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지원자를 위한 정시 지원 용어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818954
1. 표준점수
자신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점수로서, 과목별 난이도 차이를 감안해 상대적인 성취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계산한 점수.
시험이 어렵게 출제되는 경우 표준점수는 높게, 시험이 쉽게 출제되는 경우 표준점수는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2. 백분위
자신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은 수험생이 얼마나 있는지를 퍼센트로 나타낸 수치.
예를 들어 자신의 표준점수가 110점이고 백분위가 80이라면, 자신의 점수인 110점 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수험생들이 전체 응시자의 80%라는 의미이며 이것은 곧 자신이 상위 20%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변환표준점수
수능에서 표준점수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각 대학들이 산출하는 점수.
동일하게 만점을 받았음에도 과목에 따라 표준점수와 백분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부 대학에서 각 영역에 대해 백분위를 바탕으로 한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하고 있다.
4. 대학 환산점수
영역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각 대학에서 최종적으로 산출하는 점수.
자신이 어느 대학에 지원 가능한지를 살펴볼 때는 대학별 환산점수를 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5. 가군, 나군, 다군
각 대학은 가, 나, 다 군으로 나뉜 3개의 군에 배치되어 학생을 선발한다.
각 군에서 하나의 대학 및 모집 단위에만 지원 가능하기 때문에 정시에서는 총 3번 지원할 수 있다.
다만, 과학기술원, 사관학교, 등 일부 대학은 지원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6. 수시 이월
수시는 총 6회 지원이 가능하므로, 여러 대학에 합격했을 때 한 곳만 등록하고 나머지는 등록을 포기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마다 미등록 인원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인원을 정시로 이월하여 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7. 추가 합격(충원 합격)
2개 이상의 대학에 합격하여 하나의 대학 등록을 포기하는 경우, 예비 번호를 받은 수험생에게 합격의 기회가 돌아간다.
문과는 서울대, 이과는 메의저 의대와 같은 극상위권 모집단의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추가 합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추가 합격을 고려하여 정시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8. 추가 모집
추가 합격을 한 학생들까지 등록이 마감된 시점에서 미등록 결원이 발생할 경우 대학은 이를 보충하기 위해 추가 모집을 실시한다.
정시에서 탈락한 학생 중 해당년도에 입학을 원하는 학생들은 정시 모집 결과 후 발표되는 추가 모집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9. 진학사
아래서 설명할 고속성장분석기와 함께 정시 합격 예측의 양대 산맥을 이루는 사이트.
각 대학별로 모의 지원을 해 볼 수 있고, 그 모의 지원을 한 인원과 작년 커트라인 등의 정보를 이용해 해당 지원자의 그 모집 단위 합격 확률을 알려 준다.
10. 칸수
진학사에서 합격 확률을 나타내는 단위로, 0칸부터 10칸으로 분류되어 있다.
칸수가 낮을수록 합격 확률이 낮고, 높을수록 합격 확률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7칸 이상인 경우 합격을 확실히 장담해도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 표본
진학사에 모의지원을 한 사람들, 또는 그 사람들의 성적을 일컫는 말이다.
12. 작전세력
진학사 모의지원에서 경쟁자를 몰아내기 위해 표본들을 동원해서 특정 모집단위에 대거 침입하는 이들을 말한다.
이 작전세력으로 인해 칸수가 낮아진 수험생들은 쫄아서 그 모집단위를 지원하지 않게 되고, 그것은 그 '작전세력' 을 동원했던 사람들이 원하는 바와도 같다.
13. 허수
실지원자가 아니면서 모의지원에 들어와 있는 사람들, 또는 그 사람들의 성적을 일컫는다.
14. 점공
매년 정시 원서 지원이 끝나면 진학사에서는 각 모집단위에 실제로 지원한 수험생들을 상대로 그들이 자신의 점수를 공개할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드는데, 이것을 '점수 공개' 를 줄여 '점공' 이라 부른다.
15. 고속
위에서 설명한 진학사와 함께 정시 합격 예측의 양대 산맥을 이루는 분석기로, 풀네임은 고속성장분석기이다.
진학사와는 다르게, 액셀 파일로 구성이 되어있고, 점수를 입력하면 존재하는 모든 모집 단위의 합격 확률을 색깔로 나타내 준다.
16. 찐초/연초/노랑/빨강
고속성장분석기에서 합격 확률을 표시하는 단위들로, 찐초>연초>노랑>빨강 순으로 합격확률이 높다.
17. 폭
모집단위에 사람들이 몰려서 예상 입결보다 훨씬 높은 입결이 형성되는 경우.
18. 빵
모집단위에 사람들이 지원하지 않아 예상 입결보다 훨씬 낮은 입결이 형성되는 경우.
19. 침공
이과 계열의 수험생이 문과 학과에 지원하는 것.
이과 계열의 수험생은 일반적으로 문과에 지원했을 때 더 높은 라인의 학교에 갈 수 있는데, 이것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20. 컨설팅
어디를 지원하는 게 합격 확률이 높을지에 대한 상담을 주로 하는 정시 지원 전문 업체들을 말한다.
이 컨설팅 팀을 이용할 땐, 입시 커뮤니티 사이트들을 참고해 현재 본인이 이용하고자 하는 팀의 평판이 어떤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0 XDK (+50)
-
50
-
T1 보여주냐 2
기대는 안하는중 흐 흐흐
-
티원 뭐야 3
뭐야
-
독학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마다 기준이 조금씩 다른듯한데 1. 책으로만 공부하기 2....
-
찍기 13
정답은 댓글에
-
가 실수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함수 f(x)가 존재한다 (O/X)...
-
차 사면 여친 생기나
-
나를 응원해다오 3
ㅜㅜ
-
부스터 #~#
-
이게 뭐하는거냐 왜 살아 진짜
-
그니까 3년 전 이맘때쯤만 해도 GPT가 없었다는 거잖아? 그시절에어떻게살았을까
-
같이 먹어요
-
작년에 생지했는데 둘다 22 나옴 그래서 지금 윤도영교재로 자습, 이신혁 교재로...
-
그건 뭘까
-
화1 해봤고 내신대비용으로 하려는데 강의 너무 긴데 그냥 교재만 봐도 됨? 완자랑...
-
국어 현강 0
국어 현강 처음으로 들어보려는 현역인데 혹시 지금 이 시기에 듣기 시작해도 문제...
-
3점대 초반이 보통 지역인재 의대를 쓰는 학교에서 수과학 1점대로 내신 2점...
-
공부한다고 되는건지 아니면 재능빨인지 궁금하네
-
6독서 0 문학 3 매체
-
그냥 궁금해서요 1
흐음
-
미국에서 10대가 몬스터 처먹다 뒤졌다길래 본래 카페인 음료인 거는 알앗는데 그...
-
독서 지문 수가 너무 적고 소재가 한정적임 국어강사들 배경지식 무용론으로 수능국어는...
-
몰몰몰몰 울었어ㅠ
-
기출은 다 풀어봤을거니까요
-
아니 구마구마야 5
너 누구냐?
-
80분/100 15번 문제 되게 좋음 한번 꼭 풀어보세요 계산도 깔끔하고 전반적으로좋았던 시험지
-
담배피고싶어 15
연초는 그렇다쳐도 전담은 왜 못피게 함
-
13도인데 패딩 입어도 됨?
-
골라보셈 12
?
-
왜 생2는 별로 없는거같지
-
밥먹고 0
인강 잠오ㅓ
-
한남왔어 8
자 다같이 안녕하세요 시~작.
-
돈벌고싶다 5
진지하게 내가 님들집 메이드녀 되줄테니깐 시급 12000원 ㄱㄱ
-
항상 고민되는 게 글을 얼마나 자세히 써야 하냐인데 2
흠... 고민이 되네요
-
44위로갈 가능성 높음? 그래도 그건아닌가
-
걍 이새낀 벡터에 미친새기인거임 ㅇㅇ;;
-
좋네요 좋아
-
화확화화 해볼까 ..
-
뭐가 문제지 수면시간 늘렸는데 스트레스때문인가요 큰일이네
-
이번 고1 3모 지나치게 쉽긴 했지만 듣기포함 35분 100 고3 3모 듣기포함...
-
주제파악 하고 입문서 읽는 걸로~
-
지인선 난이도 4
브릿지 서킷 이런것보다 지인선이 훨씬 잘 안풀림 드릴보단 많이어렵고 하사십보다 조금 어려움
-
미생물학특 6
존나 어려움 정답률 보니까 나만 어려운건 아닌것같음 시험에 많이 안나왔으면 좋겠음...
-
진짜 로망의 조합인데
-
올해 대학가면 화확화화로 문?디컬 쟁취 해본다
-
개념은 이미지 듣고 실전개념 스블 들어도 되나요?? 0
지금 세젤쉬 듣는중인데 기출 쉬운거 듣고 실전개념 스블로 들어도 되나요?
-
한완수 상하 0
한완수 상하로 나뉘어있던데 교과개념 실전개념으로 나뉘는건가요? 하편만 사서풀어도되는건가여
-
맛집, 카페, 명소 상관없어요
작전세력 모집합니다

캬 개추폭 = 폭발
빵 = 빵꾸 = 펑크 까지 적어주시면 좋을거같아요
+ 스나 추가해주세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곧 민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