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계획만 세우고 있다면 한번 와보셔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020124
안녕하세요, MENTOR 이종현입니다.
어제 업로드 된 2022학년도 예시문항 미적분과 기하 칼럼을 끝으로 주예지T X MENTOR 모의평가 1회 배포 전까지 2021학년도 수능과 2022학년도 예시문항 전 과목 분석 칼럼을 쓰겠다는 저희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막판에 헐레벌떡 마친 느낌이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ㅎㅎ 퀄리티는 매우 우수하죠?)
주멘 모의고사 1회 배포를 앞두고 매우 설레는 마음으로 시간을 보내다가 며칠 전에 한 학생에게 이런 말을 들었습니다.
이 학생에게 십여 분 동안 해준 이야기를 여러분께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학생뿐만 아니라 상반기에 저를 거쳤던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해주었던 말이기도 합니다.
그냥 생각 없이 하는 말이 아닙니다. 제 경험과 반성, 그리고 그동안 보았던 학생들의 모습에서 비롯한 현실적인 조언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세부 계획을 세우고 계신가요? 당장 지워버리세요.
정 계획을 세워야 한다면 월별 계획, 분기별 계획을 세우세요.
너무 극단적인가요? 하지만 이게 제 의견입니다.
다음은 제가 아는 사람이 보냈던 수험생활의 일부입니다. 제 얘기는 절대 아닙니다.
나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남들처럼 예쁜 플래너 사서 계획 세워봐야지!
이왕 계획 세우는 거 널널하게 세우지 말고 한번 빡세게 해보자! 이 정도도 못하겠어?
ㅋㅋ생각보다 쉽지 않군.. 좀 수정하자..
그래도 가끔씩 이렇게 다 해내니까 조금 뿌듯하긴 하네...ㅎ
흐음.. 또 수정.. 원래 다 이런 건가...?
요새 좀 나태했던 거 같아. 조금 더 빡세게 잡고 열심히 해보자!
조금 밀린다고 문제는 없겠지..? 일단 이거 못한 건 다음으로 미루자..
나 진짜 이것밖에 안되는 건가... 실망스럽네...
아오 짜증나ㅡㅡ 도대체 수정만 몇 번째야?
못해먹겠다ㅋㅋㅋ 그냥 개썅마이웨이로 간다!!!!!
분명히 말했지만 그냥 아는 사람 이야기입니다. 앗, 여러분 이야기랑 비슷하다고요?
사람이기에 우리는 욕.심.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세우게 되겠죠.
실패하면? 짜증이 나고 화가 나기 시작합니다. 나아가 심각한 스트레스와 자기 혐오까지...
악순환의 무한 반복입니다.
물론 어떤 학생들은 계획을 세우는 것도 능숙하게 잘하고 계획을 지키는 것 역시 문제 없이 해낼 것입니다.
여러분이 그 어떤 학생인가요? 그렇다면 여기서 창을 닫고 다시 공부하러 가셔도 됩니다!
어떤 학생이 아닌 대부분의 학생들은 아래 내용을 한번 읽어보세요. (모든 학생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란 점 참고해주세요.)
지금은 공부의 질이나 효율보다 '양'이 훨씬 중요한 때입니다.
어차피 N수생이 아닌 고3 학생이라면 완성도 높은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고,
설령 그 방법을 직간접적으로 터득했다고 한들 제대로 해내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아직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계획이라뇨?
아마 한 달에 몇 번씩, 아니 일주일에 수차례 계획을 수정하게 될 것입니다.
혹시 계획 수정을 10분만에 해낼 수 있나요? 아니요. 여기서 몇 시간을 날리게 될 겁니다.
(저 위 학생은 하루 종일 걸린다고 하더라고요^^ 정말 속 터질 뻔했습니다^^)
지금은 계획을 세우고 수정하는 시간조차 매우 아깝습니다.
차라리 그 시간에 독서 지문 분석하고 수학 문제 풀고 영어 단어 암기하는 게 훨씬 낫지 않을까요?
혹자는 그런 과정을 통해서 배우는 게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네???
여러분은 지금 몸과 마음을 닦는 수련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입시를 위한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잘 생각해보세요.
위에서 말한 것처럼 지금 시기에 중요한 것은 책상에 오래 앉아서 많은 양의 공부를 '해치우는 것'입니다.
그래서 세부 계획을 세우는 것 대신 이것을 제시해볼게요.
자는 시간, 밥 먹는 시간, 가족 또는 친구들이랑 보내는 시간, 이동 시간, 쉬는 시간 등을 계산하면 대충 하루에 공부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이 나올 것입니다. 이를 10시간이라 가정해볼게요.
국어 4시간 / 수학 3시간 / 영어 1시간 / 탐구 2시간
이렇게 본인의 학습 상태나 우선순위에 맞추어 과목별로 투자할 시간을 정하세요. (요일에 따라 차이를 둬도 좋고요!)
별도의 플랜 없이 정해진 시간 동안 해당 과목 공부만 하는 겁니다. 이것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해요.
그래도 정 불안해서 계획을 세워야겠다면 다음과 같이 월별 계획 또는 분기별 계획을 세워보세요.
ex1) 2월까지 수학Ⅰ, 수학Ⅱ 개념 인강을 완강하고 3월부터 미적분 개념 인강 듣기
ex2) 2분기에는 전 과목 8개년 기출문제 2회독 하기
위 계획을 초과 달성하면 '땡큐'고, 달성 실패하면 미달된 부분은 다음으로 미루면 되죠!
이렇게 수개월 동안 충실하게 공부한다면 여름 시즌이 되었을 때, 혹은 그 이후가 되었을 때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조금씩 감이 생길 것입니다.
이때 세부 계획을 세워도 늦지 않습니다.
세부 계획은 공부하는 방법을 깨닫고 공부 습관이 몸에 올바르게 베었을 때 엄청난 시너지를 발휘할 것입니다.
물론 그전까지 세부 계획 없이 공부했던 게 잘 맞았으면 수능 때까지 그렇게 하면 되는 거고요!
아무튼 그때까지는 '양'을 채우세요.
독해력이 뛰어난 친구들은 파악했겠지만 저는 절대로 계획을 세우는 것 자체를 부정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그럴 자격도 없고요ㅋㅋ
다만 지금 시기에 고3 학생들이 체계적인 학습을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잘 알기에 악순환의 반복을 미리 차단하고자 드리는 말입니다.
계획 때문에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글 마치겠습니다.
효율적으로 공부하려고 하지 말고 시간을 효과적으로 보내기 위한 고민을 해보세요!
내일 공개될 주예지T X MENTOR 모의평가 1회가 여러분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을 드릴 수 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2021학년도 수능 & 2022학년도 예시문항 분석 칼럼 -
2021학년도 수능 수학Ⅰ 바로가기
2021학년도 수능 수학Ⅱ 바로가기
2021학년도 수능 확률과 통계 바로가기
2021학년도 수능 미적분 바로가기
2022학년도 예시문항 수학Ⅰ 바로가기
2022학년도 예시문항 수학Ⅱ 바로가기
2022학년도 예시문항 확률과 통계 바로가기
2022학년도 예시문항 미적분 바로가기
2022학년도 예시문항 기하 바로가기
좋아요 ∪ 팔로우 = 수능 대박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쪽은 비 맞지 않나 사이좋게 붙으면 괜찮을려나
-
난 윤석열에 어느정도 기대를 하긴 했음 비록 선거과정에 좀 이상한 짓을 많이...
-
인생망한거같다 0
고1때부터 정시선언하고 나댔다가 학교 다니면서 우울증,대인기피 심해지고 수능은...
-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영혼까지 끌어 부동산 올인해야하는 이유 3
오늘이 최저점임 이재명은 합니다
-
이짤아는사람 6
.
-
한창 엔저때는 ㄹㅇ 나라전체가 거대한 블랙프라이데이였는데
-
언제 올리는게 가장 많이볼까요 수특 레벨3 곱셈정리까지+확통 필수...
-
神戸
-
오르비 1
-
그냥 노가다죠? 애들 대부분은 다 맞췄더라구요
-
내가 진짜 여자 겠음?
-
ㅈㄱㄴ? 윤 탄핵된 이시점에 의뱃분들 생각이 어떨까 궁금하네요
-
젼 기만자가 아니라 11
감자입니다
-
사실 얼굴 잘 못외워서 욕 많이먹음
-
정신의병
-
ㅇ
-
메가 칼럼에 재수해서 23242 받고 수시로 수의대가서 칼럼쓰는사람있던데 12
뭔가뭔가임 수시 준비하는 사람들한테는 도움되겠지만 정시한테는 도움 안되는데 하나하나...
-
코난의 벽 재의요구권은 코난 탐정이죠
-
다뒤진 오르비에 장작 넣어주는 리치킹인듯
-
으흥~
-
딥피드 점령당함 2
너가갤주해라
-
+1을 해야겠어
-
저때 인설의 이상급에서 수능보던 사람 내가 아는 케이스만 2-30개는 됐었는데...
-
다들 자러 가라
-
권당 15 22 30번급 문항 24문항(전체 50문항) 문항 퀄리티 ㅆㅅㅌㅊ 지금...
-
아차! 내란견들에게 뻐큐하는 형식이햄이었어요!
-
꼭 약속 전날밤에 뭐가 터짐
-
전쟁을 일으킨 놈들을 말야.
-
엄
-
공팀지수가 4임 ㅋㅋ 내가 취직하기전에 마지막기회같은데
-
아 인생
-
이동준 리엑트 파이널/일반 볼텍스 수 1 2 미적 서킷 20-48회차 빡모 어싸...
-
마그네틱 끝까지 듣기 성공 ptsd 극복이냐
-
자러가겠습미다.. 12
자러가라고하네요ㅠ 거역할수가읎다
-
벌써부터 보이는건 기분탓일까
-
입학이 곧 처단대상인 학과인데 ㅉㅉ
-
처음엔 나도 좀 예쁜 레어 멋진 레어 가지고 싶었어 4
연달아서 여섯번 물리니깐 그냥 폭주한거지 정작 웃긴 건 물렸던 레어는 다 팔렸다는 거임
-
학교인증만 하고 탈퇴해야지
-
요즘으로 치면 서바 이감 기깔나게 푸는거로 어맛 저 낭군 멋져 이ㅈ랄하는거 아님?
-
개콘 공채 소속이냐? 19
둘이서 뭐하노 ㅋㅋㅋㅋㅋ 일단 이젠진짜 점마는 공연성은 성립해도 특정성 부터가...
-
신청 안되죠??ㅠ 8월에 고졸따는데 6평은 학원에서도 못 보는 거 맞나요? 혹시...
-
오늘 독재에서 귀차나서 안외운 영어단어..
-
레몬멜론쿠키레몬멜론쿠키 쿠키!
-
이어폰 어디갔지 0
집에 있다고 뜨는데 ㅡㅡ
-
내년 현역은 잠재적 재수때문에 확통을 더 할거같다
-
탈릅해야지 4
ㅇㅇ
-
레어 구매 꿀팁 3
지금껏 스크롤로 찾았던 레어를 찾았던 지금까지의 내가 한심해질 정도의 좋은 방법이라...

개추 후 정독이종현!
이종현!
ㅋㅋㅋㅋㅋ뭔가 쑥쓰럽네요...
다섯 줄 요약
1. 지금 시기에 세부 계획은 세우지 말고 '양'으로 승부하자.
2. 정 필요하면 월별, 분기별 계획을 세우자.
3. 세부 계획은 그동안 충실히 공부를 마치고 여름 시즌 이후에 해도 늦지 않는다.
4. 내일 (02월 08일) 주예지T X MENTOR 모의평가 1회가 공개된다.
5. 좋아요 ∪ 팔로우 = 수능 대박

주멘주멘주멘주멘!!!
띵땅땡띵땅땡띵땅땡띵땅땡!!!오우... 꽤 아프네요 ㅠㅠ
내일 모의고사도 기대할께요!!
ㅎㅎㅎ효과적으로 공부하는 게 정말 중요한 거 같아요!! 소중한 피드백도 기대하겠습니다!!

내일 기대돼요ㅜㅜ 잘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중한 후기도 기대할게요ㅎㅎ아아 인지부조화가 옵니다 이상향이 너무 큰가봐요... ㅜ
이상향이 클 수밖에 없긴 하죠ㅠㅠ 위 글이 앞으로의 방향성 설정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헐이런 꿀자료를 계속..ㅎ 감사해요옹
수1,수2,미적 평가원기출 끝내고 2월 25일(개학)안에 교사경 끝내고 싶은데 너무 과한가요? 평가원은 2주 좀 넘게 걸렸어요. N제는 3월부터 풀면 될까요? 아니면
현역은 언제까지는 기출만 봐라 그런거있을까요
세 과목 평가원 기출문제 학습을 보름만에 끝냈다는 말인가요..? 어떻게 학습을 한 것인지, 몇 개년 학습을 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고3 / N수생 모두 수능 직전까지 기출은 쭉 끌고 가셔야 합니다!! 기출문제는 '끝낸다'의 개념으로 학습하시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실력을 향상시키면서 기출문제는 늘 끼고 있어야 합니다. 심지어 교사경은 평가원 기출문제보다 그 양이 훨씬 더 많은데 또 3주 이내로 끝낸다는 것도 말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요!!
학생의 학습 상태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답변은 어렵지만 기출문제 학습은 수능 전까지 '끝'을 내시면 안 됩니다. 특히 평가원 기출문제는 그 가치가 훨씬 더 크고요! N제는 개념 학습과 기출문제 학습을 충분히 거친 후에 이들과 병행하면서 학습할 수 있을 때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그 기준은 학생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3월부터 풀면 된다는 말은 해드리기 어려울 것 같네요! 조금 더 구체적인 학습 상담이 필요하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채널 ASK MENTOR (검색용 ID : mentormath) 로 문의주세요!!
하. 듣고 보니 제가 너무 끝낸다에 집착했네요.
허수 되기 십상인데.
마플처럼 모든 문제수록이 아니라 이동훈 기출문제집으로 어느정도 선별된거(맞나?)풀었어요.
풀면서 못 푼 몇문제나 아이디어 괜찮은은 문제는 따로 다시 보려고 표시해놓고 있어요.
채널 추가해놨는데 제 상태랑 궁금한것들 모아서 곧 여쭐게요.
감사합니다.
네엡!! 기다리고 있겠습니다ㅎㅎ
N제 6월부터 풀기 시작해도 안 늦겠죠??
위에서 다른 학생에게도 같은 말을 해주었는데 N제는 개념 학습과 기출문제 학습을 충분히 거친 후에 이들과 병행하면서 학습할 수 있을 때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1월이든 3월이든 6월이든 학생의 학습 상태에 맞추어 진행하시면 됩니다. 다만 고득점을 목표로 하신다면 그 시기를 최대로 앞당기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네요!
학생의 질문에 굳이 답을 한다면 '네, 늦지 않습니다.'가 될 것 같습니다. 빠르게 학습하려고 하지 마시고 정확하고 확실하게 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