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4등급 받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66359
국어 5등급인데 지금까지 심찬우 생글,생감,기테마1.0,국일만 독서 문학 노베,국일만 문학,애필로그 1,3,4까지 했고 ebs는 한번도 안봤습니다 거의 모고 풀면 독서 2지문 날리던가 아니면 독서를 아애 못 풀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목표가 4등급인데 남은기간 전에 풀었던것들 복습해야 할까요? 복습을 한다면 어떤식으로 해야하는지 아니면 실모도 풀어야하는지 방법 좀 알려주세요 ㅠㅠㅠ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분산 구할 때 왜 편차에 제곱을 하는지 아시는 분? 13
수학을 가르치고 있지만 수학은 전공으로 공부하지는 않아서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
예비 고1 및 고1 재학 중인 학생들 또는 학부모님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질문 중...
-
좋은 과외 선생님이란 본인의 현재 수학실력과 성향에 잘 맞는 선생님입니다. 본인의...
-
[조관T] 문과생을 위한 6월 고3 모의평가 초단기 준비법 7
안녕하세요 오르비 수학강사 조관입니다.약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모의평가 수학을...
-
안녕하세요 오르비 인강 수학강사 조관T입니다. 학생들이 혼동하는 개념 4 가지를...
-
안녕하세요 오르비 수학 조관 쌤입니다. 오늘은 공부 전략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
[한큐정리 by 조관] 사례를 통한 제곱근 개념잡기 11
안녕하세요 오르비인강 수학 조관입니다. 수학을 가르치다보면 관련 공식이나 정리를...
-
안녕하세요. 오르비 인강 수학 조관 선생님입니다. 오늘은 가오스 함수에 대해 정리를...
-
[한큐정리] 절대값 기호 포함 함수 그래프 그리는 법 16
안녕하세요 조관 선생님입니다. 수능 문제 중에 많이 등장하는 함수가 절대값 기호를...
-
작심삼일 공부법 (의지력이 약해 고민인 학생들을 위한...) 5
안녕하세요 오르비 수학 조관쌤입니다. 이제 겨울방학도 끝났고 일주일정도 학교 다닌...
-
수학 공부할 때 혹시 이런 버릇 갖고 있진 않나요? 34
안녕하세요 조관 쌤입니다.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저마다 적어도 버릇 하나씩은 갖고...
-
이런 질문을 하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쌤! 쌤 말대로 최대한 해설을 안보고 스스로...
-
수학A형 만점 획득비법3_대입법(뽀록)의 강자가 되기 20
주변에 친구들 중에 내신 수학 점수는 별로 안좋은데 수능 수학 점수는 월등히 좋은...
-
수능 수학A형 만점을 위해 필요한 중학교 및 고1수학 공부법 24
이제 곧 고3 수험생이 될 예비고2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가 "쌤!...
-
수능 수학A형 만점을 위한 step by step 공부법 35
안녕하세요. 수학쌤 조관 입니다. 2000년부터 현재까지 10여년간 문과 학생들을...
책 다 버리고 국일만과 4개년 기출만 반복하다 수능보러가세요.
4개년 기출 풀때 모의고사 보는것처럼 시간재고 다 풀고 오답 후 분석하는식으로 해도 괜찮을까요?
시간재지마세여
그럼 그냥 안재고 쭉 풀면서 분석하면 되나요?
독서를 아예 못 푼다는 건 80분동안 문학이랑 선택만 푼다는 건가요?? 글 읽는 속도가 느린 거 or 선지를 못 골라서 한참 고민하고 있는 거 둘 중에 어떤 케이스 인가요 이거이거했는데 뭘 할까요를 물을 게 아니라 본인이 스스로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시고 그에 대한 해답을 요구하는 게 성적상승에 더 좋을 거 같아요
화작을 20분정도 쓰고 문학을 풀때 약간 이해한다는 식으로 읽다보니 시간이 좀 많이 걸리는 것 같아요
뭐 어떻게 푸는 진 모르겠지만.. 일단 기본적인 글 읽는 속도가 빨라져야할 거 같아요
그리고 소설류 아니고 현대시 고전시가는 처음에 한번보고 이해하려하지 말고 1. 지문 읽고 2. 문제를 보고 3. 다시 지문으로 돌아가서 그때 제대로 이해하는 게 쉬워요 본인이 읽으면서 문장에 대한 해석을 하려하지 말고 문제의 선지에서 물어보는 게 허용가능한 해석인지 아닌지를 따지는 게 맞아요
물론 그 과정에서 지문을 다 읽기야 하겠지만.. 냅다 어떤 구절을 읽으면서 설의법인지 대구법인지 이게 슬프단 건지 뭔지를 본인이 찾으려하지 말고 일단 그냥 글자를 빠르게 쭉 읽고 별 생각 안 해도 눈에 띄게 보이는 거 동그라미 해두고 문제에 가서 ㄱ문장에 설의법이 쓰였는가? 이런 선지가 나오면 ㄱ문장 돌아가서 이걸 설의법으로 볼 수 있나? ㅇㅇ/ㄴㄴ 이렇게 판단하는 게 시간이 덜 쓰여요
이게 익숙해지면 처음에 글자 쭉 읽을 때도 색채어,표현법 등이 잘 보이니까 바로 동그라미 칠 수 있고.. 물론 저렇게 한 문장만 딱 떼놓고 물어보면 더 쉽지만 문장과 문장, 문단 사이의 맥락도 봐야하긴 해요
아무튼 하고 싶은 말은 본인이 해석하려 하지 말고 문제를 읽고 선지의 허용가능성을 따지는 게 좋습니다
실모니 어떤 강사 커리니 따라가려다 아무것도 안 남는 것보다 위에 분들 말처럼 기출을 남들이 쓰는 시간만큼 쓰고 다 맞는 실력으로 수능장 들어가시는 게 베스트일 듯해요 시간 제한 없이 일단 지문이랑 문제를 다 맞고 씹어먹을 수 있으면 시간도 줄여보고 그렇게 하세요 그리고 괜히 남들 따라 실모치고 n제니 주간지니 안해도 됩니다 그거 하는 사람들은 문학 기출은 30분내로 다 맞는 사람들이에요 본인 페이스대로 ㄱㄱ
아아 소설(현대,고전)풀때는 이해가 되면 빠르게 풀고 거의 시(현대,고전)에서 이해가 안되면 계속 선지 봤다가 지문 봤다가 하고 이해 안되면 그냥 감으로 푸는 느낌인 것 같아요 그래서 시에서 시간이ㅡ많이 뺏기는 것 같네요
그럼 님은 그냥 기출 양치기가 답임 ㄱㄱ 국어 감을 잡으세요 많이 읽고 풀면 감이 생기니까 국어시간 늘려요 그리고 4가 목표면 고전시가는 어려우면 버리고 독서 쉬운 문제들 잡으세요
넵 방법대로 공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