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9월 전까지의 수학 공부 방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899821
안녕하세요 ㅎㅎ
이제 7월도 거의 다 가고 8월이네요
9월 전까지의 수학 공부 방향에 대해 얘기하려 합니다.
· 재수 과기대 → 오반수 의대
· 21수능, 22수능 국어 백분위 100
· 수학 현역 4등급 → 23수능 미적 96점
1. 기출문제를 끝내자
지금까지 기출문제를 아예 풀지 않은 분들보다는 풀긴 풀었는데 남는 게 없는 것 같다고 느끼는 분들이 더 많을 겁니다.
기출문제에서 남는 게 있으려면 풀이지침을 적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못 풀었던 기출문제가 있습니다.
해설을 보면 내가 막혔던 A라는 부분을 B라는 발상/방법 으로 풀어냈습니다.
이 경우에 이해하고 다시 한 번 풀어보고 넘어가는 게 아니라
풀이지침을 정립하셔야 합니다.
<A 가 나오면 B 를 한다.>
이런 식으로요.
이런 풀이지침은 사람마다 모두 다릅니다.
사람마다 막히는 문제가 다르고 같은 문제더라도 막히는 부분이 다르니까요.
자기가 막히는 부분에 대해서 풀이지침을 적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본인의 약점을 하나씩 메워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중에 기출문제를 복습한다는 건 모든 문제를 다시 풀어보는 게 아니라 적어놓은 풀이지침을 보면서
'아 이 문제는 이 부분에서 막혔었고 이렇게 풀면 됐었어'
이렇게 상기하는 것이 복습입니다.
이러면 복습시간이 아주 많이 단축되죠.
제 풀이지침 중 하나는 <조건식이 나오면 이항하고 나누자> 입니다. 기출문제를 풀면서 많이 나왔거든요.
(원래 조건식 => 변형식)
여러분들이 풀기 힘들었던 기출문제들에 대해서 풀이지침을 적어놓으면 얻어가는 것들이 많을 겁니다.
2. 문제를 많이 풀자
기출문제를 끝내신 분들은 이제 많은 문제풀이를 통해 실력을 끌어올려야 합니다.
많은 문제풀이를 통해 얻는 효과는 크게 두 가지 입니다.
(1) 기출에서 얻은 풀이지침 연습
(2) 새로운 풀이지침 습득
(1)
기출에서 A가 나오면 B를 한다. 라는 풀이지침을 습득해도
다른 문제에서 A가 나올 때 B를 떠올리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본인의 사고를 교정한다는 것이 한순간에 되지는 않으니까요. 그래서 많은 문제들을 풀면서 A가 나오는 상황을 많이 겪어야 점점 B를 떠올리는 것이 자연스러워 집니다.
(2)
N제와 실모 같이 사설문제들을 풀면서도 막히는 문제들에 대해
풀이지침을 정립하시면 됩니다.
기출에서 봤던 풀이지침일수도 있고 기출에서 보지 못했던 새로운 풀이지침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기출에서의 풀이지침은 수능전날까지 계속 복습해야 하는 존재입니다.
반면 사설에서의 풀이지침은 복습할 중요성이 크게 떨어집니다.
많은 문제를 풀기 위해선 복습보다는 새로운 문제를 푸는 게 더 효율적입니다.
9월 전까지는 기출문제로부터 풀이지침들을 정립하고, 사설문제들을 풀며 풀이지침을 적용하는 연습을 하는 기간입니다.
이 두 가지가 잘 되어야 9월부터 수능까지 2개월의 기간동안 아무런 걸림돌 없이 마음껏 문제만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
9월부터 수능까지의 기간은 1월부터 8월까지 만큼, 혹은 그보다 더 중요합니다.
그 기간 동안은 쉼없이 전력질주를 해야 합니다.
본문의 2가지 작업은 일종의 스트레칭 입니다.
스트레칭을 끝내야 마음껏 달릴 수 있듯이
9월 전까지 해당 작업을 잘 마치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궁금한 게 있으시다면 쪽지나 오픈카톡(프로필에 링크)으로 질문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터넷 찾아보는데 확실하게 안나오네요 과탐 원과목임
-
와 ㅅㅂ 0
어제 바로 곯아떨어짐 10시간 잤다
-
학교갈 때 개졸린데 매번 버스타고 자리 앉아서 자면 도착 1정거장 전에 깨는 능력 있음
-
가형킬러 빼고는 기출 봤을때 발상과 풀이가 이제 완전히 떠오름 2
n제 들어가도 된다는 신호겠죠?
-
고민인게 0
집에서 가장가까운 관독이나 독재까지 40분이 걸려서... 너무 오래걸림 이대로 계속...
-
아 시험주 강의 0
ㅋㅋㅋ
-
얼버기 0
시험 가기 전에 공부 해야제
-
ㅇㅂㄱ 4
-
아 ㅅ발 4
지금 일어남
-
너무조아
-
시험 두시간전 0
비상
-
이미지,김범준,정병호중에서요
-
내가 남들보다 늦게 시작했는ㄷ 이렇게 나태해도 ㄱㅊ나… 폰 없애는 거 어케생각애요ㅠㅠ 세상단절
-
존아침 8
늦지 않게 일어났당
-
오늘만새면돼 0
그럼나는자유야
-
생물 과제 물어봤는데 격한 위로를 해주네요
-
안질리네
-
문제만든사람이
-
ㅋㅋㅋㅋ 뭐지
-
각각 67분 100, 63분 100 미적은 전보다 빨라지긴한듯
-
맨맨큐큐 0
매년 예제 복붙해서 출제하시던데 제발 올해도 새내기들의 신뢰를 저버리지 말아주세요...
-
왓!
-
10수능 수1 2
저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만덕)
-
전공 안맞아보인다고 반수하래... 이미하고있는데
-
두시간만 자자 1
하암
-
너무 새롭고 참신한 풀이 거르기
-
댓글이든 뭘로든 시비걸린다 해도 대체 이 사람이 어느 포인트에서 화가 난걸까를...
-
어케나감 ㄹㅇ..
-
벼 락 치 기 2
쉽지않네요
-
어삼쉬사랑 비슷한 느낌의 문제집은 없을까요?
-
지금딱듣기좋은노래네
-
사문 명확성 0
'주로'는 명확성에 위배됨??
-
태블릿으로 문제집 푸시는 분들은 어떤 앱 이용하시나요? 자체 문제집이 있는 곳도...
-
2021 10월 11번인데1번에 ㄱ이 을당이면 을당이 과반수를 먹긴 했지만 을당과...
-
국어 자체 제작 지문-퀄리티 평가좀요(문제는 내일 만들 예정) 2
위대한 과학적 발견은 한 사람의 순간적인 발상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누적된...
-
피부과에 매년 백만 단위로 박은거 저정돈 아니더라도 님들도 피부관리 꼭 하세여 ㅇㅇ
-
한의패기는 전통놀이인듯
-
야구 잘하는법 1
알았으면 프로도전했지 시발
-
사문 한지,사문 정법,사문 세지,사문 지구 사문은 할거구요 2학년때 내신으로 지구는...
-
축구도 그럼 0
분명 정교해졋는데 메시호날두 시절이랑은 비교가안됨
-
섹스
-
황정민이 송지효 드럼통에 넣고 죽이는 장면잇엇는데
-
음악도 발전하면서 낭만이 없어진단 말이지
-
욕 먹을 것 같지만 일단 씁니다.. 먼저 저는 문과 출신입니다 수능점수 기억 잘 안...
-
진짜 밤샐각인데 에어컨없음
-
마구 챱스틱으로 때리기
-
미래의 내가 공부할거야
-
아니꼽다 1
같잖다
깔끔하네요.
감사합니다!
글쓰신 내용 처럼 공부하고 있었네요 ㅎㅎ
좋아요 ㅎㅎ 지금 하시는대로 앞으로도 쭉!
기출문제에 대한 풀이지침은 19~24기출 정도면 충분할까요?
적어요. 몇개년만 수록된 문제집 보다는 전개년을 대상으로 모두 수록 or 선별 수록한 기출문제집으로 진행하는 게 좋아요
N제실모에서 틀린문제 복습하셨나요?
틀리고 해설 보고 이해 하고 다시 한 번 풀어보며 풀이지침 정립해서 적어놓고 다시 보진 않았어요
풀이지침을 보통의 학생이 정립하기는 어려우니까 (그게 된다면 극상위권) 강의를 통해서 큰 틀을 완벽하게 체득하면 된다 생각
보통은 강의를 통해서 배우기 시작하고 이제 본인이 문제 풀면서 약점을 메워나가죠 ㅎㅎ
6모 미적 백분위 98맞은 재수생입니다 근데 요즘 문제를 풀수록 제가 감에 의존하는 풀이가 많다는걸 느껴서 8월동안 수1,2미적 마더텅을 모르는 문제 없이 간결한 풀이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끝내보려고 하는데 좋은 방법일까요?ㅠㅠ
백분위 98 맞을 정도의 실력이신 분이 굳이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풀이 교정을 마더텅으로 하시는 것보단 N제나 실모 계속 푸시면서 조금씩 교정해나가는 것이 더 좋아보여요.
근데 요즘 실모 푸는 족족 60 70점대가 나와서요...ㅠ
이 시기에 마터덩을 계속 파고 있는 건 별로 좋지 않고, 6~70점대 나오더라도 그 점수가 나온 실모의 풀이를 분석하며 교정 작업을 진행하시는 게 좋아요. 그리고 시간 날 때 기출 다시 봐주는 게 좋겠네요. 지금은 사설과 기출을 동시에 하더라도 비중이 사설이 더 높은 게 좋아요.
딱 글에 쓰여진대로 공부하고 있었어요 기출은 다시푼다기보단 다른 풀이방향은 없을지 일관된 논리로 풀고있는지 점검,, 확신을 얻고가네요 감사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돼서 좋네요 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