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oa12 [948965]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1-04-20 13:40:37
조회수 494

2016 생2 수능 13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264034




형들 나는 ㄱ 보기에 대한 해설을 보고, 이거 선지분석이 틀린거 같아서, 형들의 의견이 궁금해서 질문 했어. ㄱ선지분석 해설을 읽으면, 


마치, 프로모터 결실 돌연변이 대장균이 젖당을 먹는 상황에서. 


젖당이 투과효소를 통해 세포막에 유입되어서, 알로락토오스로 전환되고, 이게 항시 발현되어있는 조절단백질과 결합하여, 전사를 유도한다가 맞는 설명인데(중간 과정 생략함, 이해 안되면, 전 오페론문제 보심됨), 마치 해설은 어떤 느낌이냐면, 


젖당이 있는배지에 있기 때문에, 억제단백질을 생성하는 인과관계로 해설이 써있어. 이거는 젖당이 있든 포도당이 있든 음식이 아무것도 없어도, 그냥 억제단백질은 항상 발현되어있는데, 


내가 언어 6등급 이여서 그런데. 이거 내가 이해한거 맞지? 

나는 선지분석을 이렇게 이해하고 있어서, 이거 완전 틀렸다고 생각하거든. 형들은 어떻게 해석하고 생각하는지 궁금해. 


그리고, ㄴ 보기 해설도 보니깐 이것도 틀린거 같아. 포도당이 없고, 젖당이 있는 배지에서, 젖당분해효소를 생성하는게 아니라, 


젖당분해효소는 항시 구조유전자를 통해서 약간 발현이 되어있어. 그니깐, 젖당만 있다는 이유로, 구조유전자가 생성된다고 설명하면, 틀린  설명인거 같아.  이말에 근거는 형들이 영어울렁증 있어서, 싫어하는 형들 위해서, 내가 유전학원론 simons 책을 보면, 내가 빨간색으로 줄 그어 놨거든, 그리고 내가 한글로 해석 까지 해놨어. 여기 Lac Z Y A는 모두 유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항시 발현 된다고 써있거든.


그래서, 나는 이 해설이 틀린 설명이라고 생각했어. 형들의 의견이 궁금해. 유도되지 않은 상태를 나는 유도자인 알로락토오스가 없는 상태라고 해석 하면 될거야. 형들은 어떻게보는지 궁금해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게 맞다 · 790896 · 21/04/20 13:45 · MS 2017

    인과관계로 해석하지 말고 대장균 I는 모든 상황에서 억제 단백질이 생성되기 때문에 문제에서 제시된대로
    포도당이 없고 젖당이 있는 배지에서(도) 억제 단백질을 생성한다 라고 해석하면 될듯

  • Rinoa12 · 948965 · 21/04/20 13:58 · MS 2020

    제가 또 수정해서 ㄴ 보기에 대한것도 올림

  • 이게 맞다 · 790896 · 21/04/20 14:01 · MS 2017

    저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같은데, II가 모든 경우에 대해서 젖당 분해효소를 생성하는건 맞는이야기인데 답지에선 그냥 그 경우에서도 생성한다는걸 이야기하려고 그렇게 썼다고 생각하면 좋을거같네
    아무래도 "모든 경우에 대해서 생성하므로 이 경우에도 생성한다" 이렇게 썼으면 더 좋을 수 있긴하겠네!!

  • Rinoa12 · 948965 · 21/04/20 14:34 · MS 2020

    아하. 모든 경우이지만, 그냥 이 경우도 생성한다. 이렇게 생각하니 확실히 무슨말인지 알겠어요. 제가 정확하게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pinpoint 해주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