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썽T] 간접쓰기 접근방법 (1) - 문장삽입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999779
7개년교육청-문장삽입.pdf
안녕하세요 슈퍼썽T입니다.
이제 9월 모평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이번 글은 간접쓰기와 관련해서 갈피를 잡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어느 정도 등급이 나오는 학생들 보다는, 오히려 감에 의존하고 있는 중위권 학생들을 위한
글이라고 말씀드립니다
또한, 지문의 접근법은 지극히 샘 개인적인 것이나, 샘은 이러한 접근법으로 모든 문제를
풀어왔음에 자신있게 참고해서 본인의 독해에 녹여내라고 이야기 해주고 싶습니다.
나아가, 바로 작년도 수능인 2015년부터 2010년까지 교육청에서 출제된 모든
문장 삽입 문항을 정리해 논 자료를 첨부했으니,
기출 풀이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학생들은 참고해서 쓸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 보다 자세한 해당 내용들은 슈퍼썽 개념 독해 강의에서도 찾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글을 시작해보죠.
일반적으로 간접쓰기 유형은 글의 순서, 문장 삽입, 무관한 문장 그리고 요약문 유형을
포함하여 칭하는 용어입니다.
그렇다면 왜 평가원은 간접쓰기와 같은 문제 유형을 개발한 것일까요?
평가원에서 간접쓰기를 출제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직접 작문한 글을 채점하는 한계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수험생이 글을 써나간다면,
그 지문 구성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논리력을 갖추고 글을 써내려갈 수 있는가를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죠.
자. 바로 여기서 간접쓰기 영역에 대한 접근 방식의 Key가 존재합니다.
방금 우리가 무엇이라고 이야기했죠?
어느 정도의 논리력을 갖추고 글을 써내려 갈 수 있는가를 평가! 하기 위함이라고 말했습니다.
즉, 평가원에서 출제하는 지문은 이 논리라는 것을 기본으로 갖추고 있습니다.
그저 막연히 의식의 흐름을 따라 글을 써내려가고,
그 지문을 바탕으로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누구라도 당연히 생각할 수 있는 논리적인 기틀 속에서
지문을 선정하고 문제를 만든다는 것이죠.
그럼, 이제 이 논리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봅시다.
여기서부터는 수능 영어를 바라보는 선생님들, 학생들에 따라 분명 다른 접근법을
가지기도 합니다. 개인적 호불호가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감에 필요한 패턴이라는 것은 반드시 ‘최소화’가 되어져야
가장 ‘효율적’인 접근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제부터,
크게 세 가지로 지문의 패턴을 정리해 보고,
각각의 유형들에 이를 적용시키는 과정을 전개해 나가보려 합니다.
글을 써내려가는 다양한 방식들을 세 개의 Type으로 categorize한다는 것
자체가 ‘겉핡기’식의 접근법은 아닐까 의문을 품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현재까지 문제로 출제되는 유형들에 대하여,
그저 느낌으로, 감으로 읽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필히 이 글을 몇 번씩 통독하고, 그 틀을 머릿속에 집어넣은 채,
의식적으로 활용하려 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기 바랍니다.
나아가, 본인의 문제풀이 접근법을 정립한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썰이 기네요 ㅎㅎ.
< 소재의 연속성 >
지문의 논리를 이해함에 있어 평가원에서 출제되는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접근법은
바로 이 ‘소재의 연속성’입니다.
* S중기(A)는 연기를 잘해.
* S중기(A)는 잘생겼지.
* 슈퍼썽(B)은 뚱뚱해.
* S중기(A)는 너무 멋져.
친구들과의 두서없는 대화라면 B와 같은 문장을 이야기하는 친구가 있을 것입니다.
허나 우리는 그런 친구를 대화의 맥을 자르는 ‘맥가이버’라고 부르죠. (유머 출처: MH도전)
자 이겁니다. 여기서 만약 무관한 문장을 고르라고 한다면
우리는 당연히 소재 B를 다룬 문장을 고르게 될 것입니다.
물론 연결어구 등을 통해 A → B → A → B 가 번갈아 나오며 비교나 대조의 형식으로
쓰여지는 글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부터 말할 간접쓰기 영역에서의 접근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재의 연속성’이
이어지는 경향이 짙기에 A → A → B → B 의 개념을 꽉 잡고 들어가죠.
사례가 너무 쉬웠나요?^^
바로 여기서 시작되는 것이 간접쓰기 영역에 대한 접근법입니다.
글이 영어로 쓰여 어렵다고 느껴질 뿐이지, 논리적 접근이란 것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그럼 또 하나의 문을 열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보죠.
이제 Type을 정리해 봅시다.
------------------------------------
첫 번째 타입, 중심 소재가 1개 -> 일관성의 논리
두 번째 타입, 중심 소재가 2개 이상 -> 소재의 논리
세 번째 타입, 내용 전개의 지문(스토리, 실험, 단일 논지 논설문) -> 개연성의 논리
------------------------------------
막연하게 느껴지나요? ^-^
글은 앞으로 ‘문장 삽입’ → ‘글의 순서’ → ‘무관한 문장’ → ‘요약문’ 의 순으로 정리해
나갈 것이며,
오늘은 이 중에서 ‘문장 삽입’의 ‘첫번째 타입’과 ‘두번째 타입’을 살펴봅시다.
< 유형1. 문장 삽입 – Type1. 일관성의 논리>
☆ 일관성의 논리에서는 주어진 문장에 일반적으로 역접의 연결어구가 들어가집니다.
(슈퍼썽 샘의 컴터에서는 이미지가 중간 삽입이 안되는 기술적 문제가 계속 되어 문자를
활용하여 도식화하겠습니다.)
------------------------------
1. [ 주어진 문장 : 역접, 중심소재 A (+), (긍정), (장점) ]
① A (-), (부정), (단점)
② A (-), (부정), (단점)
③ A (-), (부정), (단점)
④ A (+), (긍정), (장점)
⑤ A (+), (긍정), (장점)
-----------------------------
2. [ 주어진 문장 : 중심소재 A에 대한 서술]
① A
② A
③ A
④ B
⑤ A
cf) 난이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동일 어휘 A가 아닌 재진술어나 동일 개념을 활용한
다른 표현을 활용한다.
-----------------------------
자. 이게 바로 일관성의 논리입니다.
허나 그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쉬울 수 있어, 최근 기출에서는 많이 나오지는 않는 유형입니다.
특히 역접의 연결어구가 들어간 주어진 문장의 경우에는 고1, 고2 모의고사에서
오히려 더 쉽게 확인해 볼 수 있죠.
기출을 통해 봅시다.
------------------------------------------
ex.1)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2013학년도 수능)
[ But now rock radio is in seemingly terminal decline and MTV doesn’t show many music videos anymore. ]
Once upon a time, there was only one way to launch a hit album: radio. Nothing else reached as many people, as often. Getting on a radio playlist was difficult, but once a song was in heavy rotation on the radio, it had a high probability of selling. Then, in the 1980s, came MTV, which became the second way to create a hit. ( ① ) It had even more limited capacity for new music, but its influence over a generation was unparalleled. ( ② ) For the music labels, those were good times; it was a brutally competitive business, but it was a business they knew. ( ③ ) They understood the rules, and they could earn their keep by working them. ( ④ ) So how to market music? ( ⑤ ) Labels know the answer lies online, tapping the word-of-mouth forces that are replacing traditional marketing in creating demand, but they’re still trying to figure out exactly how best to do it.
* label: 음반사
주어진 문장을 보면 But 이라는 역접의 연결어구가 사용되어진 것이 확인되는데요.
그 내용을 확인해 보면, rock radio와 MTV가 쇠퇴기에 들어선다는 내용이 나오죠.
저는 이 부분을 A- 라고 잡겠습니다. rock radio와 MTV를 중심소재로 잡고
- (부정적 내용) 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제 지문을 읽어내려 보겠습니다.
③번 선택지 이후의 문장까지는 MTV의 영향력이 증대되며
they could earn their keep 이라고 해서 A+ (A에 대한 긍정적 내용) 이네요.!
그럼 이제 주어진 문장의 위치는 ④번과 ⑤번 두 가지 중에 고민하게 됩니다.
이 때, ④번 뒤의 내용인 So how to market music?
어떻게 음악을 홍보할까? 라는 내용은 MTV에 대한 긍정인 A+ 와는 어울리지 않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A+ 의 부분에서는 이미 음악의 홍보 수단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죠.
따라서, 답은 4번이 되네요.
<정리>
• 근거1: 중심소재 MTV에 대한 - / + 의 개념으로 지문을 나누는 것
• 근거2: So 라는 연결어구는 인과에 사용되어지는 연결어구이다. 그들의 몫을 벌 수 있었다는 내용이 나오고 연이어 ‘따라서’ 어떻게 홍보해야할까? 라는 내용이 이어지는 것은 문맥상 어울리지 않는다.
ex.2)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2015학년도 3월)
[ Reading has also always had a social dimension, however, as it does in our early lives: our first acts of reading are performed with parents and teachers standing by and guiding us. ]
When we read, we are alone. Reading calls us to our sole self, and away from the world of distractions; but it also furnishes us with far-reaching connections to other people. ( ① ) The peaceful calm of a desert island is not a bad image to have in your head as you prepare to read. ( ② ) No earthly storms can reach you here; you are safe. ( ③ ) The desert island image reinforces the idea that reading is a fundamentally solitary experience. ( ④ ) These mentors left their stamp on how we approach a text; they gave us the tools we use to get closer to the words on the page. ( ⑤ ) There is, of course, another social connection in reading: we always converse, by implication, with the book’s author.
이번 문제에도 주어진 문장에 보면 however라는 역접의 연결어구가 사용되어 있음이 확인되어 집니다.
주어진 문장은 독서가 사회적 측면을 가진다는 점을 이야기하고 있네요.
독서 = A로 해서, 이 부분을 A+ 로 잡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지문을 읽어가니 지문에서는 처음에 ‘독서를 할 때 고독하다.’ 라는 내용이 나오네요.
아하. 독서 고독 = A- / 독서 사회적 = A+ 의 개념으로 잡으면,
정답은 ④번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되네요.
<정리>
• 근거1: 중심소재 독서에 대한 - / + 의 개념으로 지문을 나누는 것
• 근거2: also라는 표현을 통해서 밑에서 볼 ‘소재의 논리’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답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소재 A의 개념을 ‘고독’, 소재 B의 개념을 ‘사회성’에 두고 접근하는 것입니다.
→ 위의 근거1, 근거2 의 내용은 사실상 같은 맥락의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
물론 주어진 문장의 역접이 다른 경우로 쓰이는 경우가 아예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허나 적어도 여러분이 풀어나가시는 모든 문장삽입 문제에서 역접의 연결어구가 등장한다면,
꼭 긍정과 부정의 개념을 떠올리시면서 지문을 풀어나가기 바랍니다.
< 유형1. 문장 삽입 – Type2. 소재의 논리>
☆ 소재의 논리에서는 첨가, 대조의 연결어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also와 같은 표현들도 그 힌트가 됩니다.
-----------------------------
1. [ 주어진 문장 : 첨가/대조/also등, 소재 B ]
① 소재 A
② 소재 A
③ 소재 B
④ 소재 B or C
⑤ 소재 B or C
cf) 중심소재가 3개로 이어지는 경우도 사관학교 시험 등에서는 출제되었습니다.
이 경우는 ③번이 올바른 경우입니다.
-----------------------------
2. [ 주어진 문장 : 첨가/대조/also등, 세부 소재 B]
① 중심 논지
② 세부 소재 A
③ 중심 논지
④ 중심 논지
⑤ 중심 논지
cf) also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해당되며, 세부 소재 A, B라고 칭한 부분은
소재 하나이기 보다는 개념적인 경우가 빈번합니다.
마찬가지로 여기에도 ③번이 답이 되겠지요.
-----------------------------
3. [ 주어진 문장 : 소재 A → B]
① 소재 A
② 소재 A
③ 소재 B
④ 소재 B or C
⑤ 소재 B or C
cf) 중심 소재가 2개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소재의 전환이 포인트이고 다른 연결어구 등이 없어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경우는 몇 번일 것 같나요? 여기는 ②번이 올바른 정답이 됩니다.
-----------------------------
‘소재의 논리’의 포인트는 ‘소재의 전환’에 있습니다.
앞에 S중기님을 비유로 사례를 만들어 본 문장에서 말했듯이,
수능에서 출제되는 지문에서는 타당한 연결어구 없이 중심 소재를 A → B → A → B
계속 전환하며 글을 써나갈 수 없습니다.
의외로 소재의 논리는 꽤나 많은 문제에서 적용이 됩니다.
기출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죠.
ex.1)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2016학년도 수능)
[ Even so, it is not the money per se that is valuable, but the fact that it can potentially yield more positive experiences. ]
Money ― beyond the bare minimum necessary for food and shelter ― is nothing more than a means to an end. Yet so often we confuse means with ends, and sacrifice happiness (end) for money (means). It is easy to do this when material wealth is elevated to the position of the ultimate end, as it so often is in our society. ( ① ) This is not to say that the accumulation and production of material wealth is in itself wrong. ( ② ) Material prosperity can help individuals, as well as society, attain higher levels of happiness. ( ③ ) Financial security can liberate us from work we do not find meaningful and from having to worry about the next paycheck. ( ④ ) Moreover, the desire to make money can challenge and inspire us. ( ⑤ ) Material wealth in and of itself does not necessarily generate meaning or lead to emotional wealth. [3점]
* per se : 그 자체로
이 문제는 money 에 대한 두 가지 방식의 접근이라는 점에서
위의 type.1 과 같이 A-/A+ 의 개념으로도 볼 수는 있습니다.
먼저 선택지 ①번부터 ④번 뒤에 오는 문장까지는 모두 money를 통하여
경제적, 재정적 안정을 취할 수 있다고 하며, 돈을 벌고자 하는 욕구를 긍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⑤번 뒤에 오면 내용의 전환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A = 경제적, 재정적 이점] 이 아닌 [B= 정신적 이점] 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죠.
즉, 소재 A에서 B로의 변환이 포인트가 됩니다.
<정리>
• 근거: [A = 경제적, 재정적 이점] 과 [B= 정신적 이점] 에 대한 소재(내용)의 전환
ex.2)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2015학년도 수능)
[ They also rated how generally extroverted those fake extroverts appeared, based on their recorded voices and body language. ]
Some years ago, a psychologist named Richard Lippa called a group of introverts to his lab and asked them to act like extroverts while pretending to teach a math class. ( ① ) Then he and his team, with video cameras in hand, measured the length of their strides, the amount of eye contact they made with their “students,” the percentage of time they spent talking, and the volume of their speech. ( ② ) Then Lippa did the same thing with actual extroverts and compared the results. ( ③ ) He found that although the latter group came across as more extroverted, some of the fake extroverts were surprisingly convincing. ( ④ ) It seems that most of us know how to fake it to some extent. ( ⑤ ) Whether or not we’re aware that the length of our strides and the amount of time we spend talking and smiling mark us as introverts and extroverts, we know it unconsciously.
이 문제에서 어떠한 소재의 논리를 찾을 수 있는가에 대해 많이 궁금할 것입니다.
사실상 구체적 소재라기보다는 개념의 단위로 묶어서 볼 수 있습니다.
주어진 문장에 있는 ‘also’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They also rated ...
해석해 볼까요?
‘그들은 또한 ...를 측정했다.’ 라는 뜻입니다.
자 그럼, 이 앞에는 무슨 내용이 나와야 할까요?
그들이 측정한 다른 내용이 먼저 나오고, 그 이하에 바로 이 다른 측정의 내용이 이어질 것입니다.
즉, A: 측정(1) 의 뒤에 [주어진 문장: B: 측정(2)]의 개념이 이어진다는 것이죠.
그리고 나면, ①번 뒤에 있는 measured에서 측정(1)의 개념이 등장함이 확인되고,
②번에서는 모든 측정이 끝나고 난 이후 ‘compared the results’라는 실험이 끝난 상황이
이어짐이 확인되어지죠.
이렇게 답을 확인할 수 있었네요.
<정리>
• 근거: ‘also’를 통해서 소재(내용) A와 B가 이어지는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measure와 rate가 각각 ‘측정한다’라는 소재(내용) A, B가 됨을 확인한다.
ex.3)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2016학년도 수능특강 영어 15강 3번)
[ Military spending was still high, but the resources of the empire allowed for significant public expenditures on other things. ]
The geographic importance of the Roman Empire was that it created an environment under which trade could thrive. Areas of conflict were on the borders of the empire. ( ① ) Away from those areas of conflict, the empire was secure and well regulated. ( ② ) Tax revenues paid for the development of extensive road systems and ports that facilitated trade, helping to create more wealth. ( ③ ) More wealth meant more money to spend on consumer goods, including wine. ( ④ ) Moreover, wine was subject to taxation, and thus important to the health of the Roman economy. ( ⑤ ) As a consequence, we see in the Romans some of the first governmental efforts to control and regulate crops, precursors of modern-day agricultural regulation.
*precursor 전조
위 문제는 금년도 수능특강 영어에 실린 문제입니다.
학생들이 꽤 어렵게 느낀 문제였는데,
지문의 일관된 내용을 잡기가 어려웠기 때문이죠.
허나 여기서도 소재의 논리를 가지고 접근하면 쉽게 지문을 해결해 나갈 수 있었습니다.
위 글은 주요 소재를 A, B, C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누어서 볼 수 있습니다.
[ A = 물리적 갈등, B = 공공 지출, C = 와인 ]
그렇다면, 주어진 문장은 어떤 소재로 쓰여있는 것일까요?
먼저 군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A에서부터 공공 지출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B로 소재가 전환됩니다.
즉, 주어진 문장은 [ A → B ] 의 구조인 것이죠.
결국 정답은 A에서 B의 소재로 전환되는 ②번이라는 것이 확인됩니다.
<정리>
• 근거: 지문의 소재가 A → B → C로 전개되는 상태에서, 주어진 문장은 [ A → B ] 이므로 그 바뀌는 중간에 위치시키면 된다.
----------------------------------------------
자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만 글을 쓰기로 하겠습니다.
타입1의 3번째 유형부터는 다음에 또 글을 쓸게요.
궁금한건 내용질문 게시판이나 댓글 등을 활용해 주세요~
자 그럼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카페에서 7
커어어어어어어 하면서 잔것 같은데 어쩌지..음료 시켜놓은거 다녹앗네 이제 돌어가야하는데
-
솔플하기에 ㄱㅊ? 분위기 안좋다는 얘기 있는데 혼자 다니면 신경쓸 정도는 아님?...
-
한우 듬뿍 국밥 5
맛있어요우
-
24시간의전사 5
화하하하하학 렛츠고
-
다 까먹음 걍 해설보고 발상정리하다보니까 원래 실전개념 뭐 배웠는지도 모르겠음
-
지방 일반곤데 애들 김범준 왜이리 좋아하냐? (무슨 비하의 의도 그런게 아니라 그냥...
-
놀아줘 4
-
그래
-
근데 그거 먹으면 당이 많아서 그런지 오히려 졸림.. 그래서 노랑으로 갈아탔음
-
생윤 동사 같이 듣는애한테 멘티 제안했다가 개까임 ㅋㅋ 2
두구보자 ㅡㅡ 성적 어떻게 나오는지
-
?
-
국어 ebs는 더 유기해야겠다 걍 작수 연계체감 현대시 하나만 받고도 수능 잘봤는데...
-
지눌과 의천의 공통점 선종의 수양 방법과 교종의 수양 방법을 모두 갖추어야 함 이거 맞나요?
-
물리 하다가 도저히 안 될거 같아서 사탐으로 바꾸려고 하는데 제가 역사 배경지식이...
-
적당히 먹으려고 1
와퍼 주니어 삼..
-
지금 하루에 과탐 4~5시간 수학 6~7시간정도 잡고 하고있는데 드리블 킬러에...
-
요즘 인생의 낙은 10
토요일 밤에 친구들이랑 옵치 5인큐 돌리는거임 너무 재미씀
-
12-3월<<< 5
이때 수학 등급역전 쌉가능한 시즌인듯 ㄹㅇ 저도 3개월동안 폐관수련했더니 처음보는 등급이 나왔음
-
주변엔 6모이후부터 한애들도 있고 그런데 지금부터라도 빨리 시작해야함?? 미적1임...
-
D-205 0
수학 2단원(원순열~중복순열) 기출 20문제 국어 내신 2지문 분석, 문제풀이
-
부모 둘다 공부와는 거리가 먼 (해도 안돼서 포기햇다고함) 집 자녀가 두돌전에...
-
졸업할때까지 길 못외울거같음
-
근데 큐브에서 풀어줄라다가 설명할 자신이 도저히 없어서 gg침..
-
직접 하긴 귀찮아서 그냥 남에꺼 보고 싶다...
-
기출 어느정도는 다 아는데 좀 다시 한번 싹 정리하고 싶어서.. 걍 무난하게 수분감 ㄱ?
-
혹시 수학 약해서 몇달동안 수학만 하신 분 계심? 20
한달반동안 거의 수학만 해도 되려나
-
크보 인기 많으니까 편승할라는 건지 모르겠는데 크보팬들 데려다가 조롱하고 자빠졌네...
-
“게이들은 카리나도 안좋을까”만 올리는건 성평등에 맞지않는것같아서 올립니다
-
[속보]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 5
대법원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재판부 배당 당일인...
-
노래 좋다
-
흠,, 3
군대튀하고 싶군
-
아으 힘들다 2
알파카메일이 되고싶구나..
-
오늘은 자기 질문할 것도 없는데 거기 시끄럽다고 그냥 안간데 난 뭐 같이...
-
근데 전체적으로 빡빡하네여 통합 교육 대두라 문법 문학 비문학 작문 계속 튀어나오니 풀면서 빡빡했음
-
걍 6모 전까지 딴 공부 안하고 거의 수학만하는거 어떰 2
수학이 진짜 제일 급한데 아 사문런해서 사문 개념만 좀 하고 이동시간엔 어차피 공부...
-
스타팅 블록 수2는 별로 배워가는 느낌이 없는데.. 11
8강까지 들었는데 지금까진 뉴런 하위호환 느낌임 수1을 들어봐야 되는 것인가
-
단원별 n제는 드릴 정도만 하고 걍 서킷 브릿지 지인선 이런것만 풀고싶음......
-
서울대 카이스트 학생들 그리고 포공 연공 고공에서는 최상위권 학생 뿐임
-
킬캠보다 어렵다는 최근 실모들보다 옛날 킬캠에서 더 많이 박살남 ㅋㅋㅋㅋㅌ
-
근데요 2
게이는 아닌데 차은우랑 사귈래 하면 사귈듯
-
흠 여기만 타겟팅하는데 뭐가 문제지
-
지들 듣던 강사의견이랑 다르면 또 댓글로 ㅈㄴ 야랄할게 눈에 선해서 이건 그냥 클로즈할까 생각된다
-
밖에 비온다 0
비 멈추면 날씨 좋아지겠지~ 택시 탔는데 계속 콧물 훌쩍훌쩍 거리니까 기사님이 왜...
-
잇올 퇴근 완 2
기분이좋군
-
생윤 윤사 재밌다고 철학과 오는 것이 맞는가 - 눈덩이의 중간고사 준비 서양근대철학 입문편 0
*이 글은 필자의 뇌피셜과 드립이 난무하는 글입니다. 설명을 위해서라면 교육 과정의...
-
스카 양도 0
해봄? 한 달 남았는데 친구한테 팔아야되나
-
아직 경우의 수 - 확률에서 헤매는중 .. 감 잡으려면 기출을 좀 풀어봐야하나
-
해병대 군수 0
여기 해병대에서 군수 해보신 분 계신가요? 물론 힘들걸 알고 있지만 궁금하네요
-
이 문제 처음 풀때 지수개념을 몰라서 못푼게 아니고 마지막에 조건해석을 걍 못했음...
좋습니다~
쌤 안녕하세요^^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쌤 언제한번 얼굴 봐야하는데 ㅎㅎ
저는 좋습니다. 샘들 모이시거나 이러실때 기회되시면 알려주세요^__^
이걸 풀려면 학교에서 작문 논리의 기본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고1~3때 그런건 언급도 하지 않았다고... 그냥 독해독해독해독해...
역시 울학교는 구려
암튼 잘 읽고 가요 ㅎㅎ
흠. 그러네요. 학생들이 논리적인 부분을 어려워하는 것은 분명 학교에서 다루는 경우보다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은 드네요.. 앞으로도 계속 글 올릴테니 참고해 보세요~ ㅎ
아무래도 저희 학교같은 경우는 많은 분들이 학력고사를 보신 분들이 많다보니 독해나 문법에만 집착하셨던듯 하네요...ㅠ
분명 수능으로 바뀐진 20년이 넘었는데 선생님들이 안바뀌니...ㅠ
이런 평준화 학교들은 잘 가르치지 않는 부분들을 많이 써주셨으면 좋겠어요 ㅎ
최근에는 학교에서도 내신에서 모의고사를 부교재로 활용하여 진행하기도 하면서 이런 논리적인 부분에 대한 강의가 꽤나 이루어지지 않나라고 생각해왔었네요..
네 남는 시간 틈틈히 써서 쭉 올려드리도록 해보겠습니다^^
더운데 고생많으십니다 :D
선생님 안녕하세요^^
댓글 감사합니다. 올비에서 자주 뵈요^_^
감사합니다 ^^~