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학년도 수능 수리 경향 - 수리의 SSEN수학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21185
2010년도 수리영역 가형 기준으로 1등급 89 2등급 82였죠.. 2012학년도 수리영역 가형 기준으로 1등급 88 2등급 80~81이 거의 확정수준입니다... 작년수능은 배제하도록 하죠..
분명히 등급컷은 거의 같습니다. 하지만 그때의 문제 스타일과 올해의 문제 스타일이 좀 다릅니다.
한마디로 2010년도 유형은 저난이도, 어중간한 난이도, 고난이도가 고루 안배되어 있었죠. 그래서 시간이 좀 후달리다는 느낌이 들었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4점짜리는 확연히 4점수준의 사고력을 요하고 3점은 3점수준의 사고력을 요했고 4점 짜리 문제들이 문제해결 과정이 복잡했습니다..
하지만 2012년도 수리영역 유형은 중간난이도 문제가 확연히 없어졌다는 느낌이 납니다.. 4점 문제가 3점으로 두문제 정도 둔갑하기도 했지만, 오히려 점수 거저주고 시간내에 다 풀게하기 위해 3점짜리 문제들을 4점으로 많이 둔갑해서 투척시켜줬습니다.. 최근에는 연관성없는 개념이 섞이는 유형과 해결과정이 복잡한 유형이 많이 섞였지만 올해만큼은 그런 문제는 없습니다. 하나의 소재를, 연관성있는 개념들을 심도있게 묻는 문제들이 대부분이였고.. 4점 문제 중 대부분은 내신스타일의 문제.. 정말 쎈수학 B단계 스타일의 문제들도 있었죠. A단계의 단순 연산문제에 하나의 조건만 추가하여 연산만 하면 풀리는 쉬운 4점도 더러 있었죠.. 그리고 4점 문제 중에서도 겉으로 보면 어려울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 풀면 아무렇지도 않고 별 아이디어도 유치한 문제들도 좀 있습니다.. 13문제의 4점 문항 중에서도 5개정도의 소수의 어려운 문제들로만 변별력을 가리려는 의도가 보입니다. 그리고 어려운 문제도 전형적인 문제를 가장한 어려운 변별력 문제로 만드는 것 같습니다.
한마디로 수리영역의 SSEN수학 화 !! 라 할수 있습니다.. 물론 이 부분이 계산만 조잡한 EBS 문제들을 수능답게 바꾸다보니 좀 모순된 문제가 많이 나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은 어떤스타일이 될지 모르지만 내년에도 EBS 문제들이 계산만 조잡하고 아이디어가 없다면 결국 비슷한 스타일로 계속 갈 것으로 보입니다..뭔가 있어보이게 하기 위해 SAT 수학 스타일도 살짝 짬봉시킨거 같습니다..
EBS뿐만 아니라 쎈수학도 철저히 마스터 해야하는 상황이 올수도 있습니다.
수리..단편적 수학지식을 묻는게 아닌 사고력,창의력을 요하는 수학적 논리 테스트라는 의미가 무색해지고 그냥 내신처럼 얼마나 충실히 공부했는지..에 대한 수학자격 시험이라는 성격이 더욱 강해지는 듯한 뉘양스가 풍겼습니다. 점수를 줄려는 의도가 보였습니다.. 예전처럼 머리 좋고 타고난 사람 뿐만 아니라 쎈수학 스타일의 문제를 투척하여, 노력하고 성실한 사람에게도 1,2등급을 줄려는 의도가 보입니다..
포카칩님과 로마XX님 난만한님 도 제가 이 부분에 대한 반영을 제차 강조했고 지금도 이렇게 강조하고 있습니다. 현재 포카칩 모의평가는 1~3년전 경향만 반영되어있지 올해경향이 전혀 반영되어있지 않습니다. 해결과정만 복잡하고 전혀 연관성 없는 두 개념을 섞는 일이년전 경향만 난무합니다.. 평가원 느낌은 나나 구닥다리 기출 스타일이라는 느낌밖에 안듭니다.. 내년 포카칩 모의평가 및 저서들은 제가 여기서 분석한 부분들이 반영되었으면 합니다..과장일수도 적절할수도 있는 비유지만.. 조금 쎈수학 스타일의 문제들이 섞여야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그리고 수리영역의 스타일이 이렇게 변해가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시여 용기를 갖고 수리는 타고난자만 1등급된다는 관념을 버리고 성실히 노력하면 결국 1등급이 될 것입니다. 13학번들은 그 점을 상당히 인지하시여 용기를 갖고 힘내세요.. 그렇다고 너무 평가원을 과소평가하지 마세요.. 그들은 SSEN스타일로 내던 대학논술 스타일로 내던 결국 변별력은 어떻게던 조절합니다..
이제 앞으로도 문제집 대세흐름이....
평가원이 싫어하는 빨간글씨의 정석→개념원리→평가원 출제 기출→문제집 춘추전국시대→EBS (2010~2011)→EBS와 신사고 SSEN 수학 양대산맥 (2012~)
이 되겠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은 문제 유형임. 견수사 파견, 견당사 폐지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을 물어보는...
-
난이도: 하
-
촘촘한 선지로 문제를 구성해 보았습니다.
-
주개념서(이거 하나만 10번 읽어도 2등급 ㄱㄴ) 동사 보조개념서 각국사 대비용...
-
세계사 내신 1등급이었어서 도저히 화1 못해먹겠음 아님 그냥 화1 계속 할까요ㅇㅇ?...
-
난도: 불(1등급컷 45 예상) 틀릴만한 문항 3번: 북면관ㆍ남면관만 보면 틀린다....
-
ㅡ 동아시아사 ㅡ 1등급 50점 2등급 44~45점 3등급 39~40점 주목해볼만한...
-
2025학년도 늘잠이 한국사/동사/세사 모의고사 공개!! 16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늘잠이입니다. 벌써 교직 2년차네요 ㅎㅎ 중학교에서...
-
수능을 앞두고 마지막 주말인 11월 9일 토요일에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
수특 p23 2번 지문 100% 연계 난이도: 중하 수능특강 변형, 자작, 세사, 동사
-
10모 세계사 1
올해중에 제일 쉬운거같은데 만점표점 98은 무슨일인가요??
-
함 공부해볼까 ㅋㅋㅋㅋㅋ
-
역덕 테스트 11
이거 맞히시면 역덕 인정해드립니다
-
난도: 약불(1등급컷 47 예상) 틀릴만한 문항 3번: ‘남인’을 놓치면 틀린다....
-
다 무난하네 ㅋㅋ 근데 진짜 시험지 공개 전까지 뭔가 오늘따라 적중 예감이 있었음...
-
답지에는 수특, 수완 연계 문제, 유사한 기출 문제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실모 동사...
-
9평을 치는 동아시아사, 세계사 유저 분들을 위해 모의고사 한 세트씩...
-
9개월 만에 돌아왔습니다. 원래 6월 달에 다 완성해 놨는데 중간에 갈아엎어서...
-
내일 밤 10시, 동아시아사, 세계사 모의고사를 한 세트씩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
질문받습니다. 5
역사교육과 재학중입니다. 사범대 및 교육계열, 역사 관련 학과,...
-
정답은...
-
9월 모의고사 전에 모의고사 한 세트 배포할 생각입니다! * 이 시험은 수능특강,...
-
ㄷㄷ;
-
2025학년도 수능특강 세계사 문항 선별좌표입니다. 수능특강의 문항들은 기본적으로...
-
문제 어떤가요??
-
한사 난도: 불 (1등급 비율 10% 이하 예상) 틀릴만한 문항 10번, 19번...
-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6모 화이팅!!
-
2024 수능 20번 세계사 지식 없어도 풀 수 있습니다!
-
난이도나 퀄 평가 부탁드립니다!
-
백종원 연계 있었어? 24 9모 연계 있었어?
-
제목이 곧 내용
-
수특 연계 대신 교과서 연계 ㄷㄷ
-
세계사 지식으로 풀 수 있는 세계지리 문제 발견 ㄷㄷ 4
ㄷㄷ하네요
-
이번엔 좀 평이하게 만들어봤어요
-
뇌절 모의고사에서 그나마 쓸만한 문제들을 가져와 보았습니다 아래는 해설입니다! 7....
-
과연 결과는?
-
1. 지엽 수능 특강 구석에 있는 개념을 긁어온 유형이다. (위 두 문제는 각각...
-
중학교처럼 한국사에 세계사 소매 넣기 하면 됨 ㅇㅇ 제발
-
는 영상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ㅎㅎ 아름쌤이 말씀하시듯 2028학년도 수능은...
-
음...
-
50점 백분위 95 48점 백분위 88 47점 백분위 81 45점 백분위 75 인...
-
세계사 등급컷 6
결국 더 올라가게 되었네요... 1등급 50점 63 95 2등급 48점 62 88...
-
점수 기준은 여기 참고 https://orbi.kr/00065597067 20 수능...
-
평이 - 1점 중상 - 2점 중상(까다로움) - 3점 준킬러 - 4점 킬러 - 5점...
-
책 이름 보고 바로 스샷 찍음ㅋㅋ 시대인재 시간표 건대 수분감 중앙 현정훈 가천...
-
이 문제 보고 영감 받아 만들어봤어요 물론 이런 유형의 문제는 수능 동아시아사에서...
-
나락덕후 파이널 모의고사 등급컷 & 오답률 TOP 5 2
수능 전 배포했던 나락덕후 파이널 모의고사 (세계사 영역)의 등급컷과 오답률 TOP...
네 느낌이좀 많이다르네요 정말;
거의 정확한 글입니다.
간단히 후기를 덧붙이면 포카칩 모의평가는 2012-6평만 나온 상태에서 시작했고, 9평이 나왔을 당시에는 거의 마무리 단계였습니다.
짧은 시간 동안 2012 경향을 반영하려고 애썼지만 어려운 점이 많았죠. (2011->2012로 가면서 이렇게 많이 바뀔 거라고 착수단계에서 예상하지는 못했으니까요.)
포모에서 보이는 올해 경향과의 불일치성은 알고도 어쩔 수 없이 출시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내심 한편으로는 2012 수능에서는 9평에서 보여준 '역행'이(저는 평가원 출제스타일의 역행이자 퇴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적당히 제어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것도 있구요.
ㅋㅋ 뭔가 공감할 수 없는게 이분은 수리가형1등급은 머리좋은사람만 받을수 있다고 믿는가보네요
노력하고 성실한사람에게 '도' 1,2등급을 줄려고 <- 를 보니
작성자님 그리고 쎈수학 욕할거까진 안되는데요 ㅋㅋ 현역입장에서 저학년 여름,겨울방학때 쎈수학 푼애들이랑 안푼애들이랑
계산속도랑 내신점수에서 차이가 얼마나큰데 쎈수학 너무 까시는듯.
애초에 비관적을 비꼬는 내용들을 보아하니 수리가형은 머리좋은사람들만 1등급 받을수 있다는 그릇된생각이 너무 강한듯
맞는말 하는것같으면서 개소리하고있는사람 말에 공감하는 로마넘님도 참 실망이네요 ㅉ
왜 역행하는지.. 2014년은 확실히 모든유형이 바뀔거같네요. 언어의 국어화. 수리의 내신화.;;; 외국어의 자격시험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