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1-05-23 02:40:26
조회수 2,486

오르비 형누나들 하루에 몇문제 풀어야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705379




물리 1은 독서실에서 하루종일 푸니깐, 나는 40문제 밖에 못풀었다.—


겁나 이해가 안되는게, 물리2는 하루에 많이 풀면 70문제도 풀고, 보통50문제 이상은 풀었는데, 왜 물리1은 50문제도 못푸는지 모르겠어. 


체감 난이도는 확실히 물리1이 나는 더 쉽다고 생각되는데,


물리2는 뭔가 비슷한 유형의 패턴이 게속 반복되서, 문제를 어떤문제는1~2분안에 풀고, 어떤문제는 20~30분 고민하고 풀고 그랬는데, 


물리1은 문제가 좀 허접스러워 보이는데, 세부적으로 이것저것 생각이 왜 많아 지는지 모르겠다. 오르비 고수 형 누나들은 평균적으로 과탐 공부하면 하루에 몇문제 까지 푸는거 가능한거임? 


심지어 생물 유전은 하루에 킬러 10문제 밖에 못풀었어. 화학 킬러도 하루에 진자 10개 도 못풀고 집에 간적 많은데, 물리는 희한하게, 킬러가 없는거같아. 그냥 아무리 고민 많이해도, 평균적으로 20분 내로 고민이 다 끝나는데, 원래 물리가 이런 과목 이였음? 


피트 물리 보면, 진자, 물리1 문제 10개 짬뽕한 긴 풀이 과정에 복합개념 들어간거 보면, 문제가 정답률이 14%짜리 수험생올킬한  문제들도 있어서, 어려운 문제 분명 많은데, 왜 수능 물리1/2는 화1/2나 생1/2처럼 그 과목을 대표하는 킬러가 도대체 어디 있는거임? 


어쩌다가 물리 과목이 이지경으로 망가진거임? 아님 물리는 이미 처음부터 망가져 있던거임? 그냥. 밤에 궁금해서 질문해봤어. - - 어우 이제집가서 잠이나 자야지. 졸린다.


그리고, 


심지어 내가 할리데이랑 대학물리학 책 연습문제 찾아 봤는데,


원래, 화학에서 양론급 난이도 하고 생1에서 유전급 난이도를 대표하는물리 문제가 출제 될러면, 여기 있는 대학물리학 문제는 최소 이정도 구준의 역학문제가 나와야 하는데, 무슨 죄다. 도르래도 굴러가지 않는 고장난 도르래 가져와서, 양쪽에 물건 올려놓고, 계산 하는것만 물어봐. 


그냥. 같은 과탐 과목인데, 너무 물리가 언밸런스 하게 킬러 문항이 하나도 없으니깐, 뭔가, 좀 풀면서, 이상하더라고. 


원래 쉬운개념문제 하고 응용문제 같이 풀어야 실력이 쭉쭉 올라가는데, 그냥 좀 이해가 안되. 너무 화학 양론하고, 유전이 나한태 임팩트가 커서 그런가 모르겠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