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 생명과학1 - 기계적 풀이를 위한 공부법-2018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015931
17 수능 1페이지 지면해설.pdf
안녕하세요 유전무죄 저자 생강입니다.
공부법에 있어서 진리 같은 것은 없습니다. 괜찮다고 판단되면 시도해보는 것이고 뭐 이런 방법이 다 있냐고 생각되면 무시하시면 됩니다.
실천하는데 힘들고 복잡한 내용이 아니고 간단히 하실 수 있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정말 도움이 될 그런 내용입니다.
이 방법의 효과 중 하나는 큰 거부감 없이 2회독을 마칠 수 있다는 것과 문제를 푸는 것과 동시에 개념을 복습할 수 있고 구멍난 부분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며 유기적인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저는 기출에 대한 혹은 다른 문제집이더라도 풀기만 하는 무의미한 회독은 크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목적을 가지고 의식해가며 문제를 풀어가면서 놓친 것이 없는지 찾아보며 하는 회독이라면 얻어가는 것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첨부한 사진은 이미 아시는 분도 있으시고 처음 보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2017수능 생명과학1의 첫 페이지입니다. (자세히 보고싶으신 분들은 첨부파일 확인하시면 됩니다. 화질이 조금 떨어집니다)ㅍ
설명 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1. 문제를 우선 쭉 다 푸신다음 채점하시고 2. 틀린 문제, 맞은 문제 상관없이 모든 문제에 하셔야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빨간 펜으로 간단하게 이것저것 적혀있는데 간략한 해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빨간 펜으로 적은 내용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한 가지는 단순한 A, B, C 혹은 (가), (나) 와 같이 무엇인지 알려주지 않은 내용을 결정해 적은 것과 다른 한 가지는 에서 옳은 보기와 옳지 않은 보기가 있는데 그 보기를 수정 및 보충한 내용들입니다.
우선 틀린 선지의 경우에 만약 A는 B이다 라고 적혀있는 선지가 틀렸다면 실제로 A는 뭔지 A가 C라면 A는 C이다. 라고 적고 B는 또 뭔지 B가 D이면 B는 D이다. 이런 식으로 수정해서 적으시길 바랍니다.
맞는 선지의 경우엔 고칠 것은 없지만 1번을 예로들면 ㄴ보기에서 단백질이 있다는데 어떤 단백질인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대표적으로 염색사의 히스톤 단백질과 인을 옆에 적었습니다. (이 내용은 틀린 보기에도 해당되겠네요.) 이런 식으로 내용 추가를 하세요.
그리고 선지의 옳고 그름과 관계없이 사진의 2번처럼 ㄱ보기 옆 공간에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를 간단히 적어두었는데, 보기를 보시다가 어. 여기엔 뭐랑 뭐가 해당되지? 하고 의문이 생겼을 때 즉각적으로 떠오르는 내용이라면 넘어가시고 좀 생각해야 떠오르거나 찝찝하다 싶으시면 바로 옆에다가 개념 부분 찾아서 메모하시면 됩니다. 이건 내용을 보충하는 느낌입니다.
모든 사례를 제가 말씀드릴 순 없으나 사진을 한번 보시고 어느 정도 선까지 적는 것이 맞다는 걸 본인이 직접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한번 판단해보시고 지금까지 풀었던 문제집 같은 혹은 앞으로 푸실 문제집에 한번 해보세요.
당연하고 뻔한 것 같은데 막상 적으려하니 생각했던 것과 달리 좀 헷갈리거나 긴가민가한 것들이 꽤나 생길 겁니다. 그럼 다시 찾아보고 확인하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개념의 복습 및 백지에다가 써내려가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생기며 그런 식으로 다시 학습하게 되면 기억에도 오래 남습니다.
실제로 생명과학1에서 순간순간 선지를 보고 옳고 그름을 기계적으로 판단해야하는데 순간순간의 개념적용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위에 말씀드린 내용들은 본인이 직접 혼자서 작성 가능한 내용들이며 해설지에는 좀 더 깊은 내용 혹은 빠트린 내용이 적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또 해설지보면서 빠트린 내용과 몰랐던 추가 내용이 없는지 확인하신 뒤 있다면 옆에 간단히 적으시면 됩니다.
그런 다음 나중에 다 푸시고 간단히 메모해놓은 내용들을 시간 날 때 한 번씩 보세요. 이렇게 하시면 답지의 좀 더 깊은 내용으로 흔히 걱정하는 지엽도 대부분 대비가 가능합니다.
EBS연계교재, 기출문제 등 모든 문제집에 적용하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유전은 안하셔도 됩니다. 직접 보셔도 뭘 어떻게 메모해야할지 감이 안 잡힐거에요. 그냥 한, 두 번 정도 새로 풀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의미 없이 또 풀기만 하지 마시고 어떤 논리구조가 쓰였는지 찾아보세요. (이 느낌은 제 이전 칼럼인 과연 귀류법일까? : http://orbi.kr/00010633290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위의 내용은 작년에 올라왔던 칼럼을 수정 보완한 내용이고 아래 내용은 거기에 또 추가된 내용입니다.
두 번째로는 각 보기에서 내가 알고 있는 개념들이 어떻게 쓰였는지를 확인하면서 보세요.
문제를 푸시면 보기를 딱 보고 아 이건 맞다, 틀리다. 와 같은 판단이 곧바로 설 겁니다. 그러나 시험장에서는 당연히 저렇게 판단하고 넘어가시면 되지만 공부를 하실 때에는 한 번 더 깊게 보시라는 의미입니다.
이 문제는 170607입니다.
ㄷ보기를 보면 ㉠에는 요소의 이동이 포함된다. 라고 했는데 여기에는
1. 영양소가 들어가고 흡수되지 않은 물질이 나오는 것은 소화계이다.
2. 간은 소화계이다.
3. 간에서 암모니아가 요소로 전환된다.
4. 요소는 배설계를 통해 배출된다.
5. 배설계에서 오줌이 나온다.
6. 순환계는 각 기관계를 연결 해준다.
정도의 개념이 쓰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들을 모두 조합하면 간에서 암모니아가 요소로 전환되는데 간은 소화계이다.
따라서 간은 소화계인 (가)에 포함되고 전환된 요소는 배설계를 통해 빠져나가야하는데
(나)가 배설계니까 순환계의 도움을 받아 (가)에서 (나)로 요소가 옮겨져 가야한다
따라서 ㉠에는 요소의 이동이 포함된다.
정도가 됩니다.
이것들을 모두 적으라는 것은 아니고 보기를 보면서 그때그때 쓰인 개념들을 떠올리면서 넘어가시라는 겁니다.
따라서 선지자체에 본인이 알고 있는 개념들을 대응 시키는 것을 연습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 방법은 개념의 적용. 복습. 학습. 지엽 등 여러 가지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위의 내용을 하면 꽤나 시간이 걸릴 겁니다. 또 이런 뻔하고 쓸데없는 짓을 왜 해야하는걸까... 하고 의문을 갖는 분도 계실 겁니다. 하지만 생명과학1은 갈수록 타임어택성이 짙어지고 유전문제와 신 유형들 때문에 시간확보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개념암기를 바탕으로한 기계적 풀이의 연습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평소에도 빨리 푸시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공부할 때는 세월아 네월아... 천천히 풀고 시험장에서만 급하게 풀려하면 과연 잘 될까요...? 의도하는 속도를 사고 속도가 따라잡지 못하면 실수가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평소 공부하실 때도 빠르게 푸시는 연습을 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지향하는 바는 여타 선생님들과는 조금 다를 수도 있습니다. 30분동안 20문제를 다 풀자. 가 아니라 최대한 빨리 풀자. 이니까요. 따라서 제가 쓰는 칼럼의 전체적인 방향은 최대한 빨리 풀기위해 시간을 계속 단축하는 방법에 포커싱이 되어있습니다.
공부법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사람마다 맞을 수도 있고 잘 안맞을 수도 있습니다. 밑져야 본전이니 한번해보시고 괜찮은 거 같다고 생각하시면 쭉 하시면 되고 이건 별로다 내가 이 짓을 왜해야하냐 라고 생각하신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 떠나시면 됩니다. 일종의 시행착오를 겪었다고 생각하시고요.
긴 글 읽으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따봉충인데 좋아요 하나씩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이번 수능문제에서 첫 페이지는 감독간의 제제가 없었다면 시험 시작 전에 눈으로 모두 푸셨어야합니다.
그리고 유전 수업관련 문의를 주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카카오톡 ID : 생강유전무죄로 질문해주시길 바랍니다. 오르비 쪽지는 조금 불편합니다.
옐로우아이디로 기타 생1 질문도 하셔도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생1 기계적풀이를 위한 공부법 : 본 글.
2015수특 문항선별 : http://orbi.kr/0007790718
지엽.. : http://orbi.kr/0007923459
질문 받음 : http://orbi.kr/0008052919
2016 3월학평 간략해설 및 분석 + 자주받는 질문 모음 : http://orbi.kr/0008121356
일간생강(생1유전기출분석) 1호 : http://orbi.kr/0008182620
일간생강(생1유전기출분석) 2호, 3호 : http://orbi.kr/0008205820
4월학평 주요문항 해설 및 후기 : http://orbi.kr/0008246196
일간생강(생1유전기출분석) 4호 : http://orbi.kr/0008334734
17 6평 해설, 코멘트, 사고의 흐름 : http://orbi.kr/0008520960
17 10월 학평 9번의 해설 오류? : http://orbi.kr/0009344408
과연 귀류법일까? : http://orbi.kr/00010633290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 전적대가 전문대라 학점이 거의 만점에 가까운데 괜찮은 학교에서 3후반~4점대...
-
현강 녹화해서 올려놓은게 인강이라 본인이 할 의지만 있으면 값도 더 싸고 돌려볼수도...
-
지금 397도 불합이 떴다는 얘기가 있던데 이번에 터진 건가요? 타대학 예비 받은...
-
광운-건축 성신여-신소재공 한국외-바이오메디컬 원서를 써야하는데 3개가 고민됩니다...
-
한때 메디컬 편입 생각했던 사람이었고, 실제로 제 학교에서 친해진 편입생 선배들이랑...
-
소프트웨어 전공입니다 2학년 1학기까지는 4점대~3점후반대 0.0몇점 차이로...
-
편입 0
인서울권 편입 학업 계획서나 면접 안보는 곳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2025 일반 편입으로 한양대 에리카, 경북/부산대 컴공에 일반편입...
-
시대 강대 스투 S2 : 6평 편입 , 6모 편입 관련 글 1
커트라인 문의가 있어서 쓰는 글 작년 기준: 시대 대치 6평 편입 없음 스투 편입...
-
한기대 산업경영 붙었거든요 지원이 빵빵하고 IPP제도로 인턴?이런걸 해야하고 그래서...
-
시대 편입 1
시대 편입 대기자 안내 받았는데 대기자면 장학금은 꿈도 못 꾸는거겠죠…?
-
https://cafe.naver.com/20080302/1118393 이거 정리...
-
지잡 공대 다니는데 편입생각중인데 아무래도 여기 등급대를 생각해보면 노베라고 봐도...
-
둘 중에 뭐가 더 성공률이 높나요? 반수하고 싶긴 한데 현역 때 수시만 생각하기도...
-
24살 8월 전역입니다 예체능으로 2학년 1학기까지 학교를 다니다 전공과 맞지 않아...
-
근데 이주호 교전원이나 편입티오나 참 뭣같은 정책만 계속하는듯 0
예전에 이명박때 편입 박살내서 한번 지방대는 영원히 지방대 만든것을 시작으로...
-
이과 편입 고민 0
현역 정시로 인서울 합격한 22입니다 작년 수능 끝나고 주변 방해(내신이랑 정시...
-
고민입니다ㅜㅜ
-
제가 수능성적으로는 당장 못 들어가서 6모 성적으로 들어가려고 하는데 6모 성적으로...
-
과기대 컴공 3학년인데 편입 ㅈㄴ고민된다.. 과는 컴공 그대로 갈꺼고 건동홍으로...
-
편입 0
보건계열에서 사회학과로 편입 가능한지 아시는 분 있나요?!?!?! 현재 대학에는...
-
백분위합(탐구:평균) 290.5 + 영어2등급이면 빡센가요
-
수의대생인데 한의대 27
지금 시험기간인 지방수의대 본3입니다. 재수해서 들어갔는데, 재수할 당시에도 한의대...
-
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 입학 예정중이고 1번의 기회에 도전을 하려고 합니다 ( 2+4...
-
내년 6월에 전역하는 군돌이 입니다. (21살) 고1,2 공부도 거의 안 하고 고3...
-
약대 편입 준비를 고려 중인 20학번 새내기입니당. 셀프 조사 결과.. 대부분...
-
연고서성한 편입 0
이제 대학교 2학년 들어가는데, 연고서성한 편입을 학교 병행하면서 하기에는 많이...
-
인문 사회..... 2020모의논술 재밌게 나왔네요 신촌와서 논술 공부중 늙은이지만 나름..
-
재수 vs 편입 3
건국대 공대 1학년인데요, 연고한성 정도까지의 공대로 가고 싶습니다 ㅠㅠㅠ 편입을...
-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남들이 모두 선망하는 편한 길보다 진짜 꿈을...
-
추가합격 마감 뒤에 '등록 포기'..예비 순번자 '분통' 0
https://news.v.daum.net/v/20190224205217804...
-
현재 한서삼라인에 합격한 신입생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방에서...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arde...
-
학사편입 합격으로 꼬추 떼고 민번 고치기 전까지 못따는거 빼고 뱃지 다쓸어갈텐데
-
지잡대 전자공학과를 다니는 1학년입니다. 수시납치?를 당해서 재수할려했는데 1년동안...
-
삼반수?편입? 2
인서울 끝자락 1학년 공대생입니다..재수 했구요. 삼반수, 편입에 대해 고민하고...
-
중경외시 라인 영문학 재학중인데 이제 막학기입니다. 학점은 3점 초반대고 큰...
-
뭐 우리 오르비 유저분들은 거들떠도 보지않는 학교들이지만 그래도 제가 지금 목표로...
-
중경외시 ->스카이 가능한가요? 어디서부터 준비해야하나요.. 정보가 하나도 없습니다 ㅠㅠ
-
편입생 보는 시선과 어떻게 들어가셨는지 궁금하네요
-
어느 정도 난이도인지도 봐야겠고, 천천히 대비해봐야겠다 싶어서 자료를 찾는 중인데...
-
편입 질문.. 0
일단 제 상황을 말씀드리면 2017년 올해 문과 21살 남자구요 상경계로의...
-
재수 실패하고 문과 학사 편입을 준비 중입니다 조언 부탁드려요 9
고등학교 3년 스노보드를 타며 특기생 준비를 했습니다 하지만 대학을 가기엔 형편없는...
-
삼수생입니다. 현역때 놀고, 재수 때 신나게 놀고, 삼수 초엔 우울증+강박증에...
-
연대 편입 1
서강대 신방과에서 연대 신방과로 편입 많이 힘든가요? 편입한다면 연대는 몇학년부터 다니는건가요?
-
어언 수능을 친지도 1년이 흘러가네요. 글에 앞서 이 순간에도 꿈을 향해 펜을 잡고...
-
제곧내
-
6월 개강반 장학할인 이벤트 선착순 모집중]★ 사회복지사/평생교육사/민간자격증★▶[ 0
◆학위취득/사회복지사/보육교사/청소년지도사...
-
같은 대학(서울 최상위권 대학)을 목표로 한다고 할 때 수능이랑 편입이랑 성공...
-
텝스 점수로 치면 대충 어느정도...? 학바학이 나올것같으니 연고공 편입 기준으로...
저 따봉충인데 좋아요 하나씩 부탁드립니다
생강님 개그캐릭 아니었나요????
와 낯설다..
성명 생강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드립을 그렇게 치시더니, 진지글로 사람 현웃터지게 만드시네..
생강센빠이.,,저올해 생1봅니다..
진짜 이거 개꿀입니다 ㄹㅇ.. 생강님 말씀대로 기출풀었더니 약간 30분컷에 걸리는 시간은 수능때 20분으로 줄고 실수도 줄일수있었습니다
정독했어용
근데 저희 수능응시장은 시험지나눠주고 눈감아라 막 그러던데ㅜㅜ..
그건 약간 운에 걸리는데 할 수 있으면 최대한으로 활용하셨으면 합니다.
허용하는 감독관도 있고 아닌 감독관도 있습니다...
이런 글 보고 팔로우 했다가 개그때문에 심란해짐
수능7번ㄷ 비슷한 문제가 모의고사에 출제된적있었나요??
수능이 아니라 6월 모의 문제입니다!
근본적으로 묻는 내용은 이전의 기출에 비춰보았을 때 간이 소화계냐? 인 것 같습니다.
단순 암기형으로 묻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거기에 개념 몇개를 더 결합시켜 추론형으로 바뀐 것으로 예상됩니다.
천재 생강님 굳
고1때 내신으로 한번 생1쭉 하고 2학년때 내신생2하느라 개념 많이 까먹었는데요 2,3단원은 인강 듣고 있는데 1,4같은경우 걍 독학하고 싶은데 무슨책이 좋을까요?
독학이면 교과서 보셔도 되고(천재교육)
위에 제가 설명드린 방법으로 공부하시면 그냥 수특 보셔도 무방...
생강형님 글내리지마세요 계속보고싶어
문과도 이해가능한가요?
아무도 파일 언급을 안하셔서 몰랐는데
파일에 아무것도 없어서 재업로드 하였습니다.
눈으로 풀었지만 여보젓가락살까 해놓고 다당류로 씀 ㅋㅋㅋ
저도...
ㅇ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