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뻘글인데 이과수리논술에도 진입장벽이란게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00450
전 예를들어 문제가 3문제 나온다치면
항상 1번문제 풀다가 겨우 다풀었다싶으면 시간끝나거든요 ㅠㅠ
점수는 맨날 10~20점나오고(100점만점)
수능이랑 이렇게 갭이 큰이유는뭘까요...하다보면 이것도 적응되서 잘써질라나요?
수리논술 절반이상 푸시는님들은 원래 첨부터 그렇게 잘썼어여?
아니면 쓰다보니 늘으신건가요?ㅠㅠ
조금이라도 도움좀부탁드릴께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커뮤니티에 어쩔 수 없이 서식하는 듯 유튜브보단 덜하다 생각
-
진짜임 이번엔 뭔가 다름
-
잔다 1
잘자
-
저격 0
ㅈㅅ 어그로좀 끌어봤음
-
몰랏네요 저도 중간고사네요
-
빠르게 슉슉 했는데도 생각보다 잘그려져서 놀람요
-
세계사 분량 4
세계사 동아시아(송 원 명 청)까지 하면 어느정도 한건지 알 수 있을까요?
-
솔직히 나는 인턴한셈 안쳐주냐; 옯에서도 저년 언제까지 이거할지 궁금하겠다
-
실검 1위가 ''정시''
-
자기는 어그로를 끌려고 한다를 온몸으로 표출하면서, 재미도 없다라 좀 심하네
-
왜케 멍청하지 고딩 때 공부좀할걸 나 진짜 수능 그따위점수 맞고 먼 생각으로..뮤슨...
-
차례대로 삼국지 통일한 진옛날 진옛날 진북위고구려야요이 문화 기원전...
-
특히 그 찌그러진 개구리프사 요즘은 모르겠는디 기벡문제 해설보면서 기르가즘을 느낌
-
87+78 이런거 볼 때 자릿수 뒤바뀌어잇으니까 11의 배수임 뒤에만 더하면...
-
30번은 쓰기가 싫어짐
-
우리좀그만볼까?
-
이제 새로운 프사로 바꿀때가 왔다
-
알바퇴근 4
하 나 혼자 ㅈ뺑이 칠때는 추가인력 안붙여주더니 나 퇴근해도 애들 좀 있으니까 근무...
-
너의 페임 나의 자랑 세계를 무대로 다시 만납시다
-
진짜로
-
ㄹㅇ임...
-
에어팟 끼고 테드 듣는걸로 영어공부 대체한 걸로 우겻어
-
유심황 발렌타인님
-
박광일 듣다가 강민철로 갈아타려는데 작수 4등급따리면 강기분부터 듣는게 맞음?...
-
?
-
수선을 으악!하고 내리면?..뉴런 기하와벡터중
-
질문받습니다 2
퇴근후 chicken을 뜯으며 sex중입니다
-
쇼미 노래 좋아하는데..
-
수능잘보기
-
저는 대머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이거 유경험자 계신가요? 어때요
-
어떻긴 똥이나 싸러가
-
n제가 마구 쏟아져요….
-
책상앞에 두고 문제 풀어야 풀 수 있는데 아님 떨려서 못풂
-
하..
-
흠
-
뭔가 오르비가 되게 내편같다 현역 고3 기요미들 밖에 안보여
-
제발....할 수 있잖아 ㅅㅂ아
-
존나 피곤해서 공부가 되겠나ㅜ이거
-
고점 판독기
-
전 아직 이미지를 사진처럼 찍어 외우는 경지엔 못 올라서... 글자가 아니라...
-
병신이랑 사는게 10배는 불행하다 나는 병신으로 살아야겟다 걍
-
박재범 십년넘게 제잎학이니까
-
다시가면 뭔가 그때만큼 놀면서도 공부까지 챙길수잇엇을거같음
-
아오 skt 1
지들이 잘못해노코노코 나중에 소비자 탓탓 하려고 책임전가하는게 너무 눈에 훤히 보임...
-
수특독서랑 리트지문중에 시간상 하나만 풀어여할거같운데 무ㅏ가 더 퀄 좋나여
-
교실에서 소리지르는건 뭐지 뭐 들뜨는건 인정한다만 목소리 크게 대화한다 이게 아니라...
-
과탐 걍 귀찮네 1
배경지식으로 봐야지 뭐
-
중간고사 수학 30점대 26
정시ON
전 모의고사보면 수리 1등급 고정으로 나왔는데 논술만 하면 그렇게 아무 생각이 안나더라구요;;
저랑 비슷하시네요...ㅠㅠ
서울대학교 수리논술은 유명합니다. 지원자의 60~70퍼센트가(의예, 수통 제외) 백지로 낼 만큼 어렵죠.
서울대 논술은 과탐에서 갈립니다. 흔한 경우요
작년 기준 설대식 595되었던 분도 수리논술 백지로 냈습니다.
서울대 논술이 어려운 이유가, 1번을 풀면 그걸 바탕으로 나머지 문제를 풀 수 있는데, 1번이 손도 못댈 정도로 어렵다는 거죠..
학원에서 이야기한 바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분히 수학과 스타일의 문제가 출제된다.'
문제 해결식이 아닌 증명식 문제가 출제된다는거죠. 수능이 문제 해결식이므로 수능을 잘한다고 해서 논술을 잘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기초부터 쌓으세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겸손하게 시작하는게 중요합니다.
좋은조언 감사합니다. 그런데 기초부터 쌓으려면 어떤방법으로하는게좋을까요?
기타 대학교의 좀더 쉬운 수리논술부터 푸는게좋을까요?
아니면 일단은 문제가 안풀려도 풀이같은거 보면서 익히는게좋을까여?
수능밖에 못접해본지라 논술공부는 영 갈피를못잡겠어서....ㅠㅠ
답변 한번만더 부탁드릴게요!!
아 늦었네요
교과서에 등장하는 정의, 성질, 증명은 필수적으로 외우시고 할 줄 알아야 합니다.
또 그 과정에서 적용되는 수학적 생각, 방법을 읽어내는 것이 중요하구요
다음으로 서울대 기출문제를 보면서 교수들이 좋아하는 접근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있어요 서울대 교수들이 좋아하는 접근법이^^ 알려주지 않을 겁니다.
그다음 대학교재를 참고하는 것이 좋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