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인조 논술 [674309] · MS 2016 · 쪽지

2016-11-24 18:07:53
조회수 1,714

[대치 2인조 약빤논술] 한국외대 인문 논술 출제 경향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760640

안녕하세요? 대치 2인조 논술 강사입니다.

토, 일요일에 예정되어 있는 한국외대 논술 시험에 대비하여 2016년 대학에서 제시한 논술 가이드를 참고하여 출제 경향 분석 자룔르 올려드립니다.

모두들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2017학년도 한국외대 논술 출제 경향 분석



1. 시험시간 : 120


2. 출제 원칙


1) 통합교과형 문제를 출제

2) 국제(international studies), 문화 (cultural studies), 언어(language studies)의 내용 3) 최대한 교과서와 EBS 수능교재의 내용을 제시문으로 활용


3. 문제유형


1) Part에서는 2~3개의 제시문(총 1500자 내외영어 제시문 포함)을 토대로 2개의 문항 (요지파악비판평가)에 대한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


2) Part에서는 3개의 제시문(총 2000자 내외통계 및 도표 자료 포함)이 주어지며이를 토대로 2개의 문항(비교분석적용추론)에 대한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


4. 문항별 논제 유형과 글자 수(배점) / 문단 구성 수


1) Part I 2 ~ 3개 (영어 제시문 포함)

요지파악문제 200자 내외 (100) -----> 1문단

비판평가문제 500자 내외 (210) -----> 2문단


2) Part II 3개 (통계 및 도표 자료 포함)

비교분석문제 400자 내외 (180) -----> 2문단

적용추론문제 500자 내외 (210) -----> 2문단


5. 제시문 선정 기준


1) 교과서나 EBS 교재의 지문을 적극적으로 활용

2) 교과서에 실리지 않은 경우 제시문의 핵심 내용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짐

3) 영어 제시문 주어진다.

고차원적 영어 독해 능력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다루어지는 어휘나 구문 수준에서 출제

영어 제시문과 관련된 문항은 핵심 쟁점을 파악하여 정확하게 요약할 수 있는 능력요구

4) 통계 및 도표 자료가 주어진다.

자료가 가지는 의미를 다른 제시문과 연관지어 해석할 수 있는지의 역량을 평가


6. 논제 유형별 접근 방법


1) 요지 파악형 논제


제시문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문항

제시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핵심 논제를 파악하여 간단하게 요약

제시문의 이해가 우선

제시문의 요약은 다양한 형식으로 요구

각각의 제시문에 대한 독립적인 요약,

상관된 제시문을 연계한 요약 (접속어나 연결 어구 등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

최소한의 어휘를 사용하여 핵심적인 논제를 최대한 표현

글자수 고려켠데 각각의 제시문의 핵심어를 추출하고 이를 간결한 문장으로 연결

핵심어는 보통 제시문 속에 나타나지만우회적인 표현이나 예시를 통하여 주제를 암시 하는 경우 적절한 어휘를 새롭게 찾아야 함

영어로 주어진 제시문을 요약할 때 제시문에 핵심어가 나타난다면 이를 우리말 어휘로 바꿔주는 게 좋다.

영어 핵심어에 대한 적절한 우리말 표현이 없는 경우핵심어를 굳이 사용하지 않고 좀 더 유연하게 우리말 표현을 서술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한영어로 핵심어를 찾았지만 이를 우리말로 옮기는데 그 본래의 의미가 변형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우려가 있다면 우리말 어휘를 사용하되 영어를 괄호 속에 병기하 여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제시문의 요약을 요구하는 문항이 주어졌을 때 범하기 쉬운 실수 중에 하나는 제시문의 구절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비록 제시문의 문장이 요지를 적절히 표현하고 있을지라도 이를 그대로 옮긴다면 독창 성이 발휘된 좋은 요약이라고 볼 수 없으며 성의 없는 요약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적절하게 다른 표현으로 바꿔 쓰기를 한다거나 제시문에 사용된 다른 핵심어 등과 연결 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2) 비판 평가형 논제


비판적 사고를 글을 통해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평가

서로 상반된 입장의 복수의 제시문이 주어지고 하나의 입장을 선택하게 하여 상대방 의 견을 비판하게 하는 경우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을 충분히 대입하여 논술할 수 있는 편 리함이 있다.

상반된 의견 중에 하나를 지정하여 한쪽 입장을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비판하도록 하 는 경우도 있다.

특정한 입장의 효과적인 비판을 위해서는 그 입장의 장단점 분석과 예시를 통한 자기주 장의 옹호가 빈번히 사용되고 또 이 방법이 효과적이기도 하다.


3) 비교 분석형 논제


무엇보다도 논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 자료를 읽고 공통 논제를 찾아냈다면 그 논제에 맞추어 각각의 주장과 그 주장의 근거를 요약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논제가 파악됐다면그 다음으로 비교 분석의 기준을 정해야 한다.

특정한 관점이 문제에서 주어진 경우라면 이에 맞추어 비교 분석을 하면 되겠지만특정 한 관점 제시 없이 단지 두 자료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만을 요구한다면 논제에 적합한 기준이나 준거를 스스로 찾아야 한다.

무분별하게 여러 기준을 나열하기보다는 몇 가지 특징적인 비교 분석 기준을 제시


4) 적용 추론형 논제


적용 추론형 논제가 통계나 도표 자료와 결합하여 출제되는 경우 이는 합격과 불합격을 판가름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용 추론이란 특정 지문을 활용해 주장하는 규칙이나 원리를 적용하여 새 로운 사실이나 주장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이미 안 것을 토대로 하여 지문에 언급되지 않은 새로운 사실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자료에서 주어진 명제 조건을 확인하고적용의 내용과 대상이 무엇인지 명확히 해야 한 다그래야만 지문에 드러난 사실을 토대로 단계적인 추론이 가능하다.

출제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며질문에 이미 절반의 답이 들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문제를 여러 번 읽어 그 요구사항을 완벽하게 이해해야 한다.

무엇을 어디에 적용할지를 숙지하고 단계적으로 답안을 서술해 가야 한다.

적용 추론 유형은 출제자가 의도한 답안의 방향이 어느 정도 마련되어 있는 상황이므 로 묻고 있는 사항의 개념을 모르면 답안이 엉뚱한 방향으로 가기 쉽다

- 자료의 단순 이해보다는 비판적창의적 사고력을 발휘하여 단계적논리적 서술에 무게 중심을 두고 명확한 언어로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주목해야 할 점은 도표나 그래프또는 이들이 포함된 지문과 연관하여 수치에 대한 분석을 요구하는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 제시된 자료의 내용을 꼼꼼히 이해하고문제의 맥락 속에서 지문과 도표를 잘 연관시키면 그에 적합한 해석과 추론이 가능하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