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이 기호를 꼭 기억해 주세요 - 실수 방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77248
고3 때 저도 실수를 밥 먹듯 했습니다
1.
이런 실수해 본 학생들이 있나요?
유형 1
아.. 문제에서 결국 구하라고 한 건
k가 아니라 3k였네..
아니면 이런 실수는요?
유형 2
아.. 내가 구한 값이 4라서
아무 생각 없이 ④번을 골라버렸네..
[선택지]
① -2 ② 2 ③ 4 ④ 6 ⑤ 9
수학을 일찌감치 포기한 학생이 아니라면 거의 모든 학생들이 이런 실수를 한 경험이 있을 거예요. 문제집을 풀면서 또는 실전에서 말이죠. 채점하다 이런 어이없는 실수를 했다는 사실을 깨달으면 ‘진짜 왜 이랬지?’ 싶지만, 그렇게 가벼이 넘길 일이 아닙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 내가 마땅히 얻어야 할 점수를 놓쳐버릴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찰나의 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점수를 잃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수능에서 이런 일을 겪으면 얼마나 억울할지 생각해 보세요.
그래서 이번 칼럼에서는 여러분이 수능 당일 이러한 일을 겪지 않을 수 있게 만들어 줄 하나의 팁을 준비했습니다. 수능이 다가오는 지금 시점에 알려드리기 위해 아껴두었던 팁이니 남은 기간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2.
이 기호를 꼭 기억해 주세요.
동그라미 안에 구라는 글자가 적혀 있는 이 기호의 이름은 동구라미입니다. (제가 붙인 이름인데.. 귀여운 이름이지 않나요?ㅎㅎ)
4점 문제를 풀다 보면 우리는 미지수를 여러 개 설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치환까지 하게 되는 경우도 있죠. 그래서 우리는 문제를 풀다가 내가 최종적으로 구해야 하는 값, 즉 문제에서 요구하는 값이 무엇인지 순간적으로 착각해 버리는 실수를 하게 됩니다.
유형 1
아.. 문제에서 결국 구하라고 한 건
k가 아니라 3k였네..
그런데 만약 동구라미가 있다면 어떨까요? 저는 모든 문제의 풀이의 마지막에 동구라미를 적었습니다. 1초도 안 걸리는 루틴이었죠. 그런데 그 효과는 엄청났습니다.
이 동구라미를 적으면서 문제에서 구하라고 한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한 번 더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유형 1과 같은 실수는 더 이상 하지 않게 되었죠.
어렵지 않죠?
3.
눈치 빠른 학생들은 이미 예상했을 겁니다. 그냥 구라고 적지 않고 굳이 동그라미 안에 구라는 글자를 적은 이유를 말이죠.
유형 2
아.. 내가 구한 값이 4라서
아무 생각 없이 ④번을 골라버렸네..
[선택지]
① -2 ② 2 ③ 4 ④ 6 ⑤ 9
유형 2와 같은 실수가 일어나는 이유를 잘 생각해 보세요. 별 게 아닙니다. 딱, 동그라미 차이입니다. 숫자는 같잖아요. 그래서 동구라미를 쓰는 겁니다.
내가 동구라미 옆에 쓴 4는 그냥 4입니다. 4 옆에 동그라미가 떡하니 있으니(내가 그렇게 적었으니) 4와 ④를 의식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된 거예요. 그러니 유형 2와 같은 어이없는 실수를 할 가능성이 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죠.
4.
좀 유치한가요? 원래 간절하면 유치해집니다. 재수생 시절 저는 정말 정말 유치했습니다. 정말 정말 간절했으니까요.
꼭 그렇게까지 해야 해?
남들이 저에게 이런 말을 할 때면, 이렇게 해서라도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간절했으니까요. 그 간절함이 감정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이어질 때, 우리는 남들과 좀 달라집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많이 유치해졌었죠.
이제 곧 수능을 앞둔 여러분의 모습은 어떠한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학 특 1
학교 쌤이 맘대로 -어, -력, -적, -화 붙이면 다 개념어 됨;
-
울며 겨자먹기 전 후자
-
이명학 션티 3
영어 2~3등급 진동하구요 무조건 1등급 목표입니다.. 어떤 쌤 들을까요ㅠㅠ
-
앞으로 군대가기 전까지 민주누님 또는 유연누님 써클돌립니다.
-
ERA 2.73 102 1/3이닝 6승 4패 12세이브 WAR 4.16다른 사람이면...
-
고2 3개년치 기출 풀어보면 국 1초~2후 수 2후~3초 영3~4 뜨고, 이번 3모...
-
연료 충전하기
-
1등급은기대안합니다 졸다가 2,3번을틀렸네여 퓨
-
국어(화작) 90 수학(미적) 81 영어 80 생윤 40 사문 44 등급은 어느정도...
-
한국을 상징하는게 일본에 비하면 ㅈㄴ 적지만 리거중에 한국인이 가장 많고 뷰어쉽도...
-
이문세 - 봄바람(feat. 나얼)[2015]
-
오랜만에 카카페 보관함 보는데 예전에 연재 중이 던 게 꽤 많이 완결 남 하긴 웹소...
-
서울대 정시로 문과 하위과 갈려면 백분위 어느정도 나와야하나요? 13
내신은 전교과 2.7 국영수사한 하면 2.3 정도입니다아마 bb아닐까 싶은데언 확...
-
인원ㅈㄴ모아서 쪽팔려게임 왕게임 진실게임 이런거하고싶음 도파민ㅈㄴ필요
-
너무허무하게풀림....
-
군수생 확통으로 넘어가기로했습니다 미적은 이제 이미지 미친개념 절반 수1 수2는...
-
힘드네
-
줄서요 줄
-
1. 난이도 지인선 n제 > 이해원 2026 > 이해원 2025 2. 특징...
-
교수님을 기다리는 나 25
물론 동아리의 이예린 교수님..
-
수분감 해야되나요… 12
고2 모고는 3 6 9 10모 다 100점이고 고3 3모 21틀 96점입니다. 수1...
-
이건 현장에서 어캐 맞췄는 지 몰겠네 존나 어렵네 진짜 ㅋㅋㅋ
-
전 노란색
-
영어 내신 4
그냥 서술형 다없애고 본문 외부지문 변형으로 40문제 꽉꽉 채웠으면 3년 연속 100 자신있는데ㄹㅇ
-
화작런 해야됨? 1
3 모 턱걸이 3인정도로 국어 못하는데.. 언매는 하나 틀리긴 함. 상담 받으니까...
-
화작 86 확통 72 영어 2 (81) 사문 47 지1 41 집모인데 이러면 재수하게 생겼네..
-
물리 문풀 질문 0
학교 기출인데 21번에서 탄퍼 최대라는게 B랑 분리된 상태에서 최대로 늘어난걸...
-
포기했음 0
-
이성적으로 메디컬 아무데도 못갈거같은데 그냥 처버리고 정시만 편하게 하고싶다 하...
-
부울경은 부산치20명도 들어왔는데 비슷하지 않을까요?
-
ㄹㅏ우ㄴㄷ 6 2
나주ㄱㅇ
-
연립방정식 가스라이팅(250629, 4월 더프 13번) 17
중학교 시절 연립방정식을 배울때부터 항상 듣던 말이 있다. '식이 2개면 문자가...
-
난 여잔데도 페이커 닮았다는 말 많이 듣는데... 오빠는 윙을 닮았구나...
-
작년까지는 선천적인 수학적 감각이 부족해서 수학을 엄청 못했었는데 바짝 수학공부 좀...
-
개념을 빼놓고 다니는 고등학생들이 이써요
-
물어볼게 있어서 그래오
-
같은 학교 같은 학과 같은 학년이어도 시간표에 있는 수업 이름 자체가 다를 수가...
-
하탐구빨리끝내자 2
개념만이라두
-
6평 쳐보면 알겠지 뭐
-
뭔말알?
-
6평 목표 4
97 98 1 99 95 젭알 택도없는건 잘 앎
-
라운드5 6
-
지옥같은 시간 평생 안 흐를 줄 알았는데 겨울도 다 지나고 곧 여름인게 안 믿김
-
수1 수2 추천 ㄱㄱ ㅠㅠ 난도 좀 있는걸로 메가패스 없어서 뉴런 사려고 몇심만원 결제할 깡이 없음
-
혹시나 의사가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개존잘은 못될거 같아서 슬프네요 의사인데도...
-
한티옥 손 1
직원분이 이제 나를 알아본다
-
하 사탐개념도 안 끝낫는데
-
의외로 교과외인 것 20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는 교과외입니다. 즉 삼차함수 f(x)=t의 서로 다른...
저도 구=인테그랄~=8 이런 식으로 많이 써요

오.. 역시나 이런 식으로 실수를 방지하는 실력자들이 존재하는군요!!저도 ㅋㅋㅋ 2*답=96 이런거 ㅎㅎ
잉 왜 여기 달렸지
오 전 네모 쳐서 똑같이 하고있어요
오 그 네모의 이름도 지어주고 싶네요.. 고민해보겠습니다
구했네모
나왔네모
딱됐네모
ㅋㅋㅋㅋ "구했네모" 너무 좋은데요?
구했네모! 구했모! 구넸모!
티모^ㅗ^
오 꿀팁 감사합니다... 한번 실천해볼게요...!
위 댓글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분들도 잘 활용 중이라고 하시네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저도 근데 이런거 진짜 많아 틀림 ㅋㅋㅋㅋㅋ 암튼 잘 요긴하게 사용해봐야겠네요

응원합니다!!!이미 다 하고있더라죠 ㅎㅎ
크... 역시 실력자들은 다 하고 있는 것..
그리고 저는 영어나 국어에서 적절하지않은것을 고르시오 할때
않은에 x자 치는데 이런건 별로인가요?
적절한거 적절x 헷갈릴까봐여
제가 학생들에게 제발 하라고 하는 거예요! 마지막에 그 기호 한 번 확인해 보는 게 뼈아픈 실수를 막아주는 부적과 같죠
헷갈릴거 같으면 적절에 세모 치는거 추천
저도 항상 하는 거군뇨 저런 실수는 안하는 이유가 있었군
귀찮다고 안 하는 다른 학생들에게 댓글들 쭉 보여줘야겠어요..!
이게 맞따
이런 방법이....!!

저도 (구)로 표기했었는데 선생님이랑 완전 똑같군요
저도 구 = 3k 이런식으로 먼저 써놓고 해요개념서나 강의에서 찾을수없는 이런 실전 팁들이 정말 큰 가치를 가지는거같아요 잘보고갑니다 ㅎ
우진쌤 풀이에도 구에 네모친거 있더라고요
동구라미 완전 귀엽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현우진이 그렇게 하길래 저도 했는데 좋드라구요
예를 들면
구 = f(2) = 4a + 2b + 3
이런식으로 해놓고
b = 3a + 1 이런 관계식 나오면
구 = f(2) = 4a + 2b + 3 = 10a + 5
이런식으로 미리미리 계산할수있는건 계산해놓고 a값만 구하기..
그러면 마지막에 계신실수하거나 시간압박때문에 머리아플일도 줄어서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