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킹콩 [589097] · MS 2015 · 쪽지

2016-01-23 20:53:25
조회수 73,306

쌩삼수 서울대)) 대학생활팁 6.동아리의 모든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730426

---------------------------------------------

2016년 12월 21일 수정했습니다.

제가 쓴 글들이 책 으로 출간되었습니다.

(홍보 내용 뒤 본문 이어집니다.)

신환회, 새터에서부터 자기소개, 장기자랑, 술자리 대처법그리고 선배와 밥약잡기, 인싸아싸, 통학/기숙사/자취, 동아리 등 대학생활과
미팅, 소개팅, CC에 관한 이야기와 더불어
수강신청잘하는방법, 대학교공부법, 전과, 복전/부전 등등

제가 8년간의 대학생활을 겪으면서 얻었던 경험치들을
대학교 신입생들을 위한 대학생활팁으로 죄다 쏟아냈습니다 ㅎㅎ

예쓰24나 교보에서 용킹콩 또는 대학생활팁으로 검색해주세요


------------------------------------------------


이번꺼도 깁니다ㅠㅠ 늦어서 죄송합니다.




이번 글은


1.동아리다.

동아리는 고등학교 CA(Club Activity)시간에 많이들 해봤을 바로 그거다.

일반적으로 대학교의 동아리는 고등학교에 비해 훨씬 활성화되어 있다.


사실 동아리생활이 대학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사람마다 다르다.

앞글에서 썼던 것처럼과생활은 입학 후 자동적으로 배치받는 것인 반면

동아리는 본인의 선택이다.

바꿔 말하자면 대학생활 내내 동아리 하나 없이 지낼 수도 있다.

또 누군가에게는 동아리가 과만큼혹은 그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울대 철학과에 입학했던 이순재님의 경우

대학교에서 연극동아리를 하시다가 연기 쪽으로 빠지셨다고 한다.


한편 과생활만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1학년, 2학년 1학기 정도를 지나면서 과생활에서의 활동이

크게 줄어든다왜냐하면 과생활의 중심을 늘 2학년과 새내기이기 때문.

그러다보니 동아리 혹은 기타 단체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

과생활로 생겼던 친구 외에 새로운 인간관계가 자연스럽게

생기기는 어렵다.


결국

1학년 때 과생활을 하며 인간관계를 맺었던 사람이라면

2학년 1학기 이후에는 사람에 대한 갈증이 생길 거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아리는 필수는 아니지만 꽤나 필요한 집단이다.

물론 고시 등 공부를 하고자 한다면 동아리는 비추다시간은 분명히 뺏기니까



나 같은 경우

테니스동아리클래식기타동아리같은 단과대학 동아리(단대동아리)들과

헬스동아리스피치동아리창업동아리같은 중앙동아리에서 활동했었고,

또 직접 친구선후배와 독서토론 동아리를 만들기도 했고(몇 기째 성업 중)

학교 바깥에서 다양한 학교 사람들과 함께 강연을 주제로 한 연합동아리활동(성비 개여초),

외부재단 지원 통일세미나 활동(돈 많이 줌)

국회에서 했던 활동,

지방 고등학교들로 몇 차례 멘토링봉사활동,

가출청소년과 보호관찰청소년 상대로 멘토링봉사활동 경험

학생회장 활동총학생회선거(되진 못함)까지 다양하게 했었음


이러한 경험들을 토대로 해서

이번 글에서는 동아리의 종류특성들에 대해 간략히 짚을 거다.(너무 뻔한 내용이긴 함)

내가 생각하는 동아리 선택기준과 시기별 동아리 추천에 대해 제시해보고,

예상 질문에 대해 답하는 순서로 서술하였다.



동아리는

네이버사전에 찾아보니

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라고 나온다.


사실 동아리는 별거 없이 특정한 목적을 가진 모임임.


즉 다시 말해 지금 이글 보던 사람이 지금 이 순간부터 난 김밥먹기 동아리 소속이다.

하면 동아리는 생기는 것임.


다만 학교에서 인정받는 공식 동아리는 거기에 필요한 조건들을 갖춰야 한다.

예를 들어 서울대 경영대 공식 동아리가 되기 위해서는 경영대 학생이 몇 명은 있어야 한다는 인적구성 조건과 대학교 동아리로 걸맞은 목적의 조건을 가져야 한다.


각각의 동아리에는 각각의 목적(내용주제)이 있음

축구 동아리는 모여서 축구를 하고,

토론동아리는 모여서 토론을 함.

따라서 뭐든 대학생이 할 수 있는 거라면그것을 주제로 한 동아리는 존재하기 마련.

없다면 만들면 된다.


따라서 먼저 동아리의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다루고 서울대학교 중앙동아리 리스트를 통해 어떤 동아리들이 있는지 다뤄보고자 함



2.동아리의 특징


1)활동방식에 따른 특징

동아리라면 특정한 목적(연극축구토론봉사)이 있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결국 작으나 크나 행사(공연대회세미나활동)를 진행해야함

그 행사를 얼마에 한번 하나로 기준을 나눠볼 수 있다.


(a)일주일마다 한 번씩 행사를 진행하는 동아리

주로 학술동아리에서 이렇게 함일주일에 한 번씩 모여서 행사(세션/세미나)을 진행함.

세션 때 하는 것은 발표일 수도 있고 회의가 될 수도.

발표일 경우 이 모임날 발표를 하기 위해서 일주일동안 준비를 하는 거고

회의의 경우이 모임날 결정된 일들을 다음 주 모임 전까지 수행하는 것.



(b)한 학기/일 년에 한 번씩 행사를 치르는 동아리

앞서 언급된 일주일단위로 행사(세션)을 여는 동아리가 아닌 대부분의 동아리들은

보통 한 학기 혹은 일 년에 한 번씩 행사를 치름.

이를테면 밴드/연극동아리가 한 학기동안 준비해서 정기공연을 한다거나

만화/서예동아리가 전시전을 연다거나

봉사동아리가 한 학기 준비해서 행사를 간다거나

운동동아리가 대회에 참가하거나 대회를 개최함.



(c)아무것도 하지 않는 동아리

아직 만들어져가는 동아리거나 사실상 죽어가는 동아리라고 보면 됨.

이를테면 연극동아리인데 연극무대를 안올린다?

토론동아리인데 세미나를 안 한다?

동아리 회장 등 리더가 무능력하거나동아리에 행사를 할 역량이 안 되는 것.

물론 앞으로 걸출한 인물이 회장이 되어 새롭게 동아리를 일으킬 수도 있다.

자고로 동아리라면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들에게 동기 부여할 만한 어떤 행사가 있어야 함.



2)동아리원 뽑는 방식에 따른 특징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동아리라고 한다면 매학기 또는 매년 신입을 받아야 함.

동아리가 새로운 사람을 뽑는 방식에 따라 분류가 가능함


(a)서류나 오디션이나 면접을 봐서 칼같이 자르는 동아리

지원하라고 서류를 꾸밀 정도오디션을 볼 정도면접을 볼 정도의 여력은 된다는 것즉 뽑는 정원보다 지원자가 많다는 것그만큼 동아리에 들어온 사람들이 나름 동아리에 자부심을 많이들 갖게 됨밴드부연극부학술동아리들이 이런 형태를 취함.

근데 가끔 면접본 사람 다 뽑는 것도 있음.



(b)들어오는 대로 다 받는 동아리

서울대학교 중앙동아리에서는 면접오디션 등으로 가입에 제한을 가할 수 없음따라서 들어오는 대로 다 받지만그만큼 다 일일이 케어해주는 것도 아님즉 나가도 붙잡진 않는다는 게 또 하나의 특징예를 들어 서울대학교 중앙동아리 댄스동아리들이 이런다와서 강제로 연습을 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못하면 쪽팔려서라도 열심히 하든가나가든가.



(c)들어와 달라고 애원하는 동아리

음 애원이라니 말이 좀 심했긴 한데아직 신생이거나쇠퇴하는 동아리가 많이 이렇다즉 사람들이 많이 몰릴 만큼 인기 있는 동아리도 아니고그렇다고 서류나 면접으로 거를 역량이 있는 동아리가 아닌 경우!



3) 내용추가 예정

 


4)서울대학교 공식 중앙동아리들

생각보다 많은 동아리가 있어서 놀람.

뭐하는 곳인지 모르는 곳은 표시안함.



(a)학술매체분과 학술동아리들

고전연구회

그림터 - 만화

다담 토론

방송연구회

씨알 환경보호활동

얄라셩 영화

자본주의연구회 사회주의 공부

총문학연구회

필화 글쓰기?

AIESEC - 대학생리더십

ISA


(b)무예운동분과 운동무술 동아리

기천

전통무예연구회

태극권연구회

파아란

HOBAS - 농구

SNUPOOL - 수영

SNURFER - 스노보드

Soccer21 - 축구

달리샤 달리기

***이 외 등록 안 되었거나체육교육과 소속의 운동부 다양하게 존재함.

서울대 야구부탁구부배구부태권도부검도부역도부 등


(c)연행예술분과 공연하는 동아리들

골패 마임(민중가요에 맞춰 춤추기)

기타둥둥

마당패탈

메아리

바운스팩토리 힙합

사운드림 밴드

서울대학교 합창단 합창

여민락 - 국악연주

인스트루

쟈스민 재즈댄스

총연극회 연극

추임새

화현회 클래식기타

HIS - 요즘 가장 핫한 동아리

JIVE - 

Morphine - 

SNUPia - 피아노 동아리

SNUPO - 오케스트라 동아리

알쿨 알쿨렐레 악기 연주


(d)종교분과 천주교교회불교원불교 등 종교에 관한 동아리들

네비게이토선교회 길가는 사람한테 전도

수행불교회

울톨릭

원불교학생회

증산도학생회

총불교학생회 이 동아리방 안에 정말 황금불상 있음

한기연

한사랑선교회

CAM

CBA

CCC

IVF

JOY

SFC

UBF

YWAM


(e)취미교양분과 취미동아리들

괴나리 여행 동아리

노둣돌

노이타미나 애니메이션동아리

몽환 마술동아리

미동 그림동아리

바둑부 바둑동아리

서예회 서예동아리

야생조류연구회 -야생조류관찰동아리

영상 사진동아리

AAA - 천문관측동아리

Appey Road

caffe

EHSA - 영어회화동아리

FIESTA - 춤동아리

SCSC


(f)인권봉사동아리 봉사동아리 혹은 인권 관련 동아리

골뱅이 인;연맺기학교

국제학생회(ISF)

다솜공부방

손말사랑 수화

아름터

유니피스

햇빛봉사단 해비타트 집지어주는 운동

GIV - 기부

QIS - 소수성애자 모임학생회관 3층에 명패가 없는 동방이 있는데애들이 비밀의 방이라고 부름



음 동아리가 엄청 많았군처음 들어보는 동아리들이 엄청 많았음.

혹시 뭐하는 건지 궁금한 사람은 질문해주면 찾아서 알려주겠음.

이중에서 AAA, 몽환, EHSA가 서울대 3대 연애동아리라고 함.

물론 간다고 이성친구가 생기는 건 아님




3.동아리 선택기준

사실 동아리는 본인이 하고 싶은걸 하면 됨.

그렇지만 굳이 선택기준에 대해서 제시해주자면 다음과 같음


1)자신이 친해지고 싶은 사람이 있는 동아리

그게 선배여도 되고이성이어도 됨근데 굳이 선배랑은 과생활이나 개인적으로 친해지면 되지 굳이 동아리까지 들어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이성친구로 만들고 싶은 사람이라면자연스러운 만남을 위해 동아리라도 들어가서 쟁취해라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굴로 들어가야지!

사람만 보고 들어갔다 의외로 그 동아리의 주제가 나랑 잘 맞아서 그 사람 없이도 동아리 활동하게 될 수도 있지만, 안 맞을 경우 대학생활 헛보내게 될 수도 있단 거.



2)자신이 하고 싶은 동아리

새로 하고 싶은 운동공부취미혹은 예전에 했었지만 다시 시작하고 싶은 거 등자신이 하고 싶다면 하면 됨연극하고 싶었던 사람뮤지컬해보고 싶었던 사람 직접 동아리를 통해서 하면 됨이순재도 그렇게 시작했음.



3)자신에게 도움이 될 것 같은 동아리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자신이 하면 도움이 될 것 같은 동아리예를 들어 스피치 동아리나봉사동아리학술동아리가 그런 류물론 자신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자신이 하고 싶을 수도 있음.


결론은 하고 싶으면 해라.



단 배제해야 될 것이 있다면

4)누가 시켜서 하는 동아리는 하지마라

1학년 1학기 초에 많이들 하게 되는 실수인데친한 선배가 들어오랬다고 아무 생각 없이 들어갔다가 죽 눌러앉게 되는 경우가 많다내 반 후배가 그렇게 친한 선배 때문에 야구부 들어갔다고 몸 고생마음 고생하는 거 봤었음.

자기가 하고 싶지 않으면 관둬도 되는 게 동아리다누가 뭐라고 하면 네가 내 인생내 시간 책임져 줄거냐고 되묻고 나와라.



4.내 동아리 경험담


(a)테니스&클래식기타 동아리

- 1학년 1학기 때 친한 선배한테 붙들려서 테니스랑 클래식기타 동아리에 들어갔다둘 다 1학년 1학기 때 한학기씩 했음테니스는 지금까지도 치고 있는데기타는 잘 안 맞았음근데도 한학기는 했음심지어 공연도 했음. 8명이서 다 같이 연주하는건데나는 맨 뒷줄에서 치는 척만 함.



(b)헬스동아리

여기서 활동하면서 진짜 온몸 우락부락한 선배동기후배들 많이 봤음어느 집단이나 한명씩 있는 운동쟁이들을 죄다 모아놓은 느낌이 동아리는 한 학기에 한번씩 미스터스누라고 일종의 몸짱대회 열었음참고로 나는 운동 별로 안 해서 안나감.



(c)스피치동아리

일주일에 한 번씩 주제와 형식 정해서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동아리였음연습은 많이 했음사람들 앞에서 말할 때 떨진 않지만 아나운서처럼은 안 되는구나 깨달음.



(d)창업동아리

여기에 나름 성공하신 분 많았음뭐 게임회사 만드시고 주식 수천억대 부자이신 분들 말고 자잘하게 이투스 창립해서 SK에 파신 분도 계시고공신 창립자 강성태 다 여기 분들이었음나는 여기서 활동하면서 창업에 대한 꿈을 접음.


(e)독서토론 동아리

직접 친구선후배와 함께 만듦지금도 활발하게 잘 돌아가는 중.


(f)연합동아리활동

성비가 여초 3:1. 재밌었음동방이 홍대쪽이라 일주일에 하루씩 꼭 홍대에 갔음.

근데 얼마 전에 창립세력과 신진세력 간 다툼으로 동아리가 두 쪽이 남나는 그거보고 아 이래서 조선중기에 훈구파와 사림파가 싸웠구나 이유를 깨달았음.



5. 추천하는 시기별 동아리 활동

우선 전제할 것은 <동아리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된다>는 거다

다만 내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대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어떤 시기에는 어떤 활동을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서 이렇게 올린다.


1) 1학년 1학기 과생활 취미동아리

- 3~4월까지 과생활하면서자기가 하고 싶은 취미동아리활동 시작함.

개인적으로 가장 공부에 대한 부담이 덜할 수 있는 1학년 1학기에 연극이나 밴드동아리같은 빡센 취미동아리를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이렇게 빡센 동아리활동을 하고 나면 그 같은 활동했던 애들과는 매우 친하게 된다.

후반부로 갈수록 과생활의 비중이 줄어든다그만큼 동아리를 하지 않는 경우 학교에 왔다가 그냥 집에 가는 날들이 많아질 거다동아리에 안 들 거면 공부를 하거나 미팅소개팅하거나 이성친구 만들어라.


2) 1학년 2학기 취미동아리

후배 들어오기 전까지 과생활의 비중은 매우 낮다연고대의 경우 연고전같은게 있긴 하지만 과활동은 역시 간헐적이다.

동아리를 들었으면 이제 슬슬 공연도 하고 그럴 거다축제 때나 동아리 정기공연


3) 2학년 1학기 과생활 취미동아리

후배가 들어와서 다시 반짝 과활동 많이 한다개인적으로 이때 과반 애들이랑 더 많이 친해졌던 듯.

- 4월 달 지나가면서 다시 과활동 줄어든다동아리 안 들었으면 꽤나 할 일 별로 없을 듯할 거 없으면 군대 가라.(남자)


4) 2학년&3학년 취미동아리 or 학술동아리

남자는 군대 갔다 와서 복학을 했거나여자는 이제 남자 과동기는 전부 군대를 간 상황. 2학년 1학기 지나고 난 뒤에는 사실 과생활신입생맞이의 주인공이 아니다따라서 새로운 동아리 활동을 통해 대학생활의 새로운 활력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성친구가 있다 하더라도동아리가 없다면 이성친구 만나는 일 외엔 학교에서 할 일이 없을 듯역시 마찬가지로 활력을 얻고자 한다면 동아리를 해라.

고시생은 놀지 말고 공부해라합격하고 나서 동아리하면 됨.

진로를 위한 준비를 하기도 하지만경영대학 학생의 경우 많이들 학술동아리를 하기도 한다학술동아리들이 보통 3학기 활동을 전제조건으로 거는 경우가 많으므로, 4학년이 된 뒤에 들어가면 늦게 된다따라서 3학기 활동을 전제로 한다면 3학년 때 들어가야 한다.


5) 4학년 학술동아리 or 진로

진로가 정해졌으면(고시합격이라든가새로운 동아리 해도 됨그러나 진로모색에 열중하길.

근데 정말 본인이 하고 싶은데 못해봐서 후회할 것 같다면 취미동아리 해도 됨.


6. 내용추가 예정


  


7. 예상 질문과 답변


(a)1학년 1학기 때 과생활과 동아리병행할 수 있을까?

병행가능하다.

과생활이란 결국 몇몇 행사들 중심의 활동임말하자면 특정행사일 때만 딱 가면 되는 거다본인이 과대가 아니라고 한다면그래서 과행사를 준비하는데 일일이 참여해야 하는 게 아니라면 동아리활동이랑 병행 못할 이유는 없음.


(b)동아리 한번에 몇 개까지 하면 좋을까?

나의 경우 한 번에 가장 많은 동아리 활동을 했던 시기는 세 개였다강연동아리창업동아리학생회거기다가 학교 공부까지 더하면 4종류의 활동을 했었다근데 나는 3종류의 활동(공부 포함동아리 2)까지는 어떻게 어느 한쪽에도 소홀하지 않게 잘할 수 있다그러나 4종류의 활동을 했을 때는 한동아리가 빵꾸가 나더라.

그래서 개인적으로 학교공부를 완전 버린 게 아니라면 동아리는 2개까지가 맥시멈인 듯하다물론 동아리활동을 열심히 한다고 전제했을 때!

.


8. 마치며

사실 이글에서 가장 강조하고 싶은 내용은 하나다.

자기가 하고 싶은 동아리를 해라.


나 같은 경우 1학년 1학기 때 하고 싶은 생각 없이 테니스랑 클래식기타동아리 활동을 했다.

그러다보니 동아리에 열정이 없었다결국 시간만 날림


대학생활은 일반적으로 8학기만 한다.

그런데 어느 한 학기든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억지로 한다면

그만큼 시간낭비하는거다.

1학년 1학기라는 귀중한 시간을 낭비했던 사람으로서 다시 강조하고자 한다.


동아리할 거라면 자기가 하고 싶은 동아리를 해라.







!!


혹시 부족한 점 있거나 질문있으시면

댓글이나 쪽지 달아주세요!!!



★★★★좋아요 부탁드려요!~!!!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