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Roman. [69422] · MS 2004 · 쪽지

2013-01-29 15:51:35
조회수 3,439

Snu Roman.과 함께 하는 전공탐방! <1st object: 경제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62520

。본 자료는 2005년도 연고대 게시판 및 선배들이 말해요 게시판에 올린 자료로써
   전국 각지의 수험생 및 후배 여러분에게 도움을 주고자 제작된 자료입니다. 
  사실 이 때 소개할 때는 일반론적 소개만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버전에는 
  제 소회도 첨부토록 하겠습니다. 굵은 글씨로 돼 있는 부분은 제 개인의견이니 참고정도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첫번째 다룰 전공은 이구요. 경제학에 대해 막연하게 알고 있는 수험생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가이드라인 자료이니 참고하세요^^ 반응이 좋으면 후속 시리즈도

   계속해서 올리도록 하죠. 

   







Snu roman Research Corp. in Morgan Stanley Office.









Editor(편집자) : Arsmeia Orsias Skeouller  (스컬러)











Real Staple file of major reporting.







-본 파일은 경제학과 지망 수험생들 혹은 일반 수험생들에 대한 전공 관련 지식, 전공에 대한 다양한 진로 모색, 세부 전공 및 영역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그 전공에 대한 이해와 목표 설정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꿈꾸는 이상이 실현되기를 '










전공 탐방 첫번째 시리즈  경제학.





1 .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경제학이란 인간의 일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19세기 경제학자 마샬(A. Marshall)이 경제학에 대해서 내린 정의다.
이 정의는 21세기인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다. 사회과학이라면 모두 인간의 삶을 다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샬의 정의가 와 닿는 이유는 경제학은 다름 아닌 우리가 먹고 사는 문제라는 
우리 생활의 가장 본질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경제학은 흔히 경제문제를 다루는 학문이라고 얘기한다.
여기서 경제문제란 인간의 욕망은 무한한 데 비해서 그 욕망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자원은
희소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항상 선택이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어떠한 선택을 할 때 우리는 가장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는가? 
어떠한 선택이 최선의 선택인가?  

경제학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매순간 직면하고 있는 선택이라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우리 일상과 가장 밀접한 학문인 것이다. 

보통 여기까지가 경제학을 설명하는 일반론적 말들이다. 하지만 까놓고 말해 동의하기 어렵다. 경제학은 현실과는 다소 동떨어진 학문이다.
경영학보다는 더욱 동떨어져 있다. 경제학했다고 해서 회사생활할 때 큰 도움되지 않는다. 도움이 안 되는 것은 아니나 그 정도 도움은
법학, 행정학, 신문방송학도 충분히 줄 수 있을 것이다. 오죽하면 노벨상 수상자로 유명한 폴 크루그먼이 이렇게 말했겠는가.

"경제학은, 경제학자들을 먹여살리는 데 아주 탁월한 학문이다"

2 . 교육의 목적과 개요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는 학생들이 이론경제학과 응용경제학을 두루 섭렵하게 하여
경제현상의 이해에 대한 균형된 시각과 현실적용에 있어서 실용성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인접 학문인 경영학과 응용통계학과와 함께 경제학뿐만 아니라 경영학, 그리고
통계학 등 폭넓은 지적 경험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사회경제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졸업 후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학문적 소양을 쌓을 수 있도록 한다.

라고 거창하게 소개는 해놨지만 졸업생 입장에서 보면 뭐 다 비슷한 거 같다. 어느 대학이든..


3 . 세부 전공 및 영역


미시적인 경제주체들의 경제 행위에 대한 분석과 이를 종합한 거시경제 전체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이 편성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학문영역에서 부터 새로운 학문 분야에 이르기
까지 총 30개의 세부 전공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교수님은 30분이다.

전공 기초 과목 - 미시 경제학, 거시 경제학, 경제수학 (※이밖에 필요에 따라 타 과 과목도 선택 可)

마찬가지..

4 . 교과 과정


기본 과목 - 경제사 개설, 경제 수학, 국제무역론, 경제 발전론, 노동경제학

                계량 경제학 (개인적으로 이거 제대로 공부 안 하면 끝까지 힘들다)

                화폐 금융론,  국제 금융론, 재정학


응용 과목 - 근대경제사 , 한국경제사 , 경제학설사 , 수리통계학 , 금융경제학 , 지역 경제론

                 한국경제론 , 맑스경제학 , 현대경제특수이론 , 경제동학 , 비교경제제도론

                 경기변동과 경기예측 , 인적자원경제학 외 다수


개인적으로 수리통계학, 맑스경제학은 꼭 들어보기를 바란다.



5 . 학부생 현황


재학생 547 명 , 휴학생 172명 , 군대 휴학생 271명        총 990명

이상 금년도 1학기 학생 현황.


2005년 자료이며 현재 자료는 없다.


6 . 졸업 후 전망과 진로



현대 사회를 산업사회라고 부르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사회조직이나 구성원 중에서
경제적 행위를 하지 않는 조직이나 구성원이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거의 모든 사회분야에서 경제학적 지식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경제학과 졸업생은
졸업 후 매우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여 사회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졸업생들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을 위시한 특수 및 시중은행, 증권회사를 비록
제2금융권의 각종 금융시설, 그리고 일반기업체 등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역량이 대단하여 신문사, 방송사 등의 언론계 진출도 눈에 띄는데 행정고시를
통해 재정재경부 등 정부부처로의 진출 또한 활발하다.

외무고시, 각종 자격시험 및 사법고시로 국가기관에서의 진출 또한 두드러지고 있으며
본과 졸업생 상당수가 대학원 진학을 통해 학계나 연구소로 나아가고 있다.

졸업생 중 50%가 각종 기업체에 근무하고 있으며 약 20%가 금융계에 일하고 있다.
약 5%정도가 학계나 연구소에, 그리고 관계와 언론계에 약 2~3%가 진출 해 있다.

- 4천여 경제학과 동문 졸업생 표본 조사 결과 후.

본 경제학과에서는 Snu roman.이 개설해 준 이 자리를 빌어 연구와 교육을 통해 
경제와 경제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현실의 문제에 대한 나름의 진단과 처방에 기여하며
인재 육성에도 최선을 다하고자 홍보한다.

경제학과의 로망은 역시 행정고시 재경직이다. 그 외 경제직렬로 뽑는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으로 많이 가기도 하며 일부는 로스쿨, 의전 등 전문대학원을 준비한다.
증권사, 은행, 컨설팅, 대기업으로 가는 비율도 매우 많으며 그래도 경제를 배웠으므로
경제 관련 회사로 많이 가는 듯 보인다. 


7 . 교수 현황




경제학과의 교수진은 30명의 탁월한 학자들로 구성되어 있어 규모면에서 다양성면에서

국내에서 월등한 위치를 차지한다. 경제학과 교수들은 학교에서의 교육뿐만 아니라

학회와 언론 등을 통해 경제지식의 보급과 경제정책의 수립에 도움을 주고 있다.

경제학과에서는 800명의 학부생과 120명의 석,박사 과정의 대학원생들이

현재 학문에 정진하고 있다.








8 . 경제학 전공에 대해 좀 더 알고 싶다면!




경제학과 학과장 홍 훈 교수 (신상대 406호)


홍 훈 ( Ph.D,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 1988 ), 현 경제학과 학과장  

TEL 2123-2485 e-mail hoonhong@base.yonsei.ac.kr  

FAX 393-1158  Homepage   

전공 경제학설사, 정치경제학, 사회주의 및 자유주의 이념 

강의과목 < 학부 > < 대학원 > 

주요논문/저서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등 국내외 학술지에 연구논문 다수 게재 

주요경력 (現) 경제학과장 (前) 한국경제학회 사무국장, 한국수출보험학회

산학협동부장, 한국경제학회 편집위원, 응용경제학회 이사. 



경제학과 사무실 : 신상대 103호 ☎ 2123-2465

                       

지금은 학과장이 아니므로 참조하시길..



※ 본 자료는 오직 www.orbi.com싸이트 일부 공간에만 게재되는 것으로

    무단 게재를 허가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