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911989Dq [980519] · MS 2020 · 쪽지

2020-11-20 16:45:33
조회수 983

윤사,윤리와사상- 흄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187293

흄은 공감을 통해 보편적인 도덕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o,x



흄이 보편적인 도덕기준을 인정할까요?



흄이 도덕원리를 부정해서 회의주의자인건 아는데 


시인과 부인의 감정이 아닌

공감능력을 통해서는 기준이나 원리를 마련할 수 있을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담덕 · 919391 · 20/11/20 16:51 · MS 2019

    공감능력을 통해서 도출되는 것이 시인과 부인인데 공감능력은 되고 시인부인은 안 되는 건 조금 이상하지 않나요..?

  • a911989Dq · 980519 · 20/11/20 17:10 · MS 2020 (수정됨)

    어 잠시만

    아, 그러네요 시인과 부인의 감정으로 공감능력이 나오는게 아니라

    공감능력을 통해서 사회적 유용성에 따라 시인과 부인이 나오는 거군요!

    그러면 틀릴 가능성도 있겠네요,

  • 내스반만독 · 970400 · 20/11/20 16:52 · MS 2020 (수정됨)

    O 사회적인 시인과 부인의 감정=흄의 도덕적 판단 기준임 . 단순히 개인의 감정이 아니라 사회적 공감의 감정으로 판단하는 거라서 보편적이라는 말 ㄱㄴ

  • 내스반만독 · 970400 · 20/11/20 16:56 · MS 2020

    글구 도덕원리를 부인해서 회의주의자인게 아니라 회의주의적 진리관을 가지고 있는 걸로 이해하셔야해요 절대적인 진리는 존재할 수 없다..!

  • a911989Dq · 980519 · 20/11/20 17:07 · MS 2020

    그게 회의주의자 인데요?

  • a911989Dq · 980519 · 20/11/20 17:08 · MS 2020

    그럼

    "시인이나 부인의 감정 차체가 도덕원리가 될 수 있다" 라고 한다면 흄도 동의할까요?

  • 담덕 · 919391 · 20/11/20 17:25 · MS 2019

    감정 자체가 도덕원리다라는 선지 어디서 봤는데 오답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 a911989Dq · 980519 · 20/11/20 17:27 · MS 2020

    ㅎㅎ 맞아요 2019년 9월 11번 선지 ㄹ선지 입니다.

    중요한건 기억하고 있어서요

  • a911989Dq · 980519 · 20/11/20 17:28 · MS 2020

    근데 사실 보편적인 기준과 도덕원리라는 것을 똑같이 간주해도 되는지 헷갈리네요...ㅠ

  • 내스반만독 · 970400 · 20/11/20 17:49 · MS 2020 (수정됨)

    제가 도덕원리랑 도덕판단을 동일하게 봤네요 죄송해요ㅠ 제 생각에는 도덕 원리라는 단어가 공리주의하고 칸트 공통점으로 보편적인 도덕원리가 있다라고 평가원에서 자주 제시하기 때문에 도덕원리=보편적 기준이 맞는 것 같긴해요..! 근데 흄입장으로 가면 애매해지긴하네요 아마 도덕원리라는 말보다는 도덕체계 혹은 도덕적 판단 기준 이런식으로 나올것같네욥..

  • a911989Dq · 980519 · 20/11/20 18:04 · MS 2020

    네 감사합니다..ㅠㅠ

    저도 "자체"라는 단어가 나오면 주의해보고, "도덕"과 "원리"를 개별단어로 보지말고 "도덕원리"라는 단어로 안에 공리주의나 의무론의 특징을 내포하는 단어로 봐야할 것 같네요

    도움많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 내스반만독 · 970400 · 20/11/20 18:11 · MS 2020

    저도 감사해욥 수능에서 다맞아요!

  • 내스반만독 · 970400 · 20/11/20 17:49 · MS 2020
  • a911989Dq · 980519 · 20/11/20 17:52 · MS 2020

    와......ㄷㄷ 도덕의 체계를 세워야한다가 맞다는 선지도 있나요??

    그럼 너무 애매해지는 것 같네요......ㅠㅠ

  • 내스반만독 · 970400 · 20/11/20 18:00 · MS 2020

    넵 근데 확인해봤는데 "시인이나 부인의 감정 차체가 도덕원리가 될 수 있다" 이 선지는 선생님들끼리도 갈리네요 흄이 부정이라는 분들이 더 많긴했어요! 긍정이라는 분은 도덕 원리를 '기준'으로 보시고 부정이라는 분들은 승인과 부정의 감정으로 도덕적 판단(구별)이 가능한가지 도덕원리라는 말은 좀 그렇다 이렇게 말씀하시네용
    저는 "도덕원리"라고 하는 건 벤담이랑 칸트까지인 걸로 일단 기억하고 가려구요..!

  • 튜나캔 · 869690 · 20/11/20 17:53 · MS 2019

    공리주의의 공리도 시대에 따라 변화할 수 있지만 기준으로 취급하듯이, 다수가 느끼는 사회적 감정도 기준으로 가능하지 않을까요?

  • a911989Dq · 980519 · 20/11/20 18:18 · MS 2020

    네 그런것 같아요 ㅋㅋㅋ 까다롭네요 주정주의...ㅠㅠ

  • 만인지적 · 957564 · 20/11/22 12:53 · MS 2020

    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 기준은 개인과 사회를 초월하여 보편적이다. 2006년 수능 선지인데 아니요라고 나왔습니다

  • a911989Dq · 980519 · 20/11/22 21:28 · MS 2020

    초월하여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구성원 내에서 보편적이다 라고 한다면 맞을듯해요

    ebs봤는데 이미 보편적이다, 기준이다 이런얘기는 많이 있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