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케인01] 17.11 반추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114405
칼럼03 구조독 칼럼.docx
칼럼06 탄수화물 문제지.pdf
칼럼06 탄수화물 해설지-변환됨.pdf
[주간케인]의 시작, 반추위 지문입니다.
이전의 [칼럼06]은 놔두고, 여기다가 파일을 재업해요.
내용은 똑같고 편집 등에서 조금 아쉬웠던 것들을 수정했습니다.
제 해설지는 제가 쓴 구조도 칼럼 자료를 같이 봐야 이해가 높아져서 항상 구조도 칼럼 자료를 같이 올릴 예정입니다.
솔직히 별거 없고,
구조도 칼럼에서 얻어가시면 되는 건
구조도를 그리는 것의 의의, 제가 만든(?) 구조도 기호의 의미
이 두 개입니다.
자, 이제 시작입니다.
[주간케인] 17.11 반추위 지문 - 1
-일러두기-
*[02:03]은 해당 문장의 출처를 나타내는 것으로, 2번째 문단의 3번째 줄이라는 뜻입니다.
*본인의 이해도에 대한 눈치는 송영준 선생님의 태도를 발췌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종합적으로 여러 태도들을 배울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몇가지 지문들이 있습니다.
여러분도 많이 들었다시피, LFIA키트가 있고, 오버슈팅이 있고, 여러가지가 있죠.
그 중에서도 돋보이는 건 이 반추위 지문인 것 같습니다.
이 지문으로는 아래와 같은 태도들을 배울 수 있어요.
각잡고 보세요!
시중의 어떤 교재에도 이걸 이렇게 정리해준 건 없습니다!
(왜냐면 시간이 졸라 오래 걸리거든요!)
1. 정보량 견디기
정보량이 많은 지문에 약하다면, 힘들다며 가만히 있을 게 아니라 본인만의 대비책을 많들어야 합니다. 피할 수 없으면 준비해야죠. 이게 제가 말하는 선택과 집중입니다. 아래는 제가 만든 스킬들입니다. 강사들과 겹치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어요. 한번 봅시다.
- 초성으로 기억
이건 약간 야매인데, 저는 엄청 자주 쓰는 스킬이에요. 독해력이 바탕이 된 고정 2등급 이상만 쓰세요! 이걸 쓰려면 약간의 눈치가 필요합니다. 독해를 하면서 어떤 정보가 앞으로 계속 나오겠다, 언급되겠다 하는 게 보여야 하는데요, 반추위 지문에선 어떤 게 이에 해당됐을까요?
사람은 체내에서 합성한 효소을 이용하여 곡류의 녹말과 같은 비섬유소를 포도당으로 분해하고.
이를 소장에서 흡수하여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 [01:03]
반면, 사람은 풀이나 채소의 주성분인 셀룰로스와 같은 섬유소를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를
합성하지 못하므로, 섬유소를 소장에서 이용하지 못한다. – [01:04]
왜 각 탄수화물의 예시를 하나씩만 들었을까요? 저는 후에 이 예시를 또 끌고 오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조건 그런 건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반례가 분명히 있을 겁니다. 하지만 평가원은 절대 쓸데없는 정보는 주지 않는다는 걸 알기 때문에 이 의심은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굳이 하나’만’ 줄 이유가 있습니다.
2문단에서 셀룰로스는 계속 언급되며, 심지어 녹말은 3문단과 4문단의 연결고리 역할을 해줍니다.
따라서 이정도 정보는 머리 속에 잡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냥 외워도 되지만 효율적인 방법이 있어요. 바로 초성으로 기억하는 겁니다.
셀룰로스는 섬유소의 예시이고 앞으로 예시는 이것만 들 것이 거의 확실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굳이 ‘셀.룰.로.스’ 네 글자를 모두 기억할 필요가 있을까요? 필요한 것만 취합시다. 선택과 집중! 섬유소에 관한 물질을 언급하는데 ㅅ으로 시작한다면 무조건 셀룰로스를 언급하겠죠. 또 ㅅ은 섬유소의 초성 중 하나이기도 하고요. 따라서 전 첫 문단을 아래와 같이 정보를 잡고 다음 문단을 읽었습니다.
꼭 초성으로만 기억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글자 수, 품사, 공통된 접두사, 비슷한 의미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세요! 시험장에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아야 합니다.
- 인상 잡기
낯선 내용을 보았을 때 당황하기만 할 것인가요? 수능날 본인에게 익숙한 제재가 나오기만을 바라시나요? 당연히, 우린 선택과 집중을 해야합니다. 낯선 내용에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저는 지문을 읽으면서 익숙해질 것을 권합니다. 처음엔 당황스럽고 읽기가 벅차도, 차분히 인상을 잡으며 정보를 처리한다면 읽는 속도는 지문을 읽으면서 점점 빨라질 겁니다. 김동욱 선생님께서 늘 말씀하시는 반응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제가 지문에서 인상을 잡은 것들 중 일부를 보여 드리겠습니다.
F는 이 포도당을 자신의 세포 내에서 대사 과정을 거쳐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생존을 유지하고 개체 수를 늘림으로써 생장한다. – [02:05]
아, 사람은 이를 직접적으로 쓰는 반면에 동물은 동물에 기생하는 미생물이 이를 이용하는군요! 여기서 특이하다고 인상을 잡아야 합니다. 이상하잖아요. 분명 동물이 음식을 먹는 건 자신이 에너지를 얻기 위함인데, 미생물이 이걸 이용하는 건… 뭔가 우회적으로 에너지를 얻겠구나 하는 느낌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S도 자신의 세포 외부의 pH가 그 이하로 더 떨어지면 생장을 멈추고 사멸하는 단계로 접어들고,
산성에 더 강한 L을 비롯한 젖산 생성 미생물들이 반추위 미생물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 [04:06]
진짜 강한 건 L이고, L은 ‘젖산 생성 미생물’이기에 오히려 사태를 더 악화시키는구나! 악순환의 반복이라는 인상을 가지면 좋아요.
인상 잡기는 배경지식을 써서 잡을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문장을 봅시다.
반추 동물의 반추위에는 산소가 없는데, 이 환경에서 왕성하게 생장하는 반추위 미생물들은 다양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 [02:02]
이것도 정보량이 그렇게 많진 않아요. 하지만 저는 여러분이 반응했으면 좋겠는 게 있습니다. 배경지식, 상식을 끌어 쓰는 거예요.
여기 나와 있는 정보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반추위에는 산소가 없다.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반추위 미생물들은 왕성하게 생장한다.
반추위 미생물들은 다양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자, 하나씩 봅시다.
먼저 세 번째 정보는 별거 없어요. 당연히 어떤 특성들을 지니고 있겠죠. 당연한 겁니다.
제가 주목하고 싶은 건 첫 번쨰와 두 번째 정보입니다. 여러분,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물이 자란대요. 우리 보통 산소가 없는 환경에선 생물이 자라지 않는다고 배우지 않았나요? 또, 게다가, 왕성히 자란답니다. 동물의 위 속에 산소가 없다는 것 자체도 신기해요.
우리가 만약 친구에게 잡담을 듣듯이 정보를 받아들였다면 분명히 친구에게 “오? 신기하네?”라는 반응을 보였을 겁니다. 이런 인상이 중요해요. 능동적으로 본인의 경험과 지식을 끌어다 써서 프레임을 씌우는 겁니다. 물론, 왜곡해서 받아들이지 않게 주의해야겠죠.
인상 하나 하나가 나중엔 본인의 체감 정보량을 극단적으로 바꿀 겁니다.
- 눈치 채기
‘초성으로 기억’에도 쓰이지만 여기선 조금 다른 걸 말해주고 싶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지문의 구성에 대한 눈치입니다. 너무 general하니 좀 specific하게 말하자면,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지문의 구조에 대한 눈치, 본인의 이해도에 대한 눈치. 지문의 구조에 대한 눈치는 후에 서술할 구조 파악에서 잘 다룰 테니 일단 지금은 본인의 이해도에 대한 눈치를 봅시다.
1) 지문의 구조에 대한 눈치
2) 본인의 이해도에 대한 눈치
사람은 체내에서 합성한 효소을 이용하여 곡류의 녹말과 같은 비섬유소를 포도당으로 분해하고
이를 소장에서 흡수하여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 [01:03]
[사람이] [ 효소] [를 이용하여]
이게 수단이 돼요! 사람이 이를 이용한대요. 어디에 이용하는 거죠? 비섬유소가 포도당이 되는 데에. 그리고 이를 소장에서 흡수하여 에너지원으로 이용합니다. 우리가 이 문장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느낀 이유가 뭘까요? 길어서? 용어가 많아서? 아닙니다. 제가 풀어서 쓴 문장은 왜 잘 읽혔을까요? 그쵸. 문장을 끊어서 부분 부분 해석했기 때문입니다. 즉, 이 문장은 여러 문장이 합쳐져 있기 때문에 어려운 거예요. 이 문장 안에 있는 정보를 쭉 나열해 보겠습니다.
효소는 체내에서 합성된다.
사람은 효소를 이용하여 비섬유소를 포도당으로 분해한다.
비섬유소의 종류로는 곡류의 녹말이 있다.
이를 소장에서 흡수한다.
이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5가지나 됩니다. 그래서 한번에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겁니다. 문장이 다양한 절과 구로 구성되어 있으면 이를 눈치채고 다시 읽어보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해설을 보면서 정리가 안됐다 싶으신 분들을 위해 작성해 보았습니다.
도움 되셨으면 더 많은 분들이 볼 수 있게 좋아요 눌러 주세요 ㅎㅎ
직전 칼럼들 [주간케인] 17.11 반추위 지문 -1 꾸준한 관심을 받는 칼럼들 [칼럼01] 국어 19점에서 98%까지의 여정 : 경험담 (1부) https://orbi.kr/00026354806 (2부) https://orbi.kr/00026377783 [칼럼03] 구조독의 의의 https://orbi.kr/00027134854 [칼럼04] 주간계획표 (1부) https://orbi.kr/00027590955 (2부) https://orbi.kr/00027596499 | GIST해리케인 고양시 일산 거주 / 광주과학기술원 재학 피램 교재 오프라인&온라인 검토진 국어 : 5등급에서 1등급까지 20 수능 국어 94점 백분위 98 그읽그풀, 구조독해, 그리고 정보필터링과 발췌독 기출 분석 및 실전 실력 기르기 물리학 : 물리Ⅰ, Ⅱ 내신 1등급 19 수능 물리Ⅰ 50 20 평가원 모의고사 물리Ⅱ 1등급 물리 경시 및 연구 대회 등에 대한 다수의 수상 경력 공부, 수험생활 상담 (카톡 문제 땜에 당분간은 쪽지로 부탁드립니다..ㅠㅜ)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버스지나간다 1
부지런행
-
대한민국 국민 모든사람이 봐주길.... 내용이 너무 좋네
-
서울대 검정고시 대체서식에 대한 K씨의 주장에 대한 반박 5
https://orbi.kr/00071753767/%5BAgent-K%5D-%EC%8...
-
근데 난 미필인데? 가려면 6년남았는데 이게뭐지 음
-
수학 인강 추천 0
일단 지금 대성패스 밖에 없긴한데 대성에서 정 괜찮은 선생님 못고르면 메가도 할...
-
그래도 이번주면 끝 3월부턴 3개만 해야지
-
대가리 깨져도 경제
-
첫과외시급 4
국영수 자신잇음/ 과탐 별로.. 지거국의대 수시 지방에서 첫과외 구하는중 시급 얼마나받아야될까요?
-
흠
-
다 어디 갔음 3
살아있는 사람 손
-
요일착각함 세시간 뒤에 나가야되는데 그냥 프리스타일로 풀어줘야되나
-
뿌웅뿡 12
뿌지지지직
-
콜드부르 ㅃㄹ 오라고 ㅅㅂ
-
커뮤 안하면 심심해서 뭐함..?
-
T-27
-
사회봉사 때문인가요?
-
학교에서 하라는데로 다 신청하고 그냥 안가요? 아님 수강 신청도 안해요? ㅜㅜ
-
[EBS영어듣기 플랫폼] 2025학년도 수능 영어듣기 17문항 중 14문항이 EBS 수능교재와 연계되어 출제 0
선배들이 알려주는 진짜 영어듣기 꿀팁 1. 많이 들어야 한다. 2. 시험에 출제되는...
-
기출 마더텅 대신 환완기 풀고싶은데 둘이 다른점이 있나요?
-
지금 젠지 0
기대가 없는데 기대 해도 되나?
-
주변은 이제 새로 입학한다고 새터 오티도 가고 수강신청도 하고 새내기 생활에...
-
희한한 대학 가고 싶다
-
ㄹㅇ..
-
잡으러 왔쇼... 아이고 할배요 머하능교..
-
민주 40%-국힘 34%…이재명 34%-김문수 9% [갤럽] 4
민주 2%p 상승, 국힘 5%p 하락 최상목 권한대행,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
빨리 4단원으로 고고 ㅋㅋ 개꿀잼과목이네요
-
귀신같이 330점대 맞추고 손절하는 시험 아님?
-
요즘 너무 안 들어왔나봐요...
-
국어를 어렵게 공부하려면 어떤선생님이 좋을까요??? 1
대성이나 메가에서요
-
근데 텝스는 3
327이 백분위50이 되게 만든 절상평 절충 시험이라 표본 수준이 제일 중요함 내가...
-
네 대영 1 스타트한 사람 살아있어요
-
비냉먹고싶은데 0
배달은 개비싼데
-
씹년들아
-
얼버기 1
이제 공부하러
-
내가 장바구니에 담고 결재를 안했네 크아아악
-
크크 합격했어요
-
어른의 사치 ㅇㅈ 12
“구슬아이스크림 4가지 맛 한 번에 먹기“
-
자신감을 갖고 텝스 진심을 다해서 봄 존나 넉넉한 점수로 기영 뜸 아
-
수학 자이풀때 0
근데 수학 자이풀때 해설은 인강 강의로 봐요 보통? 자이 해설구리다던데
-
후자 고르는 사람 많을까? 진짜 요즘입시 모른다면
-
수특존나못생겼네 0
크아악
-
얼버기 4
진짜임
-
조금만.
-
전 감바스요 감바스기온앤온을낋여오너라
-
얼버기 4
-
알려주삼
-
절 대 적 백 해 한문지 땜에 설대식 4.5점정도가 왔다갔다해 에혀 수학 실수만 안하면 좋겠다
-
작년에 못딴 에피 올해는 딴다
ㅋㅋㅋ 5252.. 연의가 코앞이라구...
케인추

감사합니다 ㅠㅠ
고마워욤그냥 저거 프린트다하면 해결되는거죠?
넹 문제 풀고 해설 보는 거 자체는 해결 됩니다!
대신 해설을 위한 해설은 이번 칼럼을 보셔야 해요!

pdf따겠읍니다ㅋㅋㅋㄱㅋㅇㅋ!
pdf까지 만들어주시다니... 감동햇습니다..... 프린트해서 풀게요!
고마워용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