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과별 평균매출과 급여매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210706
참고할 글
개원비용과 과별 수입 https://orbi.kr/00035839939
개원수입과 타직종 소득 https://orbi.kr/00033669614
특히 이 글에는 없는 진료과별 매출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진료과별 매출, 영업이익, 1인당 영업이익(약국, 동물병원 포함) https://orbi.kr/00036210595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66181
2020년 기사이고, 2019년 자료입니다.
여기서 진료매출은 급여항목에 대한 매출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비보험진료에 대한 매출은 포함이 아닙니다. 따라서 총매출과 비교했을 때 보험위주의 과들은 많은 차이가 많지 않을 것이고 비보험위주의 과들은 차이가 많이 날 것입니다.
12년 자료인데 아래 자료를 토대로 의원급은 매해 9.5%의 매출 성장을 보인다고 보면
2015년 기준 월별 매출
정형외과 7,954만원
안과 7,7325만원
재활의학과 6,685만원
이비인후과 4,070만원
가정의학과 3,161만원
입니다.
http://www.dentalnews.or.kr/news/article.html?no=23268
2019년 기사이고 2010, 2015년 자료입니다.
치과의원의 경우 매 해 약 9.2%씩 매출이 증가했다고 보면 2019년의 기대 매출은 6,853만원 정도 됩니다.
한의원의 경우 매 해 약 8%씩 증가했다고 보면 2019년의 기대 매출은 3,618만원 정도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매출이 매 해 저정도로 상승하지는 않았으므로 정확한 비교는 불가능합니다.
2020년 경제총조사가 2021년에 진행되고 21-22년 사이에 발표됩니다. 그때 또 추이를 관찰할 수 있겠습니다만 코로나때문에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네요.
http://www.seminarbiz.kr/news/articleView.html?idxno=11945
2019년 기사이고 2017년 자료입니다.
치과의원의 2017년 의원당 급여매출이 월 1,500만원 정도입니다(급여비용+본인부담비).
2017년의 예상 치과의원당 매출액이 월 5,272만원이니 26%정도 됩니다. 그러나 기사에서는 4,000만원을 월 평균 매출액으로 잡고 총매출대비 급여매출이 37.5%라고 추정하였습니다.
http://www.dentalnews.or.kr/mobile/article.html?no=29361
21년 기사이고 2020년 자료입니다.
출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심사실적 기준 2020년 상반기 진료비’ 통계지표
입니다.
위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2019년 월 평균 매출 추계(만원) | 2020년 월평균 매출 추계(만원) | |
---|---|---|
급여매출/총매출= 37.5% | 5,621 | 5,421 |
급여매출/총매출= 26% | 8,107 | 7,819 |
매출 성장률 = 9.2% | 6,853 | 7,438 |
그러나 어디까지나 추계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습니다.
사견
*급여 매출이 높은 과들이 하방과 안정성 보장이 잘 되는거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치과의 경우 급여 비율을 높이려고 노력 중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된거임? 아직까지 아프진 않음
감사합니다 잘 읽어보겠습니다
이것만 보면 전문의 개원 영업이익과 치과 개원 영업이익이 월 200정도 차이일뿐
1900vs1700정도 차이인거같은데 치대는 전문의를 안따도 이정도인건가요? 수련 안받아도 의대 중간과 이상인거네요?
어디까지나 '통계상으로' 그리고 개원vs개원을 했을 때 영업이익면에서는 그렇게 보이는데 의원은 과별로 된게 아니라서 비교가 어려운 점이 있고 평균이라는 점에서 비교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https://orbi.kr/00036210595
이 글이 좀 더 보기 나으실거 같고 19년 자료로 좀 더 최신이긴 합니다만 자료가 정확하게 나온건지는 모르겠습니다. 1인당 영업이익을 추정했지만 진료과별 의사 종사자 수는 통계가 없어서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