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처리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37051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어의 원천]10월 대성 최고 오답률 문항과 41번 43번 해설입니다. 39
국어의 원천, 손원천쌤입니다. 학원에서 모의고사를 시행할 때마다 오답률을 검사해서...
-
[국어의 원천] 9월 대성 전국 모의고사 최고 오답률 문제와 간략한 해설 85
행복한 오전 10시를 위한 국어의 원천, 원천쌤입니다. 오늘 본 9월 대성...
-
[국어의 원천] 9평 32번 문제 해설을 빙자한 수능 기출 활용법 25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행복한 오전 10시를 위한 국어의 원천, 손원천쌤입니다.이미...
-
[국어의 원천] 9월 평가원 최고 오답률 문항 남은 기간의 공부 166
행복한 오전 10시를 위한 국어의 원천 손원천 선생입니다. 오늘 9월 평가원도...
-
[국어의 원천] 대성 8월 월례 최고 오답률 문항과 몇가지 전망 96
안녕하세요~~ 행복한 오전 10시! 국어의 원천, 손원천 선생입니다. 오늘 대성...
-
[국어의 원천] 대성 7월 모의고사 최고 오답률 문제 71
오늘 7월 모의고사가 있었지요. 원래 7월 모의고사는 6월 평가원 이전에 출제가...
-
[국어의 원천] 6월 평가원 리뷰와 오답률이 높은 문항들(최상위 기준) 95
미리 보는 한줄 요약 잉여력의 폭발? 신박한 지문들 그러나 알고 보면 복고풍!...
-
[국어의 원천] 5월 대성 전국 모의고사 최고 오답률 문항 및 클리닉 자료 130
국어의 원천 손원천 선생입니다.5월 대성 전국 모의고사가 있었습니다. 국어는 4월...
-
[국어의 원천]4월 대성 월례고사 최고 오답률 문제들과 클리닉 49
안녕하세요? 생계형 수능 국어 강사 원천쌤입니다. 오늘 4월 월례가 있었는데 대체로...
-
미리 보는 결론 1) 수능 국어 시험에서 인문, 과학 등 특정 영역의 비문학 독해를...
-
[원천쌤] 놀면 뭐하나~~ 책이나 읽읍시다. 제가 쏩니다. 105
원천쌤입니다. 새해는 잘 맞이하셨나요? 저는 새해 첫날부터 선릉에 있는 오르비...
-
안녕하세요~ 생계형 수능 국어 강사 원천쌤입니다. 최근에 오르비에서 꽤 많은 국어...
-
아녕하세요~저는 올해 수능 친 송파대성 출신 재수생입니다ㅎ 제가 국어영역에서 나름의...
-
안녕하십니까?? 생계형 수능 국어 강사 원천쌤입니다. 이 글은 [원천쌤] 수능에서...
-
[원천쌤] 집안 형편 등으로 재수를 결심하면서 고민하는 친구들을 위한 글 37
안녕하세요~생계형 국어 강사 원천쌤입니다.오늘 원래 계획에도 없는 글을 짧게 한편...
-
[원천쌤] 수능에서 국어 제시문을 대하는 올바른 자세 1 19
안녕하시니까? 1교시 80분, 45문항에 인생을 건 생계형 수능 강사 원천쌤입니다....
-
[원천쌤] 자신이 기울인 노력에 보답받지 못한 친구들에게 26
수능이 쉽고 여럽고를 떠나서본인이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지...
-
오늘 7월 대성 전국모의고사 시험이 있었습니다.강남대성에서 제가 들어가는 반...
-
[원천쌤] 6월 모평 국어시험에 대한 단상과 최고 오답률 문제들(강대기준) 42
시험 전에 떠돌던 풍문 - 쉽다. 정말 쉽다. - 교수의 참여가 적고 교사들이 많이...
-
[원천쌤] 30번 문제를 틀린 학생은 ‘존재’라는 말의 뜻과 용례도 모른다. 44
국어의 원천, 원천쌤입니다. 이 글은 30번 문제를 틀리고 단지 어휘력 부족이라고...
-
[국어] 30번 문제를 틀리고 단지 어휘력 부족이라고 생각하면 답이 없다. 55
국어의 원천, 원천쌤입니다.지난 3월 학평의 30번 어휘 문제 오답률이 상상을...
-
이 글은 틀리기가 ‘불가능에 가까운 평가원 기출’이란 글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이...
-
[원천쌤의 강력 추천글] 재수생이 재수 기간을 유익하게 보내지 못하는 이유~ 19
원천쌤입니다. 제가 평소 흠모하는 저자이자 과학자인 정재승 교수님의 칼럼의 한...
-
2012년 9월에 시행된 평가원 언어 영역은 무지하게 쉬웠습니다. 어떤 반은 언어...
-
끝내는 의대를 간 국어치 송모 학생을 추억하며 - 자신을 국어치라 여기는 학생들을...
-
전국 수석들의 특징-1 31
희비가 엇갈리는 요즘입니다. 어제 서울대 합격자 발표가 있었고 기쁜 소식을 전하는...
언제든지 등장하는 리겔님... ㅋㅋ
담주 토요일쯤에 저도 직전모의고사 하나 예정인데.. 일침을 기대해야겠군요.. ~
말씀 감사합니다... ^^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오오 훌륭한 지적 감사합니다. 리겔님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네요
앞으로는 더욱 신중하고 좋은 모의고사를 만들어서 오류없는 모의고사를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ps. 그림이 희미한것은 그림판을 한번 갔다오니까 깨지네요..ㅜㅠ 좋은 방법 있으시면 가르쳐주세요ㅜㅠ
그거 캡쳐하셔서 그림판붙혀서 저장후 불러오기하시는거면 처음 캡쳐할때 확대 만땅으로 해서 캡쳐하시면 좀 괜찬아요
일러스트레이터로 그리세요.. 가져오는건 저작권 문제에 연루되면 아주 골치아파집니다
그래서 구글에서 검색할때 재사용 가능 옵션을 추가해서 검색했습니다 ㅎㅎ
일러스트레이터로 그리기엔 저희의 손이....
저도 일러사용하는데 간편해요.. ㅋㅋㅋ
생각보다 그ㅡㅡ그그그ㅡㄱ렇게 어렵지는 않구
다음주 토요일 하신다면 기대하겠습니다 ㅎㅎ
말씀 감사합니다... ^^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제가 잘 알지 못하는 편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도움을 드리기엔 무리가 있네요 ㅠ
저는 그림판으로 합니다.
그림판으로 그정도의 그림을....ㄷㄷ 대단하십니다 ㅎㅎ
몇 시간씩 걸리는 작업입니다...
저처럼 이미 익숙해진게 아니라면
어서 다른 프로그램을 배우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피드백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나름대로 출제 의도 혹은 반박을 하겠습니다.
1번 4번 17번 18번의 지적이나 피드백은 검허히 받아들이고 다음번에 모의고사를 만든다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3번은 열곡대라는 전체 집합아래 해령이라는 부분집합이라고 수능특강에 명시해서 만들었습니다.
14번은 나름 세차운동이외에 다른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또한 저희가 공부하면서 몰랐던 내용을 복습하는 계기로 만든 모의고사이기에 다소 교육과정 외의 내용이 벗어날수도 무리인 보기들도 있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다시한번 좋은 일침 감사합니다.
3번 - 열곡대라는 전체 집합 아래 해령이라는 부분집합이 있다니... 수능 특강에 '정말로' 그런 내용이 기술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14번 - 다른 조건의 영향으로 인해 오류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문제는, A를 지구 궤도 상의 지점으로 표현하셨다는 점이지요.
개별 답변 감사드립니다... ^^
3번- 수능특강에도 그런 내용이 진짜 나와있고, 네이버 백과사전에 열곡대의 정의 아래 예시로 홍해를 언급하였습니다.
수능특강 개념 파트인가요?;
정확히 기술된 바를 혹시 알 수 있는지요...?
또한 네이버 백과사전 링크 걸어주시면 확인하겠습니다.
제가 찾기에는 안보이는데...
이렇게 발달된 열곡대가 점점 넓고 깊어지면 홍해와 같은 좁은 바다를 형성하고 더욱 발달되면 새로운 지각을 형성하는 해령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열곡 [rift, 裂谷] (두산백과)
이건가요...?
이건 홍해가 열곡대라는 것이 아닌, '홍해와 같은 바다를 형성한다'는 의미일텐데요...
14번- 굳이 연교차는 북반구이라던지 남반구 이라던지 둘다 연교차는 달라지지 않기에 오류라고 하기에는 좀 과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좀 더 확실한 표현을 썻어야 했는데 보기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북반구가 빠진 것 같습니다.
실제로 영어로 열곡대가 rift이잖아요?? 그리고 그쪽 지역에서 어떻게 표현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이에 대해 카이로 대학에서 red sea rift로 명시했고, 예맨에서도 red sea rift이라고 명시했습니다. 단지 열곡대가 바다 안으로 들어가서 해령이라고 명칭을 붙입니다.
또한, 인강사이트의 강사들의 열곡대는 열곡들이 모인것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rift라는 것은 rift valley(열곡)와 rift zone(열곡대)를 아우르는 말입니다.
'해당 의미를 정확하게 나타내는지'에 대한 지표로서는 다소 부적절하네요.
또한 열곡대는 열곡 부근의 단층까지 포함하는, 그러한 '육상 지형',
해령(oceanic ridge)은 열곡 부근의 단층까지 포함하는, 그러한 '해저 지형'입니다.
둘은 같은 지형을 나타내지만 바다를 안고 있다면 해령으로 보는 것이 적절합니다.
http://nasasearch.nasa.gov/search?utf8=%E2%9C%93&affiliate=nasa&query=rift+zone
- 美 항공우주국 NASA 지식 포털에 rift zone을 검색하면 육상 지형에 관한 자료만 노출됩니다.
http://search.usa.gov/search?affiliate=usgs&commit=Search&page=3&query=rift+zone&utf8=%E2%9C%93
- USGS 지식 포털에서도 마찬가지네요.
1번에 있어서도 화성이 타원궤도이지만, 원궤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상식이며, 배우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크다고 해도 생명가능지대를 벗어날 정도로 심하게 돌지는 않습니다. 혜성이라면 상황이 달라지긴 합니다. 또한, 오*훈강사의 교제에는 회합주기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ㄷ 보기를 제시하였고, 저희는 너무 지엽적이다고 생각해 회합주기 개념을 물으면서 ㄷ 보기를 새로 제시하였습니다.
9번도 대체로라는 표현이 있으면 좋지만, 실제로 E 교제에도 그냥 더 높고 낮다라고 제시했기에 저희는 E 교제의 표현 방식을 따라했습니다.
예, 일일이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으로 응해주셔 정말 감사드립니다...!
날카롭다 날카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