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기준 수약의치한+변 매출, 영업이익, 1인당 영업이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213331
지난 글
>진료과별 급여 매출과 평균 매출 https://orbi.kr/00036210706
>진료과별 매출, 영업이익, 1인당 영업이익 https://orbi.kr/00036210595
>자동차 보험의 영향으로 한의원 매출이 달라졌다고 하여 2018년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보건의료인력 수급추계 https://orbi.kr/00036208301
>개원 수입과 전문직의 소득 https://orbi.kr/00033669614
주의사항
여러분이 버는 돈은 아닙니다. 벌 돈도 아닙니다.
1인당 영업이익은 평균이라 상당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소당 영업이익을 보시는게 (정신건강에) 나을수도 있습니다.
동물병원은 매출이 제대로 잡힌게 아닌거 같으니 이걸 그대로 믿어버리시면 곤란합니다.
변호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통계엔 평균 소득이 월 1,700만원 정도로 나옵니다. 개업매출은 아니지만 평균 소득이 저정도라는걸 보여줍니다.
요약
평균 영업이익은
의 치 한 변 약 수
중위 영업이익은
의 치 한 약 수 변
1인당 평균 영업이익은
의 치 변 (변) 약 (변) 수
1인당 중위 영업이익은
의 치 한 약 (변) 수 (변)
1인 원장 기준 평균 영업이익은
의 치 약 한 수
1인 원장 기준 중위 영업이익은
의 치 한 약 수
일반의원을 100으로 잡았을 때
1인당 평균 영업이익 // 중위 영업이익
일반의원 100 // 100
동물병원 17.1 // 21.2
약국 35.3 // 42.2
치과의원 75.1 // 98.6
한의원 54.5 // 81.4
변호사 30.9~61.9 // 14.1~28.3
3인 이하(=1인 원장) 기준
평균 영업이익 // 중위 영업이익
일반의원 100 // 100
동물병원 27.6 // 21.1
약국 58.3 // 50.9
치과의원 81.4 // 81.7
한의원 56.3 // 58.6
https://www.dailyvet.co.kr/news/practice/companion-animal/134941
이 그림이 이해하기 쉽게 잘 나타냈네요
2020년 기사이고 2018년 자료입니다
업장당 전문직 종사자 수(수의사, 약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는 https://orbi.kr/00036210595를 참고했습니다.
업종별 | 평균 영업이익(연간) | 중위 영업이익 (연간) | 평균 영업이익 (월간) | 중위 영업이익 (월간) | 업장당 전문직 종사자 수(수의사, 약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 전문직 1인당 평균 영업이익 (월간) | 전문직 1인당 중위 영업이익 (월간) |
---|---|---|---|---|---|---|---|
동물병원 | 5,208만원 | 3,600만원 | 434만원 | 300만원 | 1.55 | 280만원 | 193만원 |
약국 | 9,794만원 | 6,500만원 | 816만원 | 541만원 | 1.41 | 578만원 | 384만원 |
일반의원 | 2억 9,948만원 | 1억 6,400만원 | 2,495만원 | 1,366만원 | 1.5 | 1,633만원 | 910만원 |
치과의원 | 2억 1,378만원 | 1억 5,100만원 | 1,718만원 | 1,258만원 | 1.4 | 1,227만원 | 898만원 |
한의원 | 1억 1,176만원 | 8,200만원 | 980만원 | 816만원 | 1.1 | 890만원 | 741만원 |
변호사 | 1억 2,133만원 | 3,100만원 | 1,011만원 | 258만원 | 1~2명으로 추정됨(종사자 수 평균 6.35 중위 3) | 1,011만원 /505만원 | 258만원 /126만원 |
종사자 3인 이하=1인 업장 기준
업종별 | 평균 영업이익 (연간) | 중위 영업이익 (연간) | 평균 영업이익 (월간) | 중위 영업이익 (월간) |
---|---|---|---|---|
동물병원 | 3,257만원 | 2,200만원 | 271만원 | 183만원 |
약국 | 6,853만원 | 5,300만원 | 571만원 | 441만원 |
일반의원 | 1억 1,751만원 | 1억 400만원 | 979만원 | 866만원 |
치과의원 | 9,566만원 | 8,500만원 | 797만원 | 708만원 |
한의원 | 6,624만원 | 6,100만원 | 552만원 | 508만원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곧20살되는 예비재수생입니다. 제가평일에는 공부하고 주말에는 운동을 하려고...
영업이익은 매출에서 진료비용, 세금 등등 제하고 개인이 가져가는 순이익으로 생각하면 되나요?
http://www.dentalnews.or.kr/news/article.html?no=23268
경제 총조사 관련 기사인데요
'영업비용 역시 임대료, 인건비, 각종 의료장비 및 재료 구입 등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데 사용된 모든 비용을 말하며,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영업비용을 제외한 순이익을 뜻한다.'
라고 나오는데 개인의 세금은 어떻게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순이익에서 종합소득세를 내야 하는데 그 계산상에서의 순이익이 영업이익과는 아마 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과세표준 8800만원 이하 24%, 1억 5천만원 이하 35%, 3억원 이하 38%가 붙습니다.
과세표준으로 잡히는 금액은 아마 이 글의 영업이익은 아닌거 같은데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그렇다고 이 글에 명시된 영업이익이 진짜 집으로 가져가는 돈인지도 모르겠네요.
https://yourtime.tistory.com/38
이 글도 참고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blog.naver.com/psj2352/220916413460
이것도 참고해보세요. 여기 매출대비 세율이 나오네요.
수의사 월200썰이 사실이군요...
ㄷㄷ
안턴 1년차도 그거보다 많이 받는데 개원 월 200이 사실일리가요..
인턴들이 원장보다 많이 벌다니 ㄷㄷ 동물병원 원장들은 아낌없이 퍼주는 자선사업가들이네요
맞습니다
동병원장 월 300으로 합시다..알려져봤자 좋을거없어요ㅋㅋ안그래도 매출인증짤 퍼져서 욕먹는데
거건 비급여 항목을 뺀 정도 인가요?
근데 애초에 동물병원에 급여가 있나요?
그냥 탈세 많이해서 저런 통계가 나오는 건가요?
6천인가..? 저도 본거 같네요
1인원장으로 페닥1명두고 카드매출만 6천이상인 짤인데 현금까지하면 더되겠지만..
그정도는 상위권 같긴하다만 sns 각종커뮤니티에 다퍼져서 욕얻어먹고있죠
영업이익률 10%만 잡아도 800이네요 ㄷㄷ
동물병원 1인원장 시스템은 보통 영업이익 35%잡으십니다
치과보다 낫네요
치과는 1인 월매출6천이상이 극도로 평범하고 매출 안나오는 병원 수준이지만 동물병원은 1인원장으로 6천이상이면 상위권이라고 생각합니다ㅋㅋ
치과가 월매출 6천정도가 매출이 잘안나오는 정도인가요?? 정말 모르는 수험생이라..궁금해서..
기사를 보니 18년 기준 월매 5,462이 평균이네요
반수마렵다
다른 메디컬에 비해 수의사 매출이 많이 부족하네요
아마 잡히지 않은게 많지 않을까 싶어요
보험 적용되는 치료가 적어서 그런가요?
적은게 아니라 없죠
동물건강보험 ㄷㄷ

화작에서 관련지문을 본것같아서 우리나라도 있는줄사보험은 있겠지만 소득의 투명성과는 관계 X에요
진짜 정확히 입결순이군요
평균의 오류가 있기 때문에 자기의 상황에 맞게 가야지 입결따라 갈 건 없다고 봐요ㅎㅎ예를 들어 자본이 빠방한 집이라면 편하게 살려면 약국이 최고인듯..
근데 약국은 을의 입장이라는게 단점이라더라고요...
하지만 메디컬 빌딩의 소유주라면...?
자본 빵빵이 그정도인줄은... ㅋㅋㅋ
빌딩 소유주면 그냥 의치한해서 병원차리는게 낫죠ㅋㅋ
약국하는게 낫죠... 약사가 어딜가서 무시당하지도 않고... 개원하고 나면 빡센데...
크흠 ,,, 이래서 내가 제주수를 안가려고하는거...
보험이 아예 없다보니 숨은 돈도 많다고 생각 됩니다
주위 동병 분들이 다 최상위는 아닐텐데 경제적으로 여유로운것 보면.
저통계는 수의사 수입 전성기때도 통계상 월150이라고 나온 통계ㅋㅋ
그죠? 저도 이상하다고 생각해요ㅋㅋ
보험이 아예 없으니.. 또 동물병원은 용품따로 진료따로 사업자를 내기도 합니다ㅋㅋ
저통계 대로라면 변호사도 월 200대군요..
다들 개인사업자다 보니 절세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통계는 완전 다를거 같습니다ㅎㅎ의치한약은 그래도 꽤 잡힌걸로 봐야할듯 하네요
글 내용 일부 수정했습니다
19년에 kb 중소기업 고객부에서 평균낸 자료 이써요. 수의사는 그쪽이 정확한듯
제가 쓴 글 중에 있겠네요
지금 가져오신 건 소동물 대동물 구분지은게 아니어서 별 의미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동물은 현금거래가 대다수고요
중소기업 고객부에서 잡힌 평균은 원장 월250이던데..
ㅋㅋㅋㅋ요새 제 동기들 1년차 수의사도 300 받고 취직하는데 원장이 1년차보다 못번다는 대환장통계
치과의사랑 첫월급이 같네요
치과의사는 월급 상승률이 장난 아니잖아요 6개월마다 인상되던데 덜덜
ㄹㅇ 인정
통계대로면 1년차 인턴이 원장 월급쥐어줘야죠.. ㅋㅋㅋ
동물병원 영업이익률이 타 의원에 비해 터무니 없이 낮은걸보면 경비처리를 과하게하거나 신고가 잘못된 것 같네요
전문직들은 저소득에 경비처리도 고려해야죠 통계자체는 비급여도 전부 포함이네요
변호사는 근데 진짜 하방이 많이 무너진듯...
아버지 주변 분들만 봐도...
저희 부모님도 법원 쪽에서 근무하시는데 변호사 많이 힘든 분들이 많다고 하더군요
수의사는 의치한약과 달리 건강보험과 연계돼있지 않아서 매출 올리는게 다른 자영업자랑 마찬가지로 투명하지가 않음
개이득인거지
개이득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