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를 개 못하는 내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604409
수능 국어 1을 찍은 건에 대하여 ,,,
[서론]
이 글을 써야겠다고 마음 먹은 이유
사실 국어 공부 질문이 꽤 많이 들어옵니다.
저는 수학 칼럼러인데 말이죠.
국어에 관한 글은 꽤나 조심스럽습니다.
저는 글을 잘 읽는 사람이 아닐뿐더러, 오르비엔 이미 훌륭한 국어 칼럼러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글 써야겠다고 마음을 먹은 이유는
제가 실력에 비해 국어 성적이 잘 나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전 처음에 전국 모의고사에서 국어가 3등급 후반까지도 나왔습니다.
지금도 온 힘을 다해 집중해서 읽어야 겨우 글이 이해가 됩니다.
한 마디로 글을 못 읽는 사람인거죠.
이 칼럼은
독해력 좋은 사람이 알려주는 '글 잘 읽는 방법'이 아니라,
독해력 딸리는 사람의 '그래도 성적은 챙긴 방법'입니다.
그리고 수능날만 럭키 터진 건 아닙니다. 나중엔 거의 1등급 고정이었습니다.
그동안 제 칼럼을 봐오신 분이라면 알텐데요,
저는 '이걸 공부해라' , '이렇게 공부해라' 와 같은 조언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순전히 수학적인 내용만 전달할 뿐입니다.
제 역할은 딱 거기까지일뿐, 그 이상(공부조언 등)은 제 분수를 넘는 일이라고 생각해왔습니다.
물론 그동안과는 다르게 이번엔 그런 내용이 조금 들어갈 것 같다만, 너무 분수 넘진 않게 잘 써보겠습니다.
또, 이건 어디까지나 제 방법을 소개하는 글이란 걸 잊지 말아주세요.
제가 이걸로 도움을 얻었다는거지, 이걸 하면 누구나 성공한다 이런 건 아닙니다.
그래도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본론1]
'이걸 공부해라'
리트와 기출은 다들 풀고 계시죠?
반면 PSAT는 많이 안 풀텐데요, 이게 진짜 괜찮습니다.
https://psat-bamdori.tistory.com/1406
이건 2011~2023기출문제 링크입니다.
들어가시면
연도마다 이렇게 세 개씩 파일이 있는데요, 이 중에서 언어논리를 보시면 됩니다.
지문은 이 정도 길이고, 대부분은 지문당 문제가 하나씩만 달려있습니다.
난이도는 수능이나 리트보다 더 쉽습니다. 지문 길이 때문에 쫄 필요 없어요.
특히 문제가 허무하게 끝나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풀이보다는 지문 독해에 집중해주세요.
문제가 지문을 다 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공부를 통해 기대하는 효과는 '읽는 호흡'을 늘리는 겁니다.
일단 PSAT 지문이 수월하다보니 한 호흡에 읽을 수 있는 분량이 더 많을 겁니다.
그런데 쉽다고 해서 결코 만만한 글은 아닙니다.
상당히 짜임새 있게 쓰인 지문이 많습니다.
고퀄리티의 난도 낮은 글을 읽다보면 조금씩 본인의 호흡이 길어지는게 느껴질 겁니다.
읽는데에 자신감도 더 붙을거구요.
이 효과를 위해 PSAT만큼 좋은 게 없는 거 같아요.
아래 글은 PSAT에 대해 소개하는 인터넷 글에서 인용해온 부분입니다.
"한 문제를 푸는 데에 1분도 걸리지 않는 PSAT 문제를 풀면 빠릿빠릿하게 문제를 푸는 느낌이 들어서 상당히 쉽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러다보면 아무래도 문제 푸는 재미가 있는거죠."
(출처: https://blog.naver.com/psy02882/221798440635 )
실제로 피셋 풀다보면 되게 재밌습니다. 속도감 있게 공부하는 기분도 들고요.
저는 아침에 잠깨는 용도로도 PSAT를 사용했습니다. 3~5 지문 정도 읽고 나서 제대로 국어공부를 시작했죠. 시간도 얼마 안 걸립니다. 그래도 위에 저 다른 분이 말한 지문당 1분컷은 좀 과장이니까 시간은 너무 신경쓰지 말고 푸세요. 시간이 목적이 아닙니다.
[본론2]
'이렇게 공부해라'
저는 부족한 독해 실력을 '좋은 루틴'으로 매꿔서 1등급이 된 케이스입니다.
일단 이건 제 국어시험 루틴입니다.
[8:40~9:15] 비문학
[9:15~9:30] 산문 2개
[9:30~9:45] 매체와 언어
매체 먼저 풀어야 해서 '매체와 언어'입니다 ㅋㅋ
근데 경험상 여기까지 절대 순탄하게 안 옵니다.
저 세 개중에 최소 하나는 사고가 터져서, 5분 정도 딜레이됩니다.
그래서 보통 9시 50분 쯤까지 저게 끝납니다.
남은 10분 동안은 운문 2 세트를 해결하면 됩니다.
저는 왜 이 루틴을 택했냐면
1. 비문학과 산문은 시간에 쫓기면 안 읽힘. 마음과 시간의 여유를 가지고 읽기 위해 앞에 배치함.
2. 언어 풀다가 말린 적이 한 두 번이 아님. 매체를 못 풀면 너무 아까우니까 매체 먼저 풀어야 함.
3. 운문은 시간에 쫓기더라도 답을 대충 고를 수 있음. 선지 보면 견적 나오니깐. 그래서 맨 마지막은 운문으로 둬야 함.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저에게 딱 맞는 루틴을 완성했고, 점수가 기가막히게 안정화되었습니다.
못봐도 2초반이었죠.
여러분도 시행착오를 많이 겪으면서 좋은 루틴을 무조건 만드셔야 합니다.
특히, 운문을 맨 마지막에 두는 건 정말 추천합니다. 의외로 운문은 시간 없어도 답 낼 수 있어요.
극한의 상황에선 5분밖에 안 남았어도 운문 두 세트 다 푼 뒤에 상당히 많이 맞힐 수 있습니다.
그럼 뭘 기준으로 루틴을 만드냐가 문제겠죠.
처음엔 다양한 걸 시도해보세요.
언문독... 언독문... 처럼 크게크게 잡아도 좋고
저처럼 세부적으로 운문 산문 나눠도 됩니다.
이런저런 루틴을 시도해보시고, 시험 볼 때마다 본인의 실패와 성공을 꼭 메모해두세요.
그 메모를 가지고 루틴을 계속 수정하고 시험하는 겁니다.
그렇게 완성된 여러분의 루틴은
본인의 독해력 부족을 매꿔줄 강력한 무기가 될 겁니다.
물론 애초에 독해력을 높이는 훈련이 선행해야겠지만요.
(그게 본론1 내용이죠.)
[결론]
응원합니다
결론은 딱히 없습니다.
저한테 국어 질문 주시는 분들이 꽤 돼서 한 번 써봤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될 수 있게요 ㅎㅎ
국어 글은 이게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본업인 수학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무민
0 XDK (+1,000)
-
1,000
-
ㅎㅇ 2
-
나는 맥스웰이 싫어요
-
공부하기 싫다 8
ㅋㅋ
-
나도 일하고싶어 9
고졸백수라니
-
심심하니깐 자꾸 여기 오네..
-
존나버티는중
-
왜 공부해도 느는 느낌이 하나도 안 들지
-
발이 시려워 2
밟히실 분?
-
70문제 정도인데, 그와중에 어려운 거는 단원당 몇개 안되니깐 금방 풂... 근데 30000?
-
ㄱㄱ
-
이신혁t 수업 처음들어보는데 다들 복습이랑 숙제는 어떻게 하시나요? 피램군수뉴런범준스블과외3모
-
73점... 겨우 3걸침 왜케 빡쎄ㅜㅜ
-
현역이고 이번 3모 공통 다 맞았습니다 드릴5 정답률 70% 넘게 유지하는데 지인선...
-
편의점에 삼김이 없어 두번째 간 편의점엔 딱 하나 남아있고
-
해설이 문제인데 법전협 해설서 복붙하면 안되잖음 그거 기반으로 내가 새로 써야하는데...
-
손으로 손치고 푸니까 푸는 시간은 60분대에서 80분대로 늘었는데 사설100 나오는...
-
쌩노베 과외는 처음이라 조언 구해요 개때잡으로 공부하고 있다고 하고 수학 3등급...
-
야구장이나 가볼까 18
읏차
-
고민
-
대학교 과별로 같은 고등학교 재학생 1명만 뽑나요? 1
대학교 과별로 같은 고등학교 재학생 1명만 뽑나요?
-
알텍 왔다 0
개념 정립하러 갈게요
-
여자만 그런줄 알았더니
-
벤조디아제핀 투여
-
읽어보니까 과1사1쳐도 상관없고 최저맞출때만 과탐 들어가야하는걸로 이해했는데...
-
칸예 2
내한 또 온다네 07은 죽는다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치한약수도 같이떨어지려나
-
김재훈쌤 들으면서 난 이렇게이렇게 가르쳐야지 다 생각해뒀는데...
-
오 때론 난 망가져 갈지도 모르지 허나 젊음엔 그건중요한게 아니야 0
모든걸 느끼고 싶어한 나잖아 나는 나만의 인생을 사는거니깐
-
독서는 피램하고 문학은 강민철쌤 듣고 있습니다 김승리쌤 KBS가 애니메이션도 있고...
-
뇌절 안오고 풀었다는데 난 보고 잉?? 해서 3의배수 단위로 나열해서 찾음 얜...
-
[속보] 미얀마강진 사망자 700명으로 급증…"1만명 이상 사망 확률 71%" 1
미얀마를 강타한 규모 7.7 강진 다음날인 29일(이하 현지시간) 사망자 수가 약...
-
생명은 개념도 안돌렸고 지구는 내신때 좀 해서 개념 기출 어느정도 된 상태입니다....
-
오 8점이다 9
생각보다는 잘 나왔네
-
엉뚱한 대답하는.. 알바면접볼때 ‘‘전 학원에서 일은 안힘들었어요?’’ ‘‘다른...
-
1.국어 문제를 풀어보려고 하는데 피램 생각의 발단 생각중입니다 이거 괜찮나요?...
-
중간에 자버려서 개늦을거같은데(1시간반쯤…하.. ㅜㅜㅜ) 그래도 들으려고하는데 가면...
-
출튀아직 안해봄 2
곧 해봐야지
-
진짜 저는 요지를 저렇게 파악했는데…걍 수능 열심히 봐야겟당..ㅠ
-
사진 두장 필요하다는데 여권 사진이여야하나요..??
-
과외하러 출동
-
수능샤프 부러짐 4
이거 안좋은 징존가
-
저만 쉬웠나요 등급컷 뇌절오네
-
좃댓다 내일아침수업인데
-
3모 84 1컷 수준입니다 미적분 실전개념 들을라는데 스블/빌드업/알텍/미친개념중이...
-
심전도 개어렵지만 상당히 흥미로움 미국 수의사 분들중에 심장전문의 분들 계시는데 졸멋...
캬 무민 폼 ㅁㅊㄷ
되게 공감가는 글이네요 특히 피셋
수학칼럼 잘보고 잇습니다!!
첫사진만보고 ㄹㅈㄷㄱㅁ치러왔습니다..
내용보고좋아요까지누르고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세부적으로 순서 정한거 저도 한번 고려해봐야겠네요... 맨날 시간에 쫒기면서 독서 풀었는데 이걸 왜 고려 못했지...
오 저거 재종에서 했었는데

밤도리를 아시는군여피셋도 좋은데
04-12시절 기출도 나쁘지않아요
옛기출이나 교육청 기출은 선별이 좀 필요하긴 하지만 좋은지문이 많죠
오
언어마지막 굳
언어 다음
운문 ㅇㄷ
스크랩.
저런게 있는지 몰랏노
혹시 화작선택자도
독서부터 푸는게 좋을까요?

저는 독서가 시간 많을 때 풀어야 풀려가지고 그렇게 했습니다.이거저거 다 해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순서를 직접 찾아보세요
화작 선택자도 화작을 제일 뒤로 미뤄도 될까요? 화작을 그리 잘하는편은 아닙니다.
굳이. 쉬운 거부터 푸는 게 좋지않을까요
제 글을 잘 읽어보시면 언매가 마지막이 아닙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화작을 맨 뒤에 놓는건 별로인 것 같긴 하지만.
본인한테 그게 맞다면 그렇게 해야죠
꼭 이것저것 시도해보셔요
수능 언어를 잘보기 위해 피셋 리트를 손대야하는 슬픔…
개같이 들어가서 인쇄하려고 대기중인
나의 모습.. ㅠㅠ
이렇게 피셋 끝내는 데 기간이 얼마정도 걸리샸나요? 또 하루에 몇지문 정도씩 하셨나요?
보통 하루에 세 지문 정도 풀었는데, 재미들린 날은 6개까지도 풀었습니다. 피셋은 너무 무겁게 접근하기보단, 가벼운 마음으로 읽는 재미+푸는 재미를 느끼면서 하면 될 거 같아요. 하루를 피셋공부로 시작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이구요.
아마 두세달 정도면 끝날겁니당
혹시 언어를 맨 마지막에 풀고 그 전에 은문 푸는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