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젊은날의 초상 문학에서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48471
주인공이
삶의 피할수 없는 절망을 수용한다가
맞는말인가요?
갈매기 죽는거 보면서
절망을 떨치고 앞으로의 희망을 갖게 된건 맞는데
그 절망을
피할수없는 삶의 절망으로 보는건 확대해석 아닌가요
절망-> 희망은 맞는데
아무리찾아봐도 삶의 피할수없는 절망 이라는건 생각이안들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기 봣는데 개 패고 싶네 이게 벌써 두달도 더 전이다 ㄷㄷ 수힉 풀기 싫어 보람찬...
-
열심히 풀었는데 검토진의 논평? 거기에 한 30분 easy 박혀있으면 ㅅㅂ 이정도는...
-
ㅇㅈ 6
처음 글쓰네요 반갑습니다
-
자신이 문디자슥이면 개추ㅋㅋ
-
스칸데 서로 속닥속닥하다가 다른 사람도 속닥속닥하니까 점점 시끄러워지다가 스카 지금...
-
문디컬 질받해봄 7
모 한의대 재학중 딱히 올 생각 없었는데 어쩌다보니 왔네요 공부는 아직 적응 못함 과생활은 매우 굿
-
대학 합격하고 술만 마시다가 중간 망해서 반수하려는데 지금 시작해도 안 늦음? 국어...
-
오랜만 1
음
-
ㅈㄴ 높긴 햇음 이원준 수강생 평균이 아마 젤 높을 듯
-
춥다 추워 10
일교차뭐냐옹
-
내신이 낮아서 울었어...
-
내신 전작품 다 보고 갈 수 있는데 다 못보면 가서 피지컬로 풀어야겠네
-
스블 공통부터 미적까지 문제하나하나가 참 주옥같이 선별되어있네요. 진짜 얻어가는게...
-
하 시발
-
전자발찌도 전자기기 아니냐
-
ENFJ에요
-
복습할때 엔제도 같이 보나요 아님 필노만 보나요?
-
이물감 ㅈ댐 지금
-
근육 말고 인스턴트 음식으로 찐 살이요 예를들면 여자고 167 50에서 167 61...
-
일본 소설, 라노벨이 잔뜩 나온다면 당직사관이 어케 생각하려나
-
나도 ㅇㅈ함 1
9라임
-
군의관으로 갈거임?
-
그래서 정시일반으로 왔어요ㅠ
-
평행이동 대칭이동에서 깨달음을 얻은..
-
군대에서 읽을 책들 15
사실 이중 하나는 군대에서 덩기책 뺏어 읽어서 소장용으로 산거긴함
-
올해는 메디컬 정시 일반하고 정시 지둔 차이 클까요? 3
둘 다 작년보단 오르겠지만 전자는 겁나 오름, 후자는 조금 오름 이정돈가
-
기분좋아서ㅇㅈ 11
하면후회하겟죠 그래서안함
-
내가요루시카를이렇게좋아하는데에는이유가있음
-
작수 패망하고 상주중임…
-
그랫던걸가 쉽게 행복하고 싶단말이지
-
이거의 존재를 알게된건 실모 난이도 검색해보려다가 알게됐고(작년 여름 정도) 첨...
-
입르비 계기 9
쇼츠보는데 심찬우가 x+1=0 묻고있었음
-
한잔 했습니다 2
요새 좀 많이 힘드네요 괜찮은척은 하는데
-
작년기준 대구한 8명 동의한 3명이 끝임.. 전국 11명밖에 없음..
-
콜드 플레이 공연이후 계속 생각나 Higher power Yellow The...
-
하필이면 패션이과 시리즈 김준 화1 영상을 봐버린거임 하
-
이거 맞나 겨울부터 정법 열심히 했는데 1년 넘게 놓았던 지1이 더 잘 풀림...
-
성적표 어케 확인하나요... 러셀 사이트에 조회해도 안 뜨네요 저만 그런가요
-
투척하러 감
-
네이놈! 너무어렵잔노
-
노베특 아니고 내 특 1. 문제 하나 풀고 답지 봄 2. 문제 하나 맞고 틀리고에...
-
원래 뉴런이 압도적이지 않았나요..? 작수 미적 2틀(1찍맞이라 사실상 3틀) 공통...
-
버티자 2
무슨 일이 있어도 버티자.
-
급해!!회계 잘 아는 사람??!! 중급회계 유형자산 질문이야!!! 0
너무 쉬운 걸 물어보는거 같긴 한데… ㅎㅎ 특정목적차입금이랑 일반목적차입금 계산하는...
-
12월말에 시작했으니 4달 걸렸네 실질적으로 한건 4주도 안되지만 드디어 끝냈다 이놈
-
흠..
-
국어 -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 (백분위 98) 수학 - 2022학년도...
-
닥눈2년 4
가입은 2021년 말인데 글 막 쓴 거는 2024년 초임
-
오래된 생각이다
젊은 날의 초상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어려움...ㅠㅠ
ㅠㅠ동감
글쎄요..... 저는 그냥 심리과정에 주목했는데요, 왜 수용하게 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면 타당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즉 근거가 있다고 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애초에 이 주인공은 왜 그것을 수용하게 되었을가요? 뭔가 이유가 있겠죠, 그 이유가 그것의 불가피성이라고 본다면(갈매기와 상황을 연결 시켜보세요, 살아나길 바라고 바라고 바랬는데 못살아났죠, 그리고 서술사자 직접 자기와 같다고 말했으므로 갈매기와 주인공을 같다고 본다면 바라고 바랬는데 결국 죽었으므로 피하루 없다고 볼수 있죠)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 작품에서
1. 화자가 갈매기를 불쌍하게 여긴다 ( o )
2. 절망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그것을 극복하였다 (x)
2번이 틀린게 정말 이해안가요 2번이 주제 아닌가요..
1번은 정말 불쌍하게 여긴건가요..
인강선생 파이널교재에 제가 그냥 너무 과민반응하는거같긴한데
한 작품에서 이렇게 틀려보긴처음이라..
권규호 푸시나요? 41번 문제인데, 그거 주제 문제가 아니라 그냥 이해 문제같구요, 일단 주제문제로 봐도 상관없어요, 왜냐면 2번 진술자체가 틀려요, 극복하지 않았어요, 다만 수용했을 뿐이죠, 극복과 수용은 다른거에요, 절망속에서도 살아가는 것과 절망자체를 극복하여 절망이 없는 상태는 엄연히 다른거죠.
수용도 극복의 범주에 들어가죠...
그럴수도 있지만, 뭐 1번 자체는 맞는 맞는얘기고, 극복의 수단으로서의 수용이 아니라 목적이 되는 수용(다시말해서 절망을 수용하므로서 극복하는 것과 절망을 그 자체를 극복하는 것)은 조금 핀트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어려운 처지(시기)를 극복했다는 것은 어려운 시기 자체가 지나가고 그것이 없는 상태를 얘기하는 반면 어려운 처지를 수용하여 극복했다는 것은 그것을 가지고 계속 견뎌 나가겠다는 것을 의미하는게 조금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