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 열심히가 어딨어요 결과가 중요하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426931
첫본과 학기 끝나고 방학이라 할거없어서 오랜만에 들어왔네요. 그동안 국어과외도 했지만 고3이 아니라 현재 평가원은 어떤 기조로 흘러가는지 관심을 두지 않았고 본과공부하느라 오르비 들어올 시간도 없었습니다.
학습칼럼은 아니고 그냥 열심히라는 말에 대해 글을 써보고 싶어서요. 슬슬 주변에서 취직준비하는 친구들도 많아지고 다시한번 수능판에 도전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열심히 해도 잘하는 사람때문에 안된다." 혹은 "머리가 딸리는데 어떻게 이기냐" 라는 말을 들을때마다 솔직히 화가납니다. 수능이든 취직이든 사실 열심히는 중요치 않다는건 우리 모두가 잘 알고있어요. 중요한건 그저 결과입니다. 아무리 열심히해도 머리좋은사람이 취직에 성공하고 입시에 성공하면 그사람이 잘하고 그사람이 정답이죠. 그렇다고 열심히하지 말라는게 아니라 우리는 최선을 다하고 열심히 해야 최대한 높은확률로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소리입니다. 그 과정속에서 한번더 깨닫고 실수를 교정하며 다음의 공부를 위해 다시한번 더 노력하는거죠. 처음부터 잘하는사람은 극히 드물죠. 그럼 머리가 좋은사람들은 뭘까요?
그사람들은 우리가 "열심히한다"라고 생각하는 시기보다 더 앞서서 그 수많은 실패를 겪으면서 공부에대한 태도를 교정해왔던것입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어릴때 친구들 분식집에 뭐 사먹으러가거나 피시방가거나 태권도학원가거나 축구클럽갈시간에 수학학원에서내주는 수학숙제하고 영어학원에서 내주는 영어단어암기하고 그렇게 자랐습니다. 학원 선생님이나 부모님께 공부안한다고 혼나는게 두려워서 두려운마음에 공부를했고 이해안되면 나머지공부 시키면서까지 저를 강제로 공부시켰습니다. 그렇게 남들놀때 공부하다보니 어느새 내가 나를 위해 공부를 해야겠다고 다짐한 시기에는 남들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공부를 할 수 있게 되더라구요. 하지만 그마저도 부족했는지 3수를 했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로 수의대에 입학하니 공부잘하고 머리좋고 똑똑한친구들이 많더라구요. 수업 대충듣고도 단번에 이해하고 수업자료읽고 한번에 이해하는 동기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렇지 않아서 그 친구들 놀때 도서관에서 이해하려고 공부하고 암기하고 노력했습니다. 뭐 그렇게 해도 그사람들보다 성적이 낮으면 어쩔수없죠.
즉, 그사람들이 똑똑하고 머리좋다고 한탄하는게 아니라 저사람들이 자라오면서 한 노력들을 인정하기에 제가 지금 더 노력해야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노력하는겁니다.
최선을 다하고 열심히 하는건 당연하죠. 수험생 여러분들이 열심히 하는건 당연합니다. 어딘가에 공부 열심히 했다고, 순공시간 이만큼 채웠다는게 자랑거리가 되는것도 아니고 본인에게 위안이 되는것도 아닙니다. 잠줄여가면서 열심히 해봤자 어릴때부터 노력해온 친구들을 이길순 없습니다(그사람들이 지금도 노력한다는 가정하에).
그러면 그냥 포기하나요? 아니죠 계속 해야죠. 본인이 의대가고싶고, 스카이가고싶다면 재수든 3수든 4수든 하다못해 10수해서라도 가면 되는거죠. 난 5수, 6수해도 안된다면 어릴때 그기간만큼 놀았다는걸 말해준다고 생각합니다.
포기하지 마세요. 대학교입학이 결정되는 그날까지 그냥 끝까지 하는겁니다. 본인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면 만족할만한 대학이나 성적에 맞는 대학을 가면 되는것이고 만족하지 못한다면 한번 더 공부하셔야죠. 본인이 어렸을때 노력하지 않은걸 사회탓, 머리탓하지말고 논만큼 더 노력하셔야 합니다. 머리좋은사람들이 괜히 머리좋은게 아니고 현역으로 한번에 좋은 대학 가는사람들이 노력없이 운으로 간게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냥 하셨으면 좋겠어요 제발. 그냥 잘하고 결과 좋은사람이 높은대학 가는거고 그 방법 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다는걸 우리 모두가 알잖아요. 인스타로 다른사람들 부러워하지말고 본인이 그 사람들보다 높은 위치에 올라가야 겠다는 마음가짐으로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저또한 집안이 부유하지 않습니다. 그저 시골에서 평범하게 살 정도입니다. 인스타로 부자들 사는거보면 부럽죠. 하지만 그걸보고 환경탓하지않고 나도 어떻게든 저사람들위치에 올라서서 부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뿐입니다. 그냥 열심히 합시다. 그만탓하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작수 27282930 다 틀렸었습니다 이제 다시 수능 준비하는데 미적분 개념 잘...
-
강의하는 인강이 별로 없는거같음 제대로 구조 보고 해석 정확하게 할려면 문법...
-
킬캠 x회 96 (68min) 28번에서 너무너무 당황해서 8분이나...
-
1회 통통이 76점... 20,22번은 채점하자마자 뭘 실수했는지 바로 보임ㅜ...
-
특정 지문만 유독 안뚫리는건 그냥 그 지문에서 요구되는 능력치가 전반적으로 부족한거랑 같은건가요??
-
위에 2개 유형 보통 뭐라고 부르냐 Ex) 막전위, 근수축, 가계도
-
30번 하나 틀림
-
2컷따리 실력인데 한완기 교사경 가지고 있어요 굳이 n제 새로 하는거보다 교사경...
-
대 숭 실 0
-
평가메타네 이런... 전 중립적으로 씀
-
낮1 높2 정도면 사설 퀄 평가할만도 하지 않나... 저정도 점수대가 실전n제,...
-
수학 풀 때마다 6
틀릴까봐 너무 무서움 08이고 아직은 틀려도 되는 시기인 걸 아는데 사고방식이나...
-
아 머해 2
ㅡㅡ
-
내가 풀어서 맞음 -> ㅅㅌㅊ 내가 숏컷으로 풀어서 맞음 -> ㅆㅅㅌㅊ 내가 개미친...
-
일단 1. 평가원보다 꼼꼼함이 필요 2. 뇌피셜로 굴리면 ㅈ됨 3. 3모 5모와는...
-
국어 독서 본문보고 아 이거 빡센디 했는데 지문에서 힘을 쫙뺌 문학은 쉬웠음 수학...
-
아무도읽기만하고 댓글이없나요..... ㅜ ㅜ 현역 살려
-
김승모 개어렵네 1
진짜 망햇는데어카짘ㅋㅋㅋ 점수 이렇게낮게뜰줄몰랏음
-
별 상관없을까요?
-
근데 퀄리티를 따질 필요가 없음
-
연고대 3회합격자 연상논술입니다 (연경영, 연심리, 고경제) 오늘 칼럼은 '논술...
-
피곤해 1
자살
-
시놉시스 4회 1
46점(1) 개념 3분 50초 CC 4분 50초 GD 1분 28초 근수축 4분 8초...
-
기출 논리는 다 아는 상태일거고 그거에 기반해서 퀄 따지는거일텐데 재작년인가...
-
언매 86 확통 93 경제 43 사문 29 등급 예상 좀 사문 왜 이러냐
-
뉴런 다 끝났는데 이제 드릴하고 나머진 실모만 조지면 될라나?? N제를 더...
-
장재원 수강생이고 현역입니다 3모 88이고 5모 92입니다 저도 허수라 할 말은...
-
현재 삼수중이고 체대입시 하고 있습니다 같이 잡아주면서 할 스메 구합니다....
-
내가알던지구과학이 아니야
-
파과 봄
-
현역이라 내신 챙기면서 해야되는데 매일 점심시간 투자해서 기말 전까지 기하 개념...
-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껴야지 뿔테 왤케 이쁘냐
-
아이디어 2
수1 파데 킥옾 기생집 2,3점 끝내고 기현쌤이 아이디어 바로 넘어가래서...
-
안녕하세요 현역이고 정시 파이터인데 현재 스타팅블록 수강중이고 지금까지 한거 정리해...
-
인셉션 독해 0
다시듣는거 비추인가요 뭔가 후루룩하고 넘긴거같아서 교재 다시사서 들으려고하는데...
-
3합10 13
제 친구가 3합10 맞춰야된다는대 어느정도 공부해야 나오는건가요?? 수학은 4등급만...
-
내 프사 4
누군지 아는사람
-
젠지 파이팅 0
가자가자
-
과외 쉬는시간 12
학생한테 카드 주고 마실 것 좀 사오라고 하고 오르비하는 중
-
과제용인데 괜찮은 거 여러 개 만들었어요. 영상에 쓸거라 좋은 걸로 고르려 해요 A B C D
-
동덕여대 사태때 변호사들 다 나와서 손해배상책임 어쩌고 인생 큰일났다 어쩌고...
-
평소에 수학 4~5 나오고 작수는 4떴어요 최저만 맞추려다가 불안해서 수학공부 지금...
-
밝기 10000배 차이 맞나요?
-
무려 고3 9모까지…. 전문대인줄
-
김승모 화작 0
어떤가요? 저는 화작만 20분 걸렸는데;; ㄹㅈㄷ
-
서프 언제 치지 0
타이밍을 못잡겠네...
-
핏자시켜먹으까 8
-
수특인디 (가)(나)를 판별하는게 (나)의 서울지표를 보고 (가)보다 서울지표가...
-
공모 이게되네 ? 대 정 환 (사문이에요)

그쵸? 사실주저앉아있느니 조금이라도 더 하는게 낫긴하죠
저는 운칠기삼이라고 생각하긴 하는데
일단 기3부터 채우고 진인사대천명하는게 합리적이다 싶긴 해요
운이 온다고 해도 준비가 안 되면 그걸 받아먹을수가 없으니깐
그쵸. 공부 뿐만이 아닌 모든 분야의 노력은 100%의 합격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최대한 합격의 확률을 높이는데 있죠. 컨설팅 선생님, 학교선생님, 학원선생님 모두 합격할지 안할지 장담을 못하니까요. 그저 본인이 하는데 까지 해야죠. 여러번실패하면 여러번 실패하는대로 그 과정속에서 배워야하고 하는데까지 끝까지 해보고 안되면 그땐 인정하고 물러서야죠.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로또되게해주세요
7 12 16 24 30 34
저도 종강시켜주세요 제발 진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