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어요.
3등급 이하는 쉬운 문제가 더 도움이 됩니다.
시중에 파는 쎈 같은 문제집도 훌륭한 대안입니다.
상위권 학생들은 기출을 너무 많이 보다 보면
나도 모르게 기억에 의존해서 손이 반응하게 되는데요,
이러면 시험장에서 문제를 처음 봤을 때 당황할 수 있겠죠.
그래서 '처음 보는 문제 대처법'을 훈련하기 위해
N제를 활용하면 됩니다.
2. N제 활용법 - 문제 풀 때
앞서 말씀드렸듯,
N제는 '낯선 문제 대처법'을 연습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문제를 처음 봤을 때,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어디서 막혔는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풀이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세요.
그래야 피드백을 할 수가 있습니다.
더불어,
문제를 풀었을 때 든 생각도 정리하세요.
'대충 접하지 않을까?'
'이건 로피탈 각인데?'
같은 생각도 적어두세요.
3. N제 활용법 - 채점할 때
채점은 N제 활용의 핵심입니다.
빠른 정답 보고 답만 체크하지 마세요.
해설지와 나의 사고과정의 차이를 비교하세요.
감으로 대충 때려맞힌 문제라도,
정확한 풀이를 위해 해설지를 꼭 참고하세요.
아까 말했던 '풀이를 정리해라'는 말은
바로 이 피드백을 위함입니다.
문제만 풀고 피드백이 없으면
절대로 실력이 늘지 않거든요.
더불어서, 맞힌 문제라도,
너무 쉬운 문제가 아니면
해설지나 해설강의를 보는 게 좋습니다.
4. N제 선택법
앞서 말씀드렸듯,
N제는 해설을 보고 내 풀이와 비교했을 때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그래서 해설이 자세한 N제가 좋습니다.
누가 봐도 읽기 쉽도록,
풀이과정이 꼼꼼하게 해설된 N제를 추천합니다.
해설지 말고 해설강의가 있는 N제도 좋죠.
인강 강사 분들이 만든 N제는,
대부분 강사분들이 직접 풀어주시니까요.
5. 평가원 스타일이 아닌데요?
평가원스러운 건 평가원밖에 모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느끼는 '평가원스러움'은 다 다릅니다.
문제가 평가원스럽지 않다고 느껴지시나요?
그 문제가 수능에 안 나온다고 100% 확신할 수 있나요?
저는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적으로, 당장 6월 모의고사에
삼각함수 도형 극한 안나온다고 100% 확신할 수 있을까요?
물론 확률은 낮겠죠. 하지만 0%는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그래서 제가 하고 싶은 말은,
평가원스럽지 않다고 문제 거르면 안 된다는 겁니다.
여기서 좋은 방법 하나를 소개하자면,
'어? 이거 평가원 스타일 아닌데?' 라는 생각이 들면,
평가원과 그 문제의 차이점이 뭔지도 생각해보세요.
간단히 예를 들자면,
- 원 위의 점을 좌표로 처리하는 게 평가원스럽지 않음
- 평가원에서 허용하지 않는 꼼수를 쓸 수 있음
같은 것들이 있겠네요. (단순 예시입니다)
이제 N제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감이 좀 오셨나요?
기출을 중심에 두고, 필요한 때에 N제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공부가 훨씬 더 효율적으로 바뀔 겁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성심껏 답변드릴게요!
부족한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댓글 부탁드립니다 :)
수학 칼럼)
실수를 줄이는 현실적 방법 https://orbi.kr/00072183669
모의고사 당일에 '무조건' 복기하세요 https://orbi.kr/00072575369
계산실수가 많다면 버려야 할 습관 https://orbi.kr/00072173494
진도가 늦어서 불안할 때 https://orbi.kr/00072313784
체계적으로 문제 읽기 1 https://orbi.kr/00072237485
체계적으로 문제 읽기 2 https://orbi.kr/00072300008
극한상쇄 (231114) https://orbi.kr/00072371992
부정적분은 적분이 아니다 https://orbi.kr/00072697375
3모 공통 총평 + 14, 15 해설 https://orbi.kr/00072624661
0 XDK (+51,000)
-
50,000
-
500
-
500
-
오르비에서 찾아보니깐 보정1컷 69 무보정 1컷 80
-
대성사이트에서 샀는데 배송중 목록에 안뜨네요
-
작년 3덮 4덮 보신분있으신가요 물론 올해는 아무도 모르겠지만 작년에는 뭐가 더 어려웠나요?
-
무보정3을원해요 1
제발 수학 부탁
-
내일 함 먹어보겟음 +_+ 효과개쩔길
-
어어 그들이 몰려온다
-
제곧내
-
저도 다음날 봐볼게요
-
결과야 뭐 당연히 나와봐야 알겠지만 어디가 부족했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서...
-
최석호 2028년 평가원 수능예시 전 문항 난이도 3 다소 쉬움 준킬러 28번,...
-
근데 확통은 확통 공부량을 줄여서 공통에 투자하자! 6
인건가요? 두개만 틀려도 1등급 나가리니
-
갑자기 풀맛 확떨어지네 ㅋㅋㅋㅋㅋㅋㅋ 이마트 가봐야겠다 지금 열려나,,
-
무보정 3만 제발 10
잘해보쟈
-
바로 팔취
-
https://petitions.assembly.go.kr/proceed/onGoin...
-
방첩사 과장 실명까지 나와있는데 하루종일 뉴스글에서 전쟁여는 새끼들만 와서...
-
잇올임
-
정치게시물 뜨면 폰으로 알람이 가는 기능이 있나 무슨 관련된 주제나 뉴스 올리면...
-
저는 맹세코 이상한거 안봄 빨갱이 관련 유튜브도 본적 없고 극우쪽 유튜브도 본 적이 없습니다...
-
반수생이고 작년에 화1생1봤다가 생1은 도저히 하기 싫어서 화1생2로 하려 합니다....
-
하나님 하느님 예수님 부처님 알라신 제우스님 빕니다 착하게 살게요 ㅜㅜ
-
이거 왜이렇게 어렵지
-
푸른상자 메달리스트 한 화 씩만 남기고 3주째 안보는 중
-
. 6
-
ㅈ반고 자퇴할까 22
지금 고2이고 인서울대학 가고싶은데 내신 진짜 ㅈ망해서 못감...이번 고2...
-
큐브 특징 ㅋㅋ 2
좋은 마스터는 열정페이에 지쳐 그만두고 나쁜 마스터는 답변 날먹으로 계속함
-
유신t 0
유신t 독서랑 비슷하게 가르치시는 인강강사분 안계시나요?
-
훈수 두는 사람 있었음 좋겠다 아무도 나한테 뭐라 안 하니까 공부 잘못 하고 있는...
-
"1조는 이재명, 2조는 한동훈"…계엄날 '체포조' 구체적 증언 45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를 입증할 증언들은 계속해서 쌓이고 있습니다....
-
24수능의 충격이 넘 크다
-
반수 고민 3
안녕하세요 국숭세단라인 현역 학종으로 들어왔습니다 처음에는 너무 좋았는데 다니다...
-
제일 ㅈ될 각이 보이는 시험에서 멘탈 추스리며 최선의 결과를 내는법을 연습하는...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0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평백 99는 돼야..?
-
이거 왤캐 어려워요 30분넘게 걸렸네 24수능 22번 현장때 만난거같은 ptsd옴
-
12시간 기준 화작 미적 사문 생윤 하신다면 시간 분배 어떻게 하실 건가요?
-
힘들어 2
-
다 내가 부족해서 그래
-
내가 왔다 0
피곤하구만
-
왜사냐 걍 죽어
-
먼저 공부 끝난 열품타메이트 깨우기 누름
-
쌤이확통을유기하고강의를밀려도쌤편이에요
-
볼수있는만큼 보다가 들어가야지...
-
97 96 1 100 99 어디까지되나요
-
맞팔해유 2
옯비도 옯스타도
-
학 씨
-
코바야시네 4
도전 ㄱㄱ?
-
써야하는데 귀찮다
추천누르고읽기ON

오옹 좋은데요기출도 N제 보듯이 사고과정 정리하면서 보면 되는건가요?
네 그쵸! 기출은 사고과정 정리가 더더욱 중요해요
N제에서 약점파트만 뽑아서 푸는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Ex) 수2 적분 파트가 약하면 약점이 보완될때까지 4규,이해원,드릴 등 n제들 적분파트만 추출해서 풀고 나머지는 버리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목표시간 내에 맞출 수 있던 문제를 푸는 행위는 시간낭비라고 봐서
약점만 모아서 공부한 뒤에 실모로 풀이 최적화 연습을 하려는데
이 공부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방법이긴 합니다.
여기서 조심하셔야 할 점이 '진짜 약점'을 파악하는 거에요.
어떤 학생은 과거에 삼도극 문제를 계속 틀렸는데, '계산실수를 해서 그래요'라는 이유로 연습을 안 하더라고요.
이런 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통계화가 필요합니다.
어떤 문제를 많이 틀리는지 감이 아닌 숫자로 파악하는 거죠.
3등급 x -> 2컷까지는 애초에 N제 풀 이유도 실력도 전혀 아니라 생각함 걍 미적확통 안가리고 원점수로 84점 이상은 되야 도움받으려고 푸는거지
통통인데 작수2 3모 1인데 n제 뭘로 시작하면 좋을까요?
책 이름 언급하는 건 좀 조심스럽네요... ㅎㅎ
0 에서 눈물을 흘리며 개추
제발 기출 먼저 잘 풀고..
???: 쉽게 알 수 있다.
기출 수분감 전부 풀고 틀린거 맞출때까지 일주일정도 텀 두고 계속 반복한다음 입문 n제 돌리는데 너무 안 풀리네요 ㅠㅠ 기출 회독 다시 들어가야하나요? 재수생이고 더프는 2나왔는데 3모 3등급 초반 나왔어요
기출이 약한 상태면 기출 먼저 확실히 잡아야 합니다.
기출이든 사설이는 닥치고 많이 풀면 몇등급이건 자연스럽게 오른다는 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여
오르긴 올라요.
대신 기출 없이 사설 많이 풀면, 성적 오르는 속도가 많이 더딥니다.
훌륭해요
준킬 2~3개 나가리면 뭘 해야될까요....
킬러는 당연히 못풂ㅎㅎ
계산이 부족한지 발상이 부족한지 아직 개념을 완벽히 익히지 못한건지 객관적으로 파악해야 해요
이번 3모 높2 뜬 현역인데 이해원 n제 시즌1 봐도 괜찮을까요?? 기출 위주에다가 n제 몇문제 추가로 풀어보고 싶어서요! 그리고 안풀리는 문제는 얼마나 잡다가 해설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