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쓸개같은거좀 풀지마 씹바 라고 하면 정지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347873
간쓸개처럼 매주 일정량 문제 던져주는게 공부하기야 편하고 새로운문제 푸니 뭔가 한다는느낌 들지만
좆도쓸모없음. 비문학은 그냥 닥치고 기출이 답이고
문학 연계정도만 사설 문제로 커버하면 되는거고
주변에 학생들이나 학원알바하며 보는 학생들 대부분 기출복습도 완벽하지않던데
애초에 비문학 어느정도 수준있는학생들은 간쓸개 문제 보자마자 구데기라는걸 알수있음.
기출복습 꼭하자 존내중요함
본거 또보니 지루해 할게아니라
지문이랑 문제 보면서 왜 이 문제가 이 지문에서 '나올수밖에 없는지' 를 알아야함. 100명의 교수한테 지문 던져주고 문제내라 하면 90명은 거의 비슷한 문제를 낼거임. 그 이유를 캐치하는게 중요한데
그게 안되면 아직 할게 남은거임.
다들 문제 풀고 지문 내용 아니까 쓱 넘어가고 새로운거 사설문제 풀러가는데
좆도쓸모없음
누구는 이감 간쓸개 위주로 해서 98 97나왔다
응
그건
그거 안하고 기출했어도 나올애들이고
그런 사설 문제집같은건 기출을 다 해서 추가적으로 푸는 +알파의 느낌인데
대부분의 학생들은 기출 다 안함. 그냥 문제만 풀줄 알면 되는게 아니자너
국어 등급낮다. 실력올려야한다. 는 입장이면 제발기출하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디 가야할까요??ㅠㅜ 지방살고 거리는 둘다 비슷해요! 건국대 등록금이랑 기숙사비용...
백날 말해줘도..
19수능 못봤냐..?? 이제 기출 큰 의미없다고 사설이 짱이야 빼애액!!! 하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19수능처럼 나온다해도 사설은 시간똥줄타는거 대비하는거말고는 도움안되는데 ㅋㅋ
애초에 그냥 자기가 풀고있는 사설이 왜 구리다는건지 이해못할 실력이면 그냥 기출보러가는게 맞음

틀은같은데 난도가어려워지는걸 체감을못하는건가..특히 문학이랑 화작은 19에서 맥시멈을찍었지만..
솔직히 독서랑 문학만큼은 전개년봐야한다고생각
ㄹㅇ국어는 유난히 문제 퀄리티 차이가 심해서 기출좀 제발봐야하는데..

여담이지만이번6평이랑 작년수능 심찬우T해설강의보면
"수능국어를이렇게해야하는구나"라는걸 느낄거임
작년6월에 심멘해설강의보고 그방식대로간결과
독서는 bis 2문제빼고 나머지다맞았음
뭐야 심찬우라는분 국어강사였음? 난 여태 수학인줄알고있었네 ㅋㅋ 뭐지..누구랑 착각한거지 ㅋㅋㅋ
ㄹㅇㅋㅋ
진짜 고민이였는데 이렇게 말씀해주시니 고맙네요
평가원기출은 고정1인데 사설이랑 교육청만 풀면 2~3 진동해서 걍 기출만 볼려고요ㅋㅋ
ㅇㅇ ㄹㅇ 평가원이 안나오고 교육청사설이 잘나오는거면 몰라도
평가원 잘나오면 그냥 장땡임 다른거 신경쓸이유 하나도없음
그게 본인 논리적인 사고랑 기준이 엄청 타이트해서
조금만 논리적으로 잘 안짜여진 사설 교육청같은거 풀면 자꾸 명확한 답이 안나와서 시간흐르고 그래서 그러는건데
어차피 수능은 평가원이니까 상관없음
고정100이 아니면 그런 케이스 의미없다고 보는데요
중요한 시험직전에만 기출위주로 보고 평소에는 사설좀 많이 보면 안되나요?
차라리 할거면 반대로 평소에 기출을 봐야..; 걍 기출을 무조건 하는게좋은데 꼭 사설 하실거면 시간관리나 실전연습삼아 실모푸는건 좋음
그냥 비문학 감만 살리고 가능세계급 어려운지문 나오는거 연습 좀 해볼려는 사람은 뭐가 좋을까요 6평 93 7모 91입니다
6모 93이 어디서 틀린건지 알아야 말을 구체적으로 해줄수 있을거같은뎀
6모 15 28, 공간 의미 물어보는 문학문제 한개 틀렸습니다
기출은 181920만 좀 그럴듯하게 해봤고 피램 문학비문학 정도밖에 안해놓은 상태입니다
기출 존나파시면 될거같은데
6모 비문학 틀린문제같은경우에는 딱 전형적인 기출만 제대로 해도 충분히 할수있는 문제라서
시간관리가 안된다거나 그련거라면 실모를 푸는것도 좋은데 그런문제는 아닌거같고
박광일 홀수나 마닳 사서 기출 쭉 분석하면좋음
3개년만 하는건 너무 적음..
분야별로 하는게 좋으면 홀수.
한세트씩 하는게 좋으면 마닳
연의형.. 기출분석어떻게해..
간쓸개 장지문 풀면 18분에서 20분까지 걸리고 2개정도 틀리는데 기출로 돌아가는게 맞겠죠?
비문학 푸는데 시간이 읽는데도 오래걸리고 문제 푸는데도 오래걸리네요
네 기출돌아가는거맞습니다
그거 괜히 대치동컨텐츠 이런거 좋아하는애들이 자기과시하려고 푸는거 ㅋㅋ 상술이랑 겹쳐서
물론 저도 풀긴했는데 항상기출우선
ㅇㅇ 간쓸개같은 컨텐츠 찾아 푸는게 유혹적일수밖에없는게 뭔가 '공부한다' 아니먼 '공부에 큰 관심을 갖는다' 라는 느낌이 들어서 착각하게됨
근데 공부는 원래 존나 개쩌는 비밀의 기술같은건 없음
그냥 다 알고있는 방법을 누가 더 끈기있게 효율적으로 하냐 싸움이지 그래서 대치동컨텐츠같은게 부가적인 도움은 될수있지만 그게 성적의 비법이 될수는 없음
ㅇㅇ넴 일단 기출 계속 하시먄서 실전감각걱정되시면 주기적으로 실모 푸는건 좋아요
간쓸개마냥 매주 나오는 문제집으로 공부하는걸 메인으로 삼는건 비추입니다
2월쯤에 정시 연의 현역으로 붙고 ㅆㅂㄴ아 했던거 기억나네요 ㄹㅇ ㅆㄱ 대단합니다
ㅋㅋㅋ그때는 합격뽕맞고 무서운게없었음
6모 100 7모 95인데, 기출은 꾸준히 보면서 추가적으로 사설 보는것도 괜찮을까요...? 한수 독서모음집 풀 생각인데...
7모는 문학 두문제 틀렸어요...
ㅇㅇ그정도면 그냥 편한대로 해도 무방

특정 사설 언급하지말고 그냥 사설이라고 바꿔요대머리 출동하니까요
- 2급 명예훼손죄 (Horus Code 제5조 5항)
운영자님이 메인글은 그래도 좀 보시는거 같더라구요
-
ㅁㅊ 바로 가셨네
근거없이 혹은 전혀 사실과 관련 없는 내용으로 오르비, 운영진을 비방하거나 풍자하면 안 됩니다.
선 넘지 마세요.
쪽지로 기출분석 관련해서 여쭈어도 될까요? 나름 꼼꼼하게 했다고 생각했는데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ㅜㅜ
피램하고 나서 검더텅 문학이랑 독서 다시 하는데 저는 기출 8: 사설 (그릿) 2로 병행하는데요
기출 지문보면서 오답은 어떻게 하셨나유..? 답지 안보고 다시 생각하셨나요? 문풀하고 채점까지는 하는데 지문을 요약하고 뜯어보는게 되게 애매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