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 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381012
사실은 하나여야 합니다. 다만 이에 관하여 의견이 다양해야 합니다 - 조나즈(문학작가)
모든 신문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가십) 사설 순으로 배열하였고
간혹 경제면은 그 중요도를 고려하여 따로 섹션으로 발행해왔다.
그래서 아무리 자극적인 콘텐츠라도 수용자는 먼저 정치, 사회 등의 이슈를 먼저
읽게 되고 연예 스포츠의 가십 따위는 아주 뒤에, 그것도 짤막한 단신으로 소비했다.
이것은 뉴스를 통제하는 데스킹의 의도이다.
그런데 20년 전부터 포털사이트가 뉴스 콘텐츠를 장악하면서
데스크 권력이 무너졌다.
데스크 권력이 무너지며 언론사의 어젠다 셋팅 기능은 형해화됐고,
데스킹은 시장에 넘어왔다.
이제 시민이 좋아하는 뉴스를, 자발적으로 클릭했고
그 기준에 맞추어 포털사이트들은 "자신은 언론사가 아니"라며
기계적으로 알고리즘을 편성하여 좋아하는 뉴스들을 수용자에게 갖다주었다.
이 지점에서 뉴스의 수용자는 소비자로 전환된다.
더는 진실따위는 중요하지 않으며 이 사회에 무엇이 더 중요한 콘텐츠인지도 필요없다.
어느 연예인의 이혼/불륜, 유튜버의 일탈이 더 큰 주목을 끄는 시점에서
소비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자극적인 콘텐츠를 소비한다.
여기에 옳고 그름은 없다. 좋고 싫고가 있는데, 여기에는 가운데가 없다.
공과가 병존하는 사안은 있지만 좋기도 하고 싫기도 한 게 어디있겠는가.
여기에 정치 지형 저널리즘의 비극이 시작된다.
이제 진위보다는 핵잼 노잼으로 뉴스가 평가된다.
클릭되어야만, 의미가 있는 저널리즘 시장에서
주류 언론사들조차 "ㅇㅇㅇ조차 딸에게.. 충격"
따위의 문장으로 제목 저널리즘을 너절리즘으로 만든다.
소비자들도 편하다. 과거 수용자들은 레거시 미디어의 데스크들이 엄선한 콘텐츠 순서대로
강제로 편집되어 수용해야 했지만 이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주체로서 소비하고
뉴미디어들은 여기에 편승하여 입맛에 맞는 뉴스를 갖다주며,
'알고리즘'은 기계적 중립의 맛을 더한다.
옳고 그른 게 뭔지는 사실 봐도 봐도 잘 모르지만,
좋고 싫은 것은 분명하다. 좋은 것은 좋고, 싫은 것은 싫다.
시비가 기호의 문제로 치환될 때 본질은 흐려진다.
이제 우리는 뉴스의 소비자로서 너절리즘을 선택하여
조지오웰의 예견과 달리 서로가 리틀브라더들이 세워 각자를 감시한다.
그 안에서는 팬덤만 살아남고,
진지한 저널리즘 따위는 도태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 각 언론사마저 고유의 어젠다를 표현하면서
우리는 더욱 진실이 무엇인지 판별하기가 어렵게 됐다.
기호만 남은 사회는 네 편 내 편 아군과 적군만을 남긴다
사람들에게 많은 정보를 주고, 좋아하는 뉴스를 소비하게 하고, 스스로를 통제한다.
'죽도록 즐기기'의 닐 포스트먼의 지적대로 우리는 조지 오웰의 1984가 아닌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 살고 있다.
유튜브 알고리즘에 포획된 것을 모두가 알지만, 자신이 선택하는 것이라고 자위하는 지점에서
우리는 더 이상 저널리즘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국가는 적당히 투명한 주체로 뒤에 빠지기만 하면 된다.
저널리즘의 실종으로 우리는
저마다의 의견이 아닌, 저마다의 사실을 갖게 되었다. - 나르테스크 카이아느(철학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노화에 강한데 당뇨에 취약하면
-
나도 아이패드가 아니라 네 얼굴을 바라보고 싶지만 그럴 수가 없어서 슬프구나…
-
와 점심으로 0
제육 + 된찌 + 밥 3.5공기 먹으니까 배가 안고픔 ㅋㅋ
-
수능장 담배 0
가능한가요 얘기 들어보면 어디 구석에서 모여서 핀다는데 학교에서 따로 제지하진 않나요?
-
개맛있네 1
센과 치히로 돼지 빙의해서 쳐먹었노
-
세 조각이면 ㄹㅇ 충분한디
-
유기해도 1등급은 나오지 않을까.. 라고 하면 3등급 나오려나
-
김치 먹다 똥 싸고 싶음
-
배가나옴 3
힘주고다니는데 개힘들다
-
수능 전까지 수학 현실적으로 어디까지 할 수 있으려나 10
지금 아이디어 수2 함수의 극한, 수1 지수로그 끝냄 하루에 수학 7시간 투자...
-
저는 고2고 내년에 고3 되는 08년생입니다 수능이 약 1년 3개월 정도 남았고...
-
adamant369
-
몽환적이어서 개조음...
-
실모 못볼때마다 0
수시 하향 쓸지 고민됨 ㄹㅇ
-
1학기까지 내신으로 미적했고 쎈발점정도 한번 돌렸습니다. 7모 이후 확통으로...
-
주관식 답 1 6
개꼬름해서 검토 2번 했는데 진짜 1이었네.. 뭔가 주기 맞는 것 같은데 확실하게...
-
10시 20분에 일어날라고 했는데 자다가 10시 40분에 일어남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공통 푸는데 왤케 화가나지
-
피부가 깨끗하고 하얗다 근육질은 아니지만 자세가 바르고 뼈대가 예쁘다 안경 써도...
-
또한번 마지막 계획을 세웠습니다. 최저 국영수 434!
-
확통 2등급이어도 딴거 잘보면 지방한 되려나
-
나만 풀어야지
-
머리를 잘라야할 것 같은데 수능 전날 머리자르면 지식이 날아가는 그런 설도 있나요?
-
논술 궁금한 점 0
인문논술 만점이 몇점이고 보통 몇점받아야 합격이에요? 경희대 외대 중앙대 이런곳...
-
서울의 잘 사는 청년은 극우?... 조국, 기사 공유하며 또 표출 3
野 “갈라치기 달인답다, 딸인 조민씨도 극우냐” ‘2030 남성 극우화’ 발언으로...
-
李대통령 ‘가난하지만 사나운 이웃’ 표현에... 北 “더러운 족속들” 5
‘비핵화’ 발언에는 “허망한 망상”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7일 이재명 대통령이 방미...
-
one point that arises from the elasticity...
-
구할수 있는 모고가 많지가 않네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히카는 대부분 80후-90초 뜨는데 강x는 ㄹㅇ 70중후반이 대부분임…
-
하이고.. 시간이 정ㅡ말 쏜살같이 지나가버렸군아.. 뭔가 점점 늙어간다고 생각하니까 좀 슬퍼짐
-
수학 노베인데 지금부터라도 개념을 돌려놓는게 좋을까요 수능 수학 개념을 내신때...
-
눈마주침 ㅎㅎ 이걸 스카 나가는길에 알게되다니
-
서프랑 똑같은거임?
-
혼자공부하다가 6모부터 과외로 공부했는데 이번에 9모 끝나면 혼자 공부하려합니다...
-
6모때 미적이 1 나와서 자꾸 9모까지의 기대치를 내 스스로 너무 높여버림
-
6모는 10분컷 햇는데 이건 30분도 걸리더라고요… 심지어 시간박아도 틀릴때도잇고
-
글 자체가 이상하게 안읽힘 원래는 문단끼리 쌓여가며 읽히는 느낌이었는데 이번에는...
-
9월 1일 12:00가 될 것 같습니다 이번 모의고사는 개인적으로 적중을 노리고...
-
연애는어떻게해요
-
작수 이후로 수학은 지인 질문 빼고는 거의 손에 잡지 않았습니다. 수학 과외를...
-
진심 호빠스토리 이후로 싹 다 노잼임
-
나른한 오후군 18
-
가끔은 두 조각도 충분 피자 양이 너무 많음
-
해보신분 있음요?
-
공결 못쓰는 내가 밉다 생공이 안되면 병결이라도 주던가 아.
-
둘이라 가능할 줄 알았는데 치킨 절반 냄김
-
계산미스 잘나는 유형 압도적 1황인듯 호흡도 길고..
-
목표는 한약수입니다.. 23수능 화작미적영어화1지1 21212 였습니다 군수시작을...
-
국어는 화작 수학은 기하 탐구는 지1 물2 조합입니다. 현역 과고생이고 수학은 역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